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들목

그리고 최명희

최명희 씨를 생각함

최명희씨를 생각하면 작가의 어떤 근원적인 고독감 같은 것이 느껴진다. 1993년 여름이었을 것이다. 중국 연길 서시장을 구경하고 있다가 중국인 옷으로 변장하고 커다란 취재 노트를 든 최명희씨를 우연히 만났다.

「혼불」의 주인공의 행로를 따라 이제 막 거기까지 왔는데 며칠 후엔 심양으로 들어갈 것이라고 했다. 그리고 웃으면서 연길 사람들이 한국인이라고 너무 바가지를 씌우는 바람에 그런 옷을 입었노라고 했다. 그날 저녁 김학철 선생 댁엘 들르기로 되어 있어 같이 갔는데 깐깐한 선생께서 모르는 사람을 데려왔다고 어찌나 통박을 주던지 민망해한 적이 있다. 그 후 서울에서 한 번 더 만났다. 한길사가 있던 신사동 어느 카페였는데 고저회와 함께 셋이서 이슥토록 맥주를 마신 것 같다. 밤이 늦어 방향이 같은 그와 함께 택시를 탔을 때였다. 도곡동 아파트가 가까워지자 그가 갑자기 내 손을 잡고 울먹였다.’이형, 요즈음 내가 한 달에 얼마로 사는지 알아? 삼만 원이야, 삼만 원……

동생들이 도와주겠다고 하는데 모두 거절했어. 내가 얼마나 힘든지 알어?’ 고향 친구랍시고 겨우 내 손을 잡고 통곡하는 그를 달래느라 나는 그날 치른 학생들의 기말고사 시험지를 몽땅 잃어버렸다. 그리고 그날 밤 홀로 돌아오면서 생각했다.
그가 얼마나 하기 힘든 얘기를 내게 했는지를. 그러자 그만 내 가슴도 마구 미어지기 시작했다. 나는 속으로 가만히 생각했다. ‘혼불’은 말하자면 그 하기 힘든 얘기의 긴 부분일 것이라고.

시집 ‘은빛 호각’ (이시형/창비) 중에서

▣ 작가 최명희와 소설 <혼불>을 떠올린 아름다운 분들의 애틋한 글이에요.

굿모닝 예향 명사 인터뷰로 돌아본 월간 통권 300호

작성자
최명희문학관
작성일
2020-09-07 12:13
조회
1232
출처: 광주일보 http://www.kwangju.co.kr/read.php3?aid=1599404400703521295






명사 인터뷰로 돌아본 월간 통권 300호

사회명사·예술인들의 생생한 이야기, 역사가 되다
임권택 감독 “인생이 녹아 영화가 되고 영화가 인생이 돼”
이매방 명인 “몸짓이 아니라 마음이 몸에서 우러나는 춤”
창간호 첫 인터뷰 박화성 소설가
백건우·윤정희 부부 ‘특별 인터뷰’ 추억
복간후 초대석엔 피아니스트 한동일
나태주·한승원·박완서·정유정 등 작가에게 직접 듣는 작품세계


2020년 09월 07일(월) 00:00



박화성 소설가

지역의 대표적인 문화예술잡지인 월간 ‘예향’은 창간호인 1984년 10월호 박화성 작가를 시작으로 지난 9월호(299호) 김혜순 한복 디자이너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사회명사와 예술인들을 만나 생생한 이야기를 들었다. 그들이 걸어온 길은 한국 문화예술사의 유장한 강줄기였고, 거대한 산맥이었다. 25년(휴간기간 제외)동안 월간 ‘예향’의 지면을 빛낸 예술인과 오피니언 리더들을 되돌아본다.



#“가장 꺼리는 것이 인터뷰에요. 그건 시간이 많이 걸리고 신경을 써야 하고 너무 피곤해요. 그래서 모두 거절해 왔는데 고향에서 여기까지 찾아왔으니 안 만날 수도 없고… 그냥 우리 고향 이야기나 하다 헤어져요. 인터뷰는 말고….”


월간 ‘예향’ 창간호 첫 인터뷰 대상은 목포 출신 박화성(1903~1988) 소설가였다. 1925년 ‘조선문단(朝鮮文壇)’에 ‘추석전야’(秋夕前夜)가 추천돼 등단한 후 ‘하수도 공사’와 ‘고향 없는 사람들’과 같은 문제작을 남겼다. 그는 인터뷰를 통해 “나는 죽을 때까지 쓸 것”이라며 “목포로 고개를 두르고 죽을겁니다. 유달산도, 바다도, 시민들도 모두 사랑합니다”라며 고향에 대한 애정을 표시했다.

월간 ‘예향’은 매호마다 문화예술계를 비롯해 각계각층의 명사들과 인터뷰를 가졌다. 종합지(誌)였던 휴간 이전 ‘예향’은 김대중 전 대통령 등 사회지도자·명사와 예술인들을 다뤘다. 그리고 복간된 이후 ‘예향’은 ‘글로컬’(Global+Local) 문화예술 전문 잡지를 표방하며 문화예술 분야의 많은 예술인들을 만났다.

◇인터뷰 통해 밝힌대로 자신의 길 걸었던 DJ=사회지도자·명사로는 김대중 전 대통령을 비롯해 윤공희 대주교, 이한기 전 감사원장, 이정래 제헌의원, 윤관 대법관, 이돈명 인권변호사 등을 특별대담과 인터뷰로 다뤘다. 잡지 또한 신문과 마찬가지로 ‘잡지 또한 ‘따끈한’ 뉴스를 쫓아 제작한다. 그래서 당시 독자들의 마음을 사로잡던 문인들의 인터뷰가 시의 적절하게 게재됐다. 동학농민혁명을 주제로 한 ‘녹두장군’(전 12권)을 한창 집필하던 송기숙 소설가를 비롯해 대하소설 ‘토지’(전 16권)을 완간한 박경리, 1980년 봄부터 17년간 집념으로 대하소설 ‘혼불’(전 10권)을 완성한 최명희 작가 등이 대표적이다.

전주 태생인 최명희(1947~1998) 작가는 ‘창작의 방’ 인터뷰(1997년 3월호)에서 “지금까지 나온 ‘혼불’은 전 10권이지만 한권만 읽어도 ‘혼불’을 충분히 흡월할 수 있게, 아니 한권이 아니라 한 장만 읽어도 충분한, 그것도 여의치 않으면 몇 장이 찢겨 돌아다니다 바람에 날려 우연히 주워 읽은 사람도 마음에 남는, 잊혀지지 않는 소설을 쓰고 싶어요. 심지어는 어휘 하나라도 건져내서 세상을 정화시킨다면 그것으로 만족하고말고요”라고 말했다.

또한 대하소설 ‘태백산맥’(전 10권)을 집필한 조정래 작가와 한승원, 박완서, 서정인, 정찬주, 이승우, 양귀자, 신경숙, 공선옥, 공지영, 정유정, 김왕석(‘사냥꾼 이야기’ 작가), 김정수(극작가) 등 작가들에게 직접 듣는 문학세계는 독자들의 열띤 호응을 얻었다. 정찬주 작가는 ‘예향초대석’ 인터뷰(2018년 5월호)에서 “이 친구(연극 연출가 박효선)를 생각하면 언젠가는 광주 얘기를 써야 될 것 같다”고 밝힌 대로 2년 후 5·18 광주 민중항쟁을 인물 중심으로 다룬 장편소설 ‘광주 아리랑’(전 2권)을 세상에 내놓았다.

나태주 시인
시인으로는 ‘작품의 고향’과 ‘창작의 방’ 시리즈를 통해 문병란 시인과 조태일, 서정주, 조병화, 김용택, 나희덕, 나태주, 문정희, 이해인, 안도현, 정호승 등 독자의 마음을 사로잡았던 시인들이 지면을 빛냈다.



◇세계적 연주가들의 소소한 일상 모습 돋보여 =“우리가 광주에 무언가를 기여할 수 있는 행복을 갖게 되길 바랍니다.”

오랜 휴면 끝에 복간한 2013년 4월호(210호) ‘예향초대석’ 주인공은 세계적 피아니스트 한동일이었다. 전 세계를 돌며 활동하다 ‘삶의 무대’를 광주로 옮긴 피아니스트의 삶은 따뜻하고, 여운을 남겼다. 백건우 피아니스트와 윤정희 배우 부부와 정명화 첼리니스트, 김남윤 바이올리니스트 등 세계적인 클래식 거장들도 ‘예향’ 독자들에게 화려한 무대 뒷면의 소소한 일상을 소탈하게 밝혔다. 백건우·윤정희 부부는 ‘특별 인터뷰’(1994년 1월호)에서 “조용하게 내조를 하는 것 이상 부부간에 배려라는 게 뭐 별다른 게 있습니까? 특히 남편의 마음이 어수선한 것 같으면 같이 영화를 보자고 권유를 많이 했습니다”라며 결혼생활 20년의 내조에 대해 말했다.

사물놀이 김덕수 명인
월간 ‘예향’은 많은 한국화·서양화가들과 동행해왔다. 한국 추상미술 1세대 ‘신사실파’ 백영수와 운보 김기창, 남농 허건, 아산 조방원, ‘호남지역 최초의 여성화가’인 김영자, 오승우·오승윤, 강연균, 임옥상, 송창, 황재형. 한희원, 강운, 이미경(‘구멍가게 펜화작가), 이이남(미디어 아트), 이철수(판화) 작가 등의 작품세계를 소개했다.

사물놀이 김덕수 명인
국악 분야에서도 많은 예인(藝人)과 명창, 명인들이 ‘예향’ 지면을 통해 소개됐다. ‘한국 전통춤의 거목’ 명무(名舞) 이매방(1927~2015)과 ‘가야금 명인’ 황병기(1936~2018), 사물놀이 창시자 김덕수 명인을 비롯해 성창순·안숙선·윤진철·남상일 명창 등이 전통예술 세계의 진수를 보여주었다.

승무와 살풀이 예능보유자였던 이매방 명인은 생전에 가진 ‘예향 초대석’ 인터뷰(2014년 11월호)에서 “열심히 해야 춤이 늘고 춤이 몸에 들어간다니까. ‘헌둥만둥’(하는 둥 마는 둥)하면 몇 년, 몇 십년해도 춤이 늘지 않아. 춤하고 인생도 똑같아”라며 ‘몸짓이 아니라 마음이 몸에서 우러나는 춤’, ‘심무’(心舞)를 강조했다. 이매방 명인과 서예가 강암(剛菴) 송성용(1913~1999), 극작가 차범석 선생(1924~2006) 등이 생전에 인터뷰한 ‘예향’ 기사는 그대로 생생한 ‘기록 보관소’(Archive)역할을 톡톡히 한다.

25년동안 발행된 월간 ‘예향’은 여러 ‘인연’을 낳았다. 패션 디자이너 이광희 (사)희망의 망고나무 대표는 ‘예향 초대석’ 섭외시 ‘예향’ 1994년 10월호 ‘전라도 여인들’ 시리즈에 첫 번째로 실린 어머니 김수덕 여사를 추억했다. 해남에서 ‘해남의 성자’로 불린 이준묵 목사를 도와 헌신적인 봉사의 삶을 사신 어머니의 피를 이어받아 그 역시 아프리카에 기아와 빈곤문제 해결을 위해 망고나무를 심는 봉사활동을 펼쳐오고 있다.

“이렇게 오래하다 보니까 인생이 녹아서 영화가 되고, 또 영화가 녹아서 인생이 되는구나 하는 생각이 듭니다.”

임권택 감독
장성 출신 임권택 감독(2016년 6월호)의 말이다. ‘재미없는 영화만 만드는 이유’라는 수필(1986년 4월호)을 썼던 그는 30년 후 세계적인 거장으로 우뚝 섰다. 이처럼 월간 ‘예향’에 등장했던 많은 사회명사와 예술인들이 걸어온 길은 한국 문화예술사의 유장한 강과 장대한 산맥을 형성했다. 예술가들의 숨결을 느낄 수 있는 인터뷰는 현재진행형이다.

/송기동 기자 song@kwangju.co.kr

전체 136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추천 조회
136
(남영희)'바른말 광'이 길어올린 영혼의 언어
최명희문학관 | 2023.03.17 | 추천 0 | 조회 348
최명희문학관 2023.03.17 0 348
135
(김두규)[풍수로 보는 전북 부흥의 길] <66> 전북의 풍수사(風水師)들 이야기(3)
최명희문학관 | 2023.03.02 | 추천 0 | 조회 422
최명희문학관 2023.03.02 0 422
134
(유화웅) 혼례식이 달라지고 있어요
최명희문학관 | 2023.02.25 | 추천 0 | 조회 333
최명희문학관 2023.02.25 0 333
133
(이길재)[이길재의 겨레말]나랑
최명희문학관 | 2023.02.09 | 추천 0 | 조회 373
최명희문학관 2023.02.09 0 373
132
(이길재)[이길재의 겨레말]가을
최명희문학관 | 2023.02.09 | 추천 0 | 조회 389
최명희문학관 2023.02.09 0 389
131
(이길재)[이길재의 겨레말]날궂이
최명희문학관 | 2023.02.09 | 추천 0 | 조회 377
최명희문학관 2023.02.09 0 377
130
(이길재)[고장말] 먹고 잪다
최명희문학관 | 2023.02.09 | 추천 0 | 조회 323
최명희문학관 2023.02.09 0 323
129
(이길재)[고장말] 나어 집!
최명희문학관 | 2023.02.09 | 추천 0 | 조회 365
최명희문학관 2023.02.09 0 365
128
(이길재)[고장말] 삘건색
최명희문학관 | 2023.02.09 | 추천 0 | 조회 330
최명희문학관 2023.02.09 0 330
127
(이길재)[고장말] 허망헙디다
최명희문학관 | 2023.02.09 | 추천 0 | 조회 369
최명희문학관 2023.02.09 0 369
메뉴
error: 콘텐츠가 보호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