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들목

그리고 최명희

최명희 씨를 생각함

최명희씨를 생각하면 작가의 어떤 근원적인 고독감 같은 것이 느껴진다. 1993년 여름이었을 것이다. 중국 연길 서시장을 구경하고 있다가 중국인 옷으로 변장하고 커다란 취재 노트를 든 최명희씨를 우연히 만났다.

「혼불」의 주인공의 행로를 따라 이제 막 거기까지 왔는데 며칠 후엔 심양으로 들어갈 것이라고 했다. 그리고 웃으면서 연길 사람들이 한국인이라고 너무 바가지를 씌우는 바람에 그런 옷을 입었노라고 했다. 그날 저녁 김학철 선생 댁엘 들르기로 되어 있어 같이 갔는데 깐깐한 선생께서 모르는 사람을 데려왔다고 어찌나 통박을 주던지 민망해한 적이 있다. 그 후 서울에서 한 번 더 만났다. 한길사가 있던 신사동 어느 카페였는데 고저회와 함께 셋이서 이슥토록 맥주를 마신 것 같다. 밤이 늦어 방향이 같은 그와 함께 택시를 탔을 때였다. 도곡동 아파트가 가까워지자 그가 갑자기 내 손을 잡고 울먹였다.’이형, 요즈음 내가 한 달에 얼마로 사는지 알아? 삼만 원이야, 삼만 원……

동생들이 도와주겠다고 하는데 모두 거절했어. 내가 얼마나 힘든지 알어?’ 고향 친구랍시고 겨우 내 손을 잡고 통곡하는 그를 달래느라 나는 그날 치른 학생들의 기말고사 시험지를 몽땅 잃어버렸다. 그리고 그날 밤 홀로 돌아오면서 생각했다.
그가 얼마나 하기 힘든 얘기를 내게 했는지를. 그러자 그만 내 가슴도 마구 미어지기 시작했다. 나는 속으로 가만히 생각했다. ‘혼불’은 말하자면 그 하기 힘든 얘기의 긴 부분일 것이라고.

시집 ‘은빛 호각’ (이시형/창비) 중에서

▣ 작가 최명희와 소설 <혼불>을 떠올린 아름다운 분들의 애틋한 글이에요.

(김민철) ‘혼불’ 강실이가 익모초 보고 울컥한 이유

작성자
최명희문학관
작성일
2022-08-23 15:20
조회
350
출처: https://www.chosun.com/culture-life/culture_general/2022/08/23/PTPZUOIODVAK3MGQHYYEA55SEQ/?utm_source=daum&utm_medium=referral&utm_campaign=daum-news

출처: 조선일보 2022.08.23.[김민철의 꽃이야기] ‘혼불’ 강실이가 익모초 보고 울컥한 이유

요즘 언덕이나 풀밭에서 잎이 아주 길쭉하고 홍자색 꽃이 층층이 달린 식물을 볼 수 있습니다. 어머니(여성)를 이롭게 하는 풀, 익모초(益母草)입니다.

이 풀은 생리통 등 여성의 임신과 출산에 관한 질병에 좋다고 합니다. 또 원기를 회복하고 식욕을 돋우는데도 좋아 옛날엔 입맛이 없어 식사를 못할 때 익모초를 절구에 찧거나 달여 먹었다고 합니다.







익모초. 잎이 길쭉하고 홍자색 꽃이 층층이 달렸다.







익모초. 잎이 길쭉하고 홍자색 꽃이 층층이 달렸다.

익모초는 들이나 길가, 풀밭 등에서 흔히 볼 수 있습니다. 그런데도 쓰임새가 많아 집안에 한두 개체쯤 심어 놓고 필요할 때 썼다고 합니다. 그래서 요즘에도 시골에 가면 집안 마당 가장자리에서 익모초를 볼 수 있습니다.

익모초는 7~9월 꽃이 피는, 꿀풀과 두해살이풀입니다. 높이 1m이상 자라는 것도 있습니다. 언뜻 보면 쑥과 비슷하게 생겼는데 줄기를 돌려나는, 꽃잎 끝이 벌어진 통꽃이 층층이 피는 점이 다릅니다. 잎 모양도 차이가 있습니다. 마주나는 익모초 줄기잎은 아주 길고, 3개로 가늘게 갈라진 다음 다시 2∼3개로 갈라지는 특이한 형태입니다.







익모초 무리.







익모초 무리.

일부 지방에서는 익모초를 눈비엿, 눈비얏, 암눈비앗 등 고유의 이름으로 부르고 있습니다. 새벽에 이슬이 내려앉은 익모초를 그대로 채취해 즙을 내라거나 생즙을 낸 다음 하룻밤 밤 이슬을 맞춘 후 마시라고 하는데, 익모초의 쓴맛을 줄이려는 방법인 것 같습니다.

이 꽃을 볼 때마다 어머니가 생각난다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저도 그렇습니다. 최명희 소설 ‘혼불’에서도 여주인공 강실이가 익모초를 보고 어머니가 생각나 울음을 삼키는 장면이 있습니다.

<”단오날 정오에 캔 약쑥 익모초가 제일 좋지. 약효가 그만이라.” 하며 들에 나가 어울려 캐 온 약쑥과 익모초를 헛간 옆구리 그늘에다 널어 말리던 어머니. (중략)

그래서 여름날의 무명옷 올 사이로는 익모초 진초록 쓴맛이 쌉쏘롬히 배어들어, 오류골댁이 소매를 들어 올리거나 슥 옆으로 지나칠 때, 또 가까이 다가 앉을 때면 냇내처럼 그 쓴내가 흩어졌다.

익모... 그 말이 새삼스럽게 가슴을 에이어 강실이는 우욱 치미는 울음을 삼킨다.> (‘혼불’ 7권)




익모초. 잎이 길쭉하고 홍자색 꽃이 층층이 달려 있다.


당시 강실이는 거멍굴 상민인 춘복이에게 겁탈을 당해 아이를 가진 상태였습니다. 어머니가 자신의 처지를 알면 어떤 시련을 겪고 어떤 마음 고생을 할지 짐작하는 것은 어렵지 않았을 겁니다. 이런 상황에서 익모초를 보자 울컥하지 않을 수 없었던 것 같습니다.

비슷한 식물로 속(屬)이 같은 송장풀이 있습니다. 송장풀은 꽃색도 연한 분홍색인데다 잎이 긴 타원형이어서 익모초와 구분할 수 있습니다. 송장풀은 이름이 좀 그렇지만 꽃은 예쁩니다. 왜 이런 이름을 가졌는지에 대해서는 정확히 알 수 없고 설만 분분합니다. ‘송장’과는 관련이 없는 것은 분명해 차라리 ‘개속단’이라고 부르는 것이 낫겠다는 견해가 많습니다.







송장풀. 익모초와 비슷하나, 꽃색이 연한 분홍색이고 잎이 긴 타원형이다.







송장풀. 익모초와 비슷하나, 꽃색이 연한 분홍색이고 잎이 긴 타원형이다.

지난 주말에도 시골에 가보니 길가에서 익모초를 어렵지 않게 발견할 수 있었습니다. 긴 잎과 층층이 달린 홍자색 꽃이 요즘 한창이었습니다. 굳이 즙을 내 먹지 않더라도, 싱싱한 익모초 잎과 꽃만 보아도 더위에 지친 몸과 마음이 한결 가벼워지는 것 같습니다.

전체 136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추천 조회
116
(이영아) 하늘 나라로 보내는 편지 /영원히 간직할 내마음의 혼불
최명희문학관 | 2022.12.24 | 추천 0 | 조회 298
최명희문학관 2022.12.24 0 298
115
(유지철) 언어는 정신의 지문
최명희문학관 | 2022.12.24 | 추천 0 | 조회 368
최명희문학관 2022.12.24 0 368
114
(김민철) ‘혼불’ 강실이가 익모초 보고 울컥한 이유
최명희문학관 | 2022.08.23 | 추천 0 | 조회 350
최명희문학관 2022.08.23 0 350
113
(장창영)최명희문학관이 있어 전주가 행복한 이유
최명희문학관 | 2022.07.05 | 추천 0 | 조회 471
최명희문학관 2022.07.05 0 471
112
(송가영)문학인과 언론인의 ‘경계인’
최명희문학관 | 2022.06.22 | 추천 0 | 조회 786
최명희문학관 2022.06.22 0 786
111
(박윤미)개구리 이야기
최명희문학관 | 2022.06.22 | 추천 0 | 조회 422
최명희문학관 2022.06.22 0 422
110
(김두규) 생거부안(生居扶安)과 사거순창(死居淳昌)
최명희문학관 | 2022.06.11 | 추천 0 | 조회 568
최명희문학관 2022.06.11 0 568
109
(김두규) 관광의 고장 전북만들기와 풍수
최명희문학관 | 2022.06.11 | 추천 0 | 조회 513
최명희문학관 2022.06.11 0 513
108
(김두규) ‘작은 서울[小京]’ 남원과 천추락(千秋樂)
최명희문학관 | 2022.06.11 | 추천 0 | 조회 513
최명희문학관 2022.06.11 0 513
107
(김두규) 전북의 8대(八大) 명당
최명희문학관 | 2022.06.11 | 추천 0 | 조회 749
최명희문학관 2022.06.11 0 749
메뉴
error: 콘텐츠가 보호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