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들목

그리고 최명희

최명희 씨를 생각함

최명희씨를 생각하면 작가의 어떤 근원적인 고독감 같은 것이 느껴진다. 1993년 여름이었을 것이다. 중국 연길 서시장을 구경하고 있다가 중국인 옷으로 변장하고 커다란 취재 노트를 든 최명희씨를 우연히 만났다.

「혼불」의 주인공의 행로를 따라 이제 막 거기까지 왔는데 며칠 후엔 심양으로 들어갈 것이라고 했다. 그리고 웃으면서 연길 사람들이 한국인이라고 너무 바가지를 씌우는 바람에 그런 옷을 입었노라고 했다. 그날 저녁 김학철 선생 댁엘 들르기로 되어 있어 같이 갔는데 깐깐한 선생께서 모르는 사람을 데려왔다고 어찌나 통박을 주던지 민망해한 적이 있다. 그 후 서울에서 한 번 더 만났다. 한길사가 있던 신사동 어느 카페였는데 고저회와 함께 셋이서 이슥토록 맥주를 마신 것 같다. 밤이 늦어 방향이 같은 그와 함께 택시를 탔을 때였다. 도곡동 아파트가 가까워지자 그가 갑자기 내 손을 잡고 울먹였다.’이형, 요즈음 내가 한 달에 얼마로 사는지 알아? 삼만 원이야, 삼만 원……

동생들이 도와주겠다고 하는데 모두 거절했어. 내가 얼마나 힘든지 알어?’ 고향 친구랍시고 겨우 내 손을 잡고 통곡하는 그를 달래느라 나는 그날 치른 학생들의 기말고사 시험지를 몽땅 잃어버렸다. 그리고 그날 밤 홀로 돌아오면서 생각했다.
그가 얼마나 하기 힘든 얘기를 내게 했는지를. 그러자 그만 내 가슴도 마구 미어지기 시작했다. 나는 속으로 가만히 생각했다. ‘혼불’은 말하자면 그 하기 힘든 얘기의 긴 부분일 것이라고.

시집 ‘은빛 호각’ (이시형/창비) 중에서

▣ 작가 최명희와 소설 <혼불>을 떠올린 아름다운 분들의 애틋한 글이에요.

(김두규)[풍수로 보는 전북 부흥의 길] <66> 전북의 풍수사(風水師)들 이야기(3)

작성자
최명희문학관
작성일
2023-03-02 19:50
조회
425
글쓴이: 김두규 우석대 교수(문화재청 문화재위원)

출처: 전북도민일보 2023년 3월 2일 자

http://www.dom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1416087

지난 2월 15일, 국민의힘 합동연설회에서 안철수 의원은 “국민의힘에 뼈를 묻을 것”이라고 하였다. 대통령이 되기 전, 문재인은 양산 매곡 마을에 살았다. 대통령 당선 후 청와대로 가기 전 그곳 주민들에게 “(퇴임 후) 다시 이곳에 돌아와 뼈를 묻겠다”고 하였다. 그러나 퇴임 후 그는 그곳으로 돌아가지 않았다. “뼈를 묻겠다”는 뜻은 무엇일까?

시인 김소월의 ‘고향’이란 시에서 그 뜻을 유추해 볼 수 있다.

“짐승은 모르나니 고향이나마/사람은 못 잊는 것 고향입니다./(...)/조상님 뼈 가서 묻힌 곳이라/”.

뼈를 묻는 곳이 고향이란 뜻이다. 문 전 대통령은 약속을 지키지 않았다. 안철수 의원이 국민의힘에 영원히 당적을 둘지 지켜볼 일이다.

그렇다면 ‘뼈도 못추린다’와 ‘뼈대 있는 집안’이란 말은 무슨 뜻일까? 지질의 특성에 따라 조상을 길지에 안장할 때 세월이 가면 살은 없어지고[육탈·肉脫] 뼈만 황골(黃骨)로 남는 곳이 있다. 무덤 속이 습하거나 물이 끼면 뼈가 녹아 없어져 문자 그대로 ‘뼈 하나 추릴 수 없다’. 황골이 오래 보존된 집안은 후손이 번성하여 “뼈대 있는 집안”이 되고, 조상의 ‘뼈도 못추리는’ 집안은 쇠락한다는 것이 묘지풍수론이다.

신라 신분제도를 골품제(骨品制)라고 한다. 뼈[骨]의 등급[品]을 바탕으로 하였다. 성골(聖骨)은 ‘성스러운 뼈’로서 왕이 될 자격을 갖는다. 진골(眞骨)은 ‘진짜 뼈’로서 성골 다음의 신분이었다.

‘뼈의 인문학’이다. 해방 이후 전북이 배출한 최고의 소설가 최명희는 이를 어떻게 형상화하였을까? 소설 본문이 약간 길지만, 투박한 전북 사투리로 묘사되었기에 전북인은 충분히 해독 가능할 것이다.

“나뭇가쟁이맹이로 차고 날러가 버릴 수 없는 것이 타고난 조상의 뻭다구라먼, 그거이 저 앉은 한 펭상의 근본이라먼, 내(천민 홍술)가 인자 저것(홍술의 손자)의 조상이 되야서, 내 뻭다구를 양반으로 바꽈 줄 수는 도저히 없는 거잉게, 멩당이라도 써야제. 천하에 멩사(名師). 멩풍(名風)을 다 데리다가 묏자리 본 양반으 산소 옆구리를 몰래 따고 들으가서라도 멩당을 써야제. 우리 재주로는 어디 그런 집안으서 신안(神眼) 뫼세다가 잡은 자리만 헌 디를 달리 구헐 수도 없을 팅게. 그 봉분 옆구리를 째고 들으가서라도 양반이 쓴 멩당인디 오죽헐 거이냐.

ㅤ뻭다구 하나 잘 타고나 양반이 된 그 뻭다구 옆에 내 뻭다구 나란히 동좌석허고 있다가, 세월이 가고 가서 나중에는 그것도 썩고 내것도 썩어 한 자리에 몸뚱이로 얼크러지먼, 니 다리, 내 다리, 니 복, 내 복을 누가 앉어 따로 따로 어지 개리겄능가. 어찌 되얐든 그 자리다가 뫼 쓴 것이 되야부렀는디. 그런 뒤에 멩당 기운이 발복(發福)을 허먼, 그 자손 내 자손이 똑같이 받겄지.”(‘혼불’)

최명희 선생이 풍수의 본질을 파악할 수 있었던 것은 “풍수를 비롯한 한학에 능했던 외조부님 허완 덕분”이었다(최명희 동생 최대범 선생). ‘혼불’이 묘사하듯, 묘지 풍수의 핵심은 조상을 좋은 곳에 모셔 ‘뼈대 있는 집안’을 만드는 것이었다.

반문할 것이다. ‘요즘은 화장(火葬)이 대세이다. 또 과거 큰 스님이나 불교를 믿었던 고려 왕족·귀족들은 화장을 했다. 뼈가 없는데도 잘만 살지 않았는가?’ 고려의 왕족과 귀족들은 화장을 하였지만, 길지에 뼈를 안장하여 그 복을 받으려 하였다. 유교풍수와 불교풍수의 차이이다. 이 둘이 공통적으로 중시한 것은 무엇이었을까?

“뼈를 묻는 것이 아니라, 사람의 신령스러운 마음을 묻는 것”을 전제한다.(‘금낭경’). 풍수사들의 마음 또한 그러하였다.(계속)
전체 136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추천 조회
136
(남영희)'바른말 광'이 길어올린 영혼의 언어
최명희문학관 | 2023.03.17 | 추천 0 | 조회 350
최명희문학관 2023.03.17 0 350
135
(김두규)[풍수로 보는 전북 부흥의 길] <66> 전북의 풍수사(風水師)들 이야기(3)
최명희문학관 | 2023.03.02 | 추천 0 | 조회 425
최명희문학관 2023.03.02 0 425
134
(유화웅) 혼례식이 달라지고 있어요
최명희문학관 | 2023.02.25 | 추천 0 | 조회 337
최명희문학관 2023.02.25 0 337
133
(이길재)[이길재의 겨레말]나랑
최명희문학관 | 2023.02.09 | 추천 0 | 조회 375
최명희문학관 2023.02.09 0 375
132
(이길재)[이길재의 겨레말]가을
최명희문학관 | 2023.02.09 | 추천 0 | 조회 392
최명희문학관 2023.02.09 0 392
131
(이길재)[이길재의 겨레말]날궂이
최명희문학관 | 2023.02.09 | 추천 0 | 조회 380
최명희문학관 2023.02.09 0 380
130
(이길재)[고장말] 먹고 잪다
최명희문학관 | 2023.02.09 | 추천 0 | 조회 328
최명희문학관 2023.02.09 0 328
129
(이길재)[고장말] 나어 집!
최명희문학관 | 2023.02.09 | 추천 0 | 조회 367
최명희문학관 2023.02.09 0 367
128
(이길재)[고장말] 삘건색
최명희문학관 | 2023.02.09 | 추천 0 | 조회 333
최명희문학관 2023.02.09 0 333
127
(이길재)[고장말] 허망헙디다
최명희문학관 | 2023.02.09 | 추천 0 | 조회 372
최명희문학관 2023.02.09 0 372
메뉴
error: 콘텐츠가 보호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