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들목

그리고 최명희

최명희 씨를 생각함

최명희씨를 생각하면 작가의 어떤 근원적인 고독감 같은 것이 느껴진다. 1993년 여름이었을 것이다. 중국 연길 서시장을 구경하고 있다가 중국인 옷으로 변장하고 커다란 취재 노트를 든 최명희씨를 우연히 만났다.

「혼불」의 주인공의 행로를 따라 이제 막 거기까지 왔는데 며칠 후엔 심양으로 들어갈 것이라고 했다. 그리고 웃으면서 연길 사람들이 한국인이라고 너무 바가지를 씌우는 바람에 그런 옷을 입었노라고 했다. 그날 저녁 김학철 선생 댁엘 들르기로 되어 있어 같이 갔는데 깐깐한 선생께서 모르는 사람을 데려왔다고 어찌나 통박을 주던지 민망해한 적이 있다. 그 후 서울에서 한 번 더 만났다. 한길사가 있던 신사동 어느 카페였는데 고저회와 함께 셋이서 이슥토록 맥주를 마신 것 같다. 밤이 늦어 방향이 같은 그와 함께 택시를 탔을 때였다. 도곡동 아파트가 가까워지자 그가 갑자기 내 손을 잡고 울먹였다.’이형, 요즈음 내가 한 달에 얼마로 사는지 알아? 삼만 원이야, 삼만 원……

동생들이 도와주겠다고 하는데 모두 거절했어. 내가 얼마나 힘든지 알어?’ 고향 친구랍시고 겨우 내 손을 잡고 통곡하는 그를 달래느라 나는 그날 치른 학생들의 기말고사 시험지를 몽땅 잃어버렸다. 그리고 그날 밤 홀로 돌아오면서 생각했다.
그가 얼마나 하기 힘든 얘기를 내게 했는지를. 그러자 그만 내 가슴도 마구 미어지기 시작했다. 나는 속으로 가만히 생각했다. ‘혼불’은 말하자면 그 하기 힘든 얘기의 긴 부분일 것이라고.

시집 ‘은빛 호각’ (이시형/창비) 중에서

▣ 작가 최명희와 소설 <혼불>을 떠올린 아름다운 분들의 애틋한 글이에요.

(김두규) 전북의 8대(八大) 명당

작성자
최명희문학관
작성일
2022-06-11 11:21
조회
755
글쓴이: 김두규(우석대 교수·문화재청 문화재위원)

출처1: 전북도민일보 2022년 6월 2일 <[풍수로 보는 전북 부흥의 길] <27> 전북의 8대(八大) 명당>

출처2:http://www.dom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1384345&sc_section_code=S1N12

조상을 좋은 자리에 모시면 후손이 명당발복을 받는가? 풍수설이 생긴 이래 찬반 논쟁은 늘 있어 왔다. 중국 성리학의 대가 정자(程子: 1033-1107)가 쓴 ‘장설(葬說)’의 다음 대목은 조선 풍수에 지대한 영향을 주었다.

“땅이 좋으면 조상의 신령이 편안하여 그 자손이 번창하는데 마치 나무뿌리를 북돋워 주면 가지와 잎이 무성하게 되는 것과 같은 이치입니다.(...)조상이 편안하면 후손이 편안하고, 조상이 불안하면 그 후손이 불안한 것도 역시 같은 이치입니다.”

중국의 대학자만이 이와 같은 발언을 한 것이 아니다. 에른스트 아이텔(Ernst Eitel: 1838-1908)이라는 독일인이 있었다. 독일 튀빙겐 대학에서 신학과 철학을 공부하고 박사학위를 취득한 그는 중국 선교사로 파견되어 30년 동안 중국에서 기독교 선교 활동을 하였다. 그런 그가 1878년 ‘풍수: 혹은 중국에서의 자연과학의 근원(Feng-shui: or, The rudiments of natural science in China)’이라는 책을 출간한다. 그는 “풍수의 목적은 이러한 자연의 법칙을 읽어내는 것이며 그 부산물로서 대지 위에 거주하는 피조물들의 길흉을 알아내는 것은 어렵지 않다.”고 주장한다. 계속하여 그는 말한다.

“당신의 운명을 알고 싶은가요? 그렇다면 다음 세 가지 가르침을 인정하십시오. 첫째, 하느님이 이 땅을 지배합니다. 둘째, 하늘과 땅이 모든 피조물에 영향을 끼치는데, 이것의 활용 여부는 당신에게 달려있습니다. 셋째, 운명은 당신의 선한 의지와 돌아가신 조상의 영향력에 좌우됩니다. 돌아가신 조상을 진심으로 공경하면 조상의 혼령이 나에게 다가옵니다.”

‘명당발복이 있다’는 주장이다. 이 같은 관점에서 전북의 8대 명당을 꼽으라면 어디일까. 단순히 한 가문의 영광을 소개하려는 것이 아니다. 실제 수많은 관광객을 유치할 수 있는 현장이기 때문이다. 8대 명당 선정에는 고창에서 고창학(高敞學) 수립에 전념하는 이병렬 박사(풍수학자)의 자문이 있었다.

우선 전주 모악산(구이쪽)의 ‘김일성 시조묘’이다. 전주김씨 후손들뿐만 아니라 일반인들까지 찾는 명소이다. 일본 오사카 시립대 노자키 미츠히코 교수(‘조선문학’ 전공)도 이곳이 궁금하다 하여 수년전 필자가 안내한 적이 있었다.

둘째, 조선을 건국한 태조 이성계의 시조묘인 전북대 부근의 ‘조경단’이다. 근처에 있는 ‘혼불’의 작가 최명희 선생의 묘도 길지이기에 함께 둘러보아도 좋다.

셋째, 고창 반암리에 있는 LG 그룹 선영이다. 풍수 교과서이다. 구자경 LG 회장(작고)이 재실[齋舍] 현판을 쓰고, 선영 앞에 비석을 세울 정도로 신성시하던 곳이다. 넷째, 오늘의 고려대·동아일보·삼양사를 있게 한 인촌 김성수의 조모묘(고창 반암리)와 조부묘(고창 선운사 뒤)이다.

다섯째, 함양박씨의 사위 광산김씨, 광산김씨의 사위 동래정씨가 한곳에 안장된 순창 말명당(인계면)이다. 한때 조선의 8대 명당에 꼽혔다.

여섯째, 진안 천반산 정상에 자리한 ‘산태극수태극(山太極水太極)’의 길지이다. 정세균 전 국회의장(이후 국무총리 역임)의 선영이다.

일곱째, 황희정승을 배출한 남원 대강면 황희 조부묘이다. 전국 풍수가들의 논쟁이 뜨거운 곳이다.

여덟째, 익산 함열 남당리에 있는 청송심씨 2세조(祖) 심연 묘이다. 청송심씨 대종택(‘송소고택’)은 지금도 청송에 있을 만큼 경상도와 연고가 깊으나 풍수상 길지를 찾아 전북까지 왔다는 전설이 있다.

이밖에도 전북이 아니라 조선의 8대 명당으로 손색이 없는 수많은 명당들이 있다. 명당마다 숱한 전설·사연·논쟁들이 있다. 전북이 자랑스럽게 내놓을 훌륭한 문화유산이자 관광자원이다.

글 = 김두규 우석대 교수(문화재청 문화재위원)
전체 136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추천 조회
116
(이영아) 하늘 나라로 보내는 편지 /영원히 간직할 내마음의 혼불
최명희문학관 | 2022.12.24 | 추천 0 | 조회 298
최명희문학관 2022.12.24 0 298
115
(유지철) 언어는 정신의 지문
최명희문학관 | 2022.12.24 | 추천 0 | 조회 373
최명희문학관 2022.12.24 0 373
114
(김민철) ‘혼불’ 강실이가 익모초 보고 울컥한 이유
최명희문학관 | 2022.08.23 | 추천 0 | 조회 350
최명희문학관 2022.08.23 0 350
113
(장창영)최명희문학관이 있어 전주가 행복한 이유
최명희문학관 | 2022.07.05 | 추천 0 | 조회 471
최명희문학관 2022.07.05 0 471
112
(송가영)문학인과 언론인의 ‘경계인’
최명희문학관 | 2022.06.22 | 추천 0 | 조회 786
최명희문학관 2022.06.22 0 786
111
(박윤미)개구리 이야기
최명희문학관 | 2022.06.22 | 추천 0 | 조회 422
최명희문학관 2022.06.22 0 422
110
(김두규) 생거부안(生居扶安)과 사거순창(死居淳昌)
최명희문학관 | 2022.06.11 | 추천 0 | 조회 568
최명희문학관 2022.06.11 0 568
109
(김두규) 관광의 고장 전북만들기와 풍수
최명희문학관 | 2022.06.11 | 추천 0 | 조회 514
최명희문학관 2022.06.11 0 514
108
(김두규) ‘작은 서울[小京]’ 남원과 천추락(千秋樂)
최명희문학관 | 2022.06.11 | 추천 0 | 조회 514
최명희문학관 2022.06.11 0 514
107
(김두규) 전북의 8대(八大) 명당
최명희문학관 | 2022.06.11 | 추천 0 | 조회 755
최명희문학관 2022.06.11 0 755
메뉴
error: 콘텐츠가 보호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