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들목

그리고 최명희

최명희 씨를 생각함

최명희씨를 생각하면 작가의 어떤 근원적인 고독감 같은 것이 느껴진다. 1993년 여름이었을 것이다. 중국 연길 서시장을 구경하고 있다가 중국인 옷으로 변장하고 커다란 취재 노트를 든 최명희씨를 우연히 만났다.

「혼불」의 주인공의 행로를 따라 이제 막 거기까지 왔는데 며칠 후엔 심양으로 들어갈 것이라고 했다. 그리고 웃으면서 연길 사람들이 한국인이라고 너무 바가지를 씌우는 바람에 그런 옷을 입었노라고 했다. 그날 저녁 김학철 선생 댁엘 들르기로 되어 있어 같이 갔는데 깐깐한 선생께서 모르는 사람을 데려왔다고 어찌나 통박을 주던지 민망해한 적이 있다. 그 후 서울에서 한 번 더 만났다. 한길사가 있던 신사동 어느 카페였는데 고저회와 함께 셋이서 이슥토록 맥주를 마신 것 같다. 밤이 늦어 방향이 같은 그와 함께 택시를 탔을 때였다. 도곡동 아파트가 가까워지자 그가 갑자기 내 손을 잡고 울먹였다.’이형, 요즈음 내가 한 달에 얼마로 사는지 알아? 삼만 원이야, 삼만 원……

동생들이 도와주겠다고 하는데 모두 거절했어. 내가 얼마나 힘든지 알어?’ 고향 친구랍시고 겨우 내 손을 잡고 통곡하는 그를 달래느라 나는 그날 치른 학생들의 기말고사 시험지를 몽땅 잃어버렸다. 그리고 그날 밤 홀로 돌아오면서 생각했다.
그가 얼마나 하기 힘든 얘기를 내게 했는지를. 그러자 그만 내 가슴도 마구 미어지기 시작했다. 나는 속으로 가만히 생각했다. ‘혼불’은 말하자면 그 하기 힘든 얘기의 긴 부분일 것이라고.

시집 ‘은빛 호각’ (이시형/창비) 중에서

▣ 작가 최명희와 소설 <혼불>을 떠올린 아름다운 분들의 애틋한 글이에요.

[전재학 칼럼] 청년들이여, 그대에게 삶의 ‘혼불’은 무엇인가?

작성자
최명희문학관
작성일
2020-09-07 12:12
조회
1115
출처: 에듀인뉴스 http://www.eduin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33368




[전재학 칼럼] 청년들이여, 그대에게 삶의 ‘혼불’은 무엇인가?


(사진=유튜브 캡처)
[에듀인뉴스] 우리는 살면서 온갖 어려운 삶을 극복했을 때 ‘최선을 다했다’는 말로 대신한다. 물론 이것은 한마디로 자신이 가진 역량을 다 바쳐 노력을 했다는 의미이다. 

그러나 이 표현은 상대방으로 하여금 자신이 경험한 바를 충분히 공유하기가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그래서 일전에 작가 조정래 선생도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강연에서 “최선을 다한다는 말을 함부로 하지 말라. 최선을 다한다는 것은 자신을 감동시키는 것이다라고 말하기도 했다. 


자신을 감동시킬 만큼 혼신의 힘을 쏟아 붓는다는 것은 결코 말처럼 쉽지 않다. ‘죽을힘을 다 했다’, ‘청춘을 묻었다’, ‘영혼을 불어 넣었다’ 등의 표현은 어느 정도 강도(强度)가 묻어난다. 하지만 이 경우는 우리가 충분히 이해하기가 어려운 것도 사실이다. 왜냐면 현대를 사는 우리는 말과는 다르게 그렇게 치열하게 살아가는 경우가 흔치 않기 때문이다. 

문명의 발달이 가져다 준 삶의 편리함과 혜택을 누리기 때문이리라. 그래서 소위 ‘밀레니얼’과 ‘Z세대’라 불리는 청년들에게 이 말의 감응을 철저하게 전달할 수는 없다. 다만 문학 작품 속에서 만나는 역경과 시련의 삶을 통해 피상적으로 이해할 뿐이다. 

우리의 역사에서 조선말과 근대에 걸쳐 민초들의 삶의 모습을 파헤치면서 온갖 부침을 글로써 탄생시킨 명저(名著)가 많다. 예컨대 우리 민중에게 가장 널리 알려진 박경리의 대하소설 ‘토지’도 그중의 하나다. 

그 작품이 남긴 감동과 울림을 어찌 표현할 수 있을까? 하지만 필자는 본고에서 그에 못지않은 또 다른 작가를 당당히 소환하고자 한다. 바로 최명희 작가다. 

그는 대표작 《혼불》에서 전라도 어느 양반가의 며느리 3대 이야기를 혼을 다해 저술하여 세상에 탄생시켰다. 작가는 한 가문의 삶의 모습을 치밀하게 묘사한 일생의 역작을 남기고 떠나면서 ‘혼불’의 의미를 세상에 각인을 시켰다. 

이는 오늘날 청년들에게 비록 글 속에서나마 ‘혼불’이란 용어를 의미심장하게 각인시켰다. 원래 ‘혼불’은 전라도 지방에서 쓰는 방언으로 ‘사람의 혼을 이루는 푸른빛으로 죽기 얼마 전에 몸에서 빠져나가며 그 크기는 작은 밥그릇만 하다’고 알려져 있다. 

그렇다면 혼신을 다해 지피고 간직하는 ‘혼불’이 있다면 그것의 삶은 어떤 모습일까? 천상병 시인은 역작 <귀천>에서 ‘나 하늘로 돌아 가리라. 아름다운 이 세상 소풍 끝내는 날, 가서, 아름다웠다고 말하리라’라는 자신의 시구처럼, “아름다운 세상. 잘 살다 간다”고 마지막 말을 남기고 혼신의 힘을 다해 살다갔다. 

그리고 사람들에게 세상사는 지혜에 대한 귀한 영감을 전해주었다. 어떻게 살면 아름다운 세상, 잘 살다 간다고 말할 수 있을까? 그것은 바로 ‘진인사대천명(盡人事待天命)’하는 자세다.

이는 학창시절 고전에서 배우는 가장 익숙한 표현으로 웬만한 청년들도 들어 봤거나 읽어 보았을 것이다. 바로 이것은 자신의 혼불을 바쳐 살아야만 가능한 것이다. 


요즘 청년들에게는 ‘세상에 공짜 점심은 없다’는 말이 더 익숙하다. 이는 단지 자신의 목적을 성취하기 위해서는 그만한 대가가 있어야 한다는 의미로 받아들일 것이다. 그러나 세상은 이보다 훨씬 센 대가를 요구한다. 미지의 세상에 대해 두려운 마음을 용기로 승화시켜야 한다. 

그리고 자신에게 주어진 기회를 과감히 부딪쳐 도전하고 응전해야 한다. 그래서 주어지는 결과는 인간의 바람을 능가하기에 겸허히 하늘의 뜻에 따라 기다려야 한다. 이것이 반복되는 일상의 삶은 비로소 혼신을 다해 삶을 사는 자세가 된다. 

이밖에 자신의 혼불을 다 바쳐 살았던 사람은 어떠한 모습일까? 다시금 청년들이 이해할 수 있는 상황으로 가깝게 다가서보자. 

‘하늘을 우러러 한 점 부끄럼 없기를 잎새에 이는 바람에도 괴로워했다’는 윤동주 시인은 어떠한가. 일제강점기, 젊은 나이에 혼신을 힘을 다하는 삶의 자세로 살아있는 민족혼을 일깨우며 고뇌의 한 세상을 살다간 그였기에 감히 우리는 윤동주의 삶을 기리고자 하는 것이 아니겠는가? 

그처럼 젊은 나이에 자신의 사상과 행동을 일치시키는 지성인은 드물다. 불행하고 짧은 생을 마감하였지만 시대의 정신으로 모범적인 삶을 살다간 혼불의 문학도라는 점에는 이의가 없을 것이다. 또 ‘연탄재 함부로 발로 차지 마라. 너는 누구에게 한번이라도 뜨거운 사람이었느냐’고 묻는 안도현 시인은 어떤가? 평상시 타인에게 따뜻한 행동의 소유자는 배려의 정신이 자연스레 몸에 배어 난다. 

이런 사람은 함부로 행동하지 않는다. 매사에 신중하게 자신의 행동을 되돌아보기 때문이다. 연탄이 자신의 생명을 다하고 버려지는 비록 퇴물일지라도 배려하는 사람은 이러한 자연의 미물 하나도 허투루 보지 않는다. 타다 남은 연탄재 하나라도 함부로 발로 차지 않는 행위를 일깨우는 것처럼 타인을 위해서 따뜻하게 살다가는 진정으로 혼신을 다하는 모습이 아닐까. 

청년들이여, 잠시 숙고의 시간을 갖자. 앞으로 무엇을 위해서 혼신의 힘을 바쳐 생을 전개해 나갈 것인가? 젊음은 지성을 향한 몸부림이어야 한다. ‘책을 읽다가 죽어버리자’는 몰입과 집념의 자세는 젊어서 한 우물 파기의 한 가지 사례가 될 것이다. 


책 속에 길이 있고 이 세상 천재들의 지혜가 담겨있다. 한 평생을 혼신의 힘을 다해 살아 온 그들의 온전한 인생이 담겨있다. 그것을 단 몇 시간 아니 며칠의 독서로 얻을 수 있다는 것이 얼마나 기적 같은 일인가? 

그래서 소크라테스 성인도 “남의 책을 많이 읽어라. 남이 고생하여 얻은 지식을 아주 쉽게 내 것으로 만들 수 있고, 그것으로 자기 발전을 이룰 수 있다.”고 말하지 않았던가. 

또한 헤르만 헤세도 말했다. “그대가 오랫동안 책 속에 파묻혀 구하던 지혜, 펼치는 곳마다 환히 빛나니, 이제는 그대의 것이리.” 

책 한 권에는 저자가 오랜 시간에 걸쳐 깨닫고 압축하여 정리한 삶의 정수가 들어있다. 살아서 내가 세상의 많은 일을 직접 경험하지 못하는 한 어떻게 똑똑한 삶의 정수인 지혜를 얻을 수 있을까. 혼신의 힘을 다해 책을 읽고 터득하는 독서행위는 그러한 목적을 성취할 수 있는 선택과 집중의 본보기다. 

“하루라도 책을 읽지 않으면 입에 가시가 돋친다”는 안중근 의사의 삶도 혼신의 힘을 다해 조국의 독립을 위해 짧고 굵게 살다간 대표적인 예이다. 그가 있기에 정의는 살아서 후손들에게 행동하는 양심의 본보기를 보여준다. 제국주의 일본의 교도소 관리까지 그의 인격에 감화를 받아 개인적 숭배의 대상으로 삼고 그의 유품을 간직해 왔다는 사실은 우리를 숙연하게 만든다.

청년들이여, 삶의 혼불을 밝혀 이 세상에서의 삶이 참으로 아름다웠노라고 당당히 말하는 지성을 갖추자. 이것이 진인사대천명의 출발을 이룬다. 

시대를 탓하기엔 시간이 아깝다. 그대의 혼불로 그대의 삶을 감동시킬 준비를 하자. 젊음은 마냥 그대로 남아 있지 않는다. 그러니 책을 읽고 그 속에서 혼불을 만나야 한다. 다시 묻는다. 그대에게 삶의 ‘혼불’은 무엇인가? 


전재학 인천 세원고 교감



전체 136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추천 조회
136
(남영희)'바른말 광'이 길어올린 영혼의 언어
최명희문학관 | 2023.03.17 | 추천 0 | 조회 331
최명희문학관 2023.03.17 0 331
135
(김두규)[풍수로 보는 전북 부흥의 길] <66> 전북의 풍수사(風水師)들 이야기(3)
최명희문학관 | 2023.03.02 | 추천 0 | 조회 402
최명희문학관 2023.03.02 0 402
134
(유화웅) 혼례식이 달라지고 있어요
최명희문학관 | 2023.02.25 | 추천 0 | 조회 317
최명희문학관 2023.02.25 0 317
133
(이길재)[이길재의 겨레말]나랑
최명희문학관 | 2023.02.09 | 추천 0 | 조회 358
최명희문학관 2023.02.09 0 358
132
(이길재)[이길재의 겨레말]가을
최명희문학관 | 2023.02.09 | 추천 0 | 조회 379
최명희문학관 2023.02.09 0 379
131
(이길재)[이길재의 겨레말]날궂이
최명희문학관 | 2023.02.09 | 추천 0 | 조회 361
최명희문학관 2023.02.09 0 361
130
(이길재)[고장말] 먹고 잪다
최명희문학관 | 2023.02.09 | 추천 0 | 조회 311
최명희문학관 2023.02.09 0 311
129
(이길재)[고장말] 나어 집!
최명희문학관 | 2023.02.09 | 추천 0 | 조회 353
최명희문학관 2023.02.09 0 353
128
(이길재)[고장말] 삘건색
최명희문학관 | 2023.02.09 | 추천 0 | 조회 319
최명희문학관 2023.02.09 0 319
127
(이길재)[고장말] 허망헙디다
최명희문학관 | 2023.02.09 | 추천 0 | 조회 356
최명희문학관 2023.02.09 0 356
메뉴
error: 콘텐츠가 보호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