나들목

그리고 최명희

최명희 씨를 생각함

최명희씨를 생각하면 작가의 어떤 근원적인 고독감 같은 것이 느껴진다. 1993년 여름이었을 것이다. 중국 연길 서시장을 구경하고 있다가 중국인 옷으로 변장하고 커다란 취재 노트를 든 최명희씨를 우연히 만났다.

「혼불」의 주인공의 행로를 따라 이제 막 거기까지 왔는데 며칠 후엔 심양으로 들어갈 것이라고 했다. 그리고 웃으면서 연길 사람들이 한국인이라고 너무 바가지를 씌우는 바람에 그런 옷을 입었노라고 했다. 그날 저녁 김학철 선생 댁엘 들르기로 되어 있어 같이 갔는데 깐깐한 선생께서 모르는 사람을 데려왔다고 어찌나 통박을 주던지 민망해한 적이 있다. 그 후 서울에서 한 번 더 만났다. 한길사가 있던 신사동 어느 카페였는데 고저회와 함께 셋이서 이슥토록 맥주를 마신 것 같다. 밤이 늦어 방향이 같은 그와 함께 택시를 탔을 때였다. 도곡동 아파트가 가까워지자 그가 갑자기 내 손을 잡고 울먹였다.’이형, 요즈음 내가 한 달에 얼마로 사는지 알아? 삼만 원이야, 삼만 원……

동생들이 도와주겠다고 하는데 모두 거절했어. 내가 얼마나 힘든지 알어?’ 고향 친구랍시고 겨우 내 손을 잡고 통곡하는 그를 달래느라 나는 그날 치른 학생들의 기말고사 시험지를 몽땅 잃어버렸다. 그리고 그날 밤 홀로 돌아오면서 생각했다.
그가 얼마나 하기 힘든 얘기를 내게 했는지를. 그러자 그만 내 가슴도 마구 미어지기 시작했다. 나는 속으로 가만히 생각했다. ‘혼불’은 말하자면 그 하기 힘든 얘기의 긴 부분일 것이라고.

시집 ‘은빛 호각’ (이시형/창비) 중에서

▣ 작가 최명희와 소설 <혼불>을 떠올린 아름다운 분들의 애틋한 글이에요.

(유지철) 언어는 정신의 지문

작성자
최명희문학관
작성일
2022-12-24 14:09
조회
379

출처: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201611271020988792


한국일보 2016년 11월 27일 자 <우리말 톺아보기, 언어는 정신의 지문>

글쓴이: 유지철 KBS 아나운서실 한국어연구부장

소설가 최명희는 ‘언어는 정신의 지문(指紋)’이라고 했다. 모든 사람들이 손가락 끝마디에 각자 서로 다른 무늬인 지문을 가지고 있어 그 사람의 정체성을 나타내는 상징이 된 것처럼 사람들이 사용하는 언어 역시 그 사람의 생각과 정신을 반영해 지문처럼 그 사람의 정체성을 고스란히 드러낸다는 말이다.

언어에 대한 최명희의 관심과 애정은 남달라서 ‘모국어는 우리 삶의 토양에서 우리의 생각과 느낌을 품고 길러 정신의 꽃으로 피워주는 씨앗’이라고 말했다. 그리하여 자신을 ‘모국어라는 말의 씨를 이야기 속에 뿌리는 사람’이라고 말하고, 모국어의 아름다움을 알지 못하는 사람들에게 우리의 정신과 혼이 담긴 모국어의 아름다움을 전하기 위해 ‘혼불’ 등의 소설들을 집필했다.

최명희가 남긴 ‘언어는 정신의 지문’이라는 말은 오늘날 우리에게 많은 점을 시사한다. 아무렇지도 않게 내뱉은 말 한마디가 상대방에게 평생 씻을 수 없는 마음의 상처가 되기도 하고, 커다란 정신적 고통을 당하고 있는 이에게 전하는 따뜻한 위로의 말 한마디가 그와 아픔을 함께 나눔으로써 고통을 이겨낼 수 있게 하기도 한다.

이처럼 평소 우리가 사용하는 말이 우리의 정신과 혼이 찍히는 지문과도 같을진대 어찌 함부로 말을 할 수 있겠는가. 욕설과 비속어를 입에 담고 사는 사람들의 경우 포악한 언어들이 그의 정신을 더욱 포악하게 만들 것이고, 습관적으로 외국어를 남용하는 사람들의 경우 우리의 정서와 이질감을 느끼게 하는 외국어가 그의 정신에서 우리 고유의 정감과 정서를 점점 배제시키게 될 것이다. 이는 곧 우리가 사람들과 정감을 나눌 수 있는 아름다운 우리말을 사용해야 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유지철 KBS 아나운서실 한국어연구부장

전체 136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추천 조회
116
(이영아) 하늘 나라로 보내는 편지 /영원히 간직할 내마음의 혼불
최명희문학관 | 2022.12.24 | 추천 0 | 조회 303
최명희문학관 2022.12.24 0 303
115
(유지철) 언어는 정신의 지문
최명희문학관 | 2022.12.24 | 추천 0 | 조회 379
최명희문학관 2022.12.24 0 379
114
(김민철) ‘혼불’ 강실이가 익모초 보고 울컥한 이유
최명희문학관 | 2022.08.23 | 추천 0 | 조회 353
최명희문학관 2022.08.23 0 353
113
(장창영)최명희문학관이 있어 전주가 행복한 이유
최명희문학관 | 2022.07.05 | 추천 0 | 조회 478
최명희문학관 2022.07.05 0 478
112
(송가영)문학인과 언론인의 ‘경계인’
최명희문학관 | 2022.06.22 | 추천 0 | 조회 793
최명희문학관 2022.06.22 0 793
111
(박윤미)개구리 이야기
최명희문학관 | 2022.06.22 | 추천 0 | 조회 428
최명희문학관 2022.06.22 0 428
110
(김두규) 생거부안(生居扶安)과 사거순창(死居淳昌)
최명희문학관 | 2022.06.11 | 추천 0 | 조회 573
최명희문학관 2022.06.11 0 573
109
(김두규) 관광의 고장 전북만들기와 풍수
최명희문학관 | 2022.06.11 | 추천 0 | 조회 519
최명희문학관 2022.06.11 0 519
108
(김두규) ‘작은 서울[小京]’ 남원과 천추락(千秋樂)
최명희문학관 | 2022.06.11 | 추천 0 | 조회 520
최명희문학관 2022.06.11 0 520
107
(김두규) 전북의 8대(八大) 명당
최명희문학관 | 2022.06.11 | 추천 0 | 조회 766
최명희문학관 2022.06.11 0 766
메뉴
error: 콘텐츠가 보호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