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들목

그리고 최명희

최명희 씨를 생각함

최명희씨를 생각하면 작가의 어떤 근원적인 고독감 같은 것이 느껴진다. 1993년 여름이었을 것이다. 중국 연길 서시장을 구경하고 있다가 중국인 옷으로 변장하고 커다란 취재 노트를 든 최명희씨를 우연히 만났다.

「혼불」의 주인공의 행로를 따라 이제 막 거기까지 왔는데 며칠 후엔 심양으로 들어갈 것이라고 했다. 그리고 웃으면서 연길 사람들이 한국인이라고 너무 바가지를 씌우는 바람에 그런 옷을 입었노라고 했다. 그날 저녁 김학철 선생 댁엘 들르기로 되어 있어 같이 갔는데 깐깐한 선생께서 모르는 사람을 데려왔다고 어찌나 통박을 주던지 민망해한 적이 있다. 그 후 서울에서 한 번 더 만났다. 한길사가 있던 신사동 어느 카페였는데 고저회와 함께 셋이서 이슥토록 맥주를 마신 것 같다. 밤이 늦어 방향이 같은 그와 함께 택시를 탔을 때였다. 도곡동 아파트가 가까워지자 그가 갑자기 내 손을 잡고 울먹였다.’이형, 요즈음 내가 한 달에 얼마로 사는지 알아? 삼만 원이야, 삼만 원……

동생들이 도와주겠다고 하는데 모두 거절했어. 내가 얼마나 힘든지 알어?’ 고향 친구랍시고 겨우 내 손을 잡고 통곡하는 그를 달래느라 나는 그날 치른 학생들의 기말고사 시험지를 몽땅 잃어버렸다. 그리고 그날 밤 홀로 돌아오면서 생각했다.
그가 얼마나 하기 힘든 얘기를 내게 했는지를. 그러자 그만 내 가슴도 마구 미어지기 시작했다. 나는 속으로 가만히 생각했다. ‘혼불’은 말하자면 그 하기 힘든 얘기의 긴 부분일 것이라고.

시집 ‘은빛 호각’ (이시형/창비) 중에서

▣ 작가 최명희와 소설 <혼불>을 떠올린 아름다운 분들의 애틋한 글이에요.

(이길재)[고장말] 밥 묵고 혀!

작성자
최명희문학관
작성일
2023-02-09 16:54
조회
157
○출처: 한겨레 2009-04-05 [고장말] 밥 묵고 혀!

○글쓴이: 이길재/겨레말큰사전 새어휘팀장

https://www.hani.co.kr/arti/opinion/column/348194.html

‘혀’는 고장말 ‘허-’와 토 ‘-어’가 결합된 형태다.

표준어 ‘하다’의 방언형은 ‘허다’뿐인데, ‘하다’와 ‘허다’ 모두 ‘N다’의 ‘아래아(·)’가 지역에 따라 다른 변화를 겪은 결과다. ‘N다>하다’와 같은 변화는 강원·경기·경상·충북 쪽, ‘N다>허다’는 주로 전라·제주·충남·평안·황해 쪽에서 경험했다.

“먹지는 못헐망정 눈요구라도 허고 가소.”(<장마> 윤흥길)

“오늘 못허면 내일 허고, 내일 못허면 모레 헙쥬.”(<변방에 우짖는 새> 현기영)

“허구푼 노릇이 머이가 말해 보라우.”(<한국구전설화> 평안편)

‘허다’가 자음으로 시작하는 토와 결합하면 ‘허다’를 쓰는 모든 지역에서 ‘허구, 허도’처럼 쓰인다. 그러나 모음으로 시작하는 토와 결합하면 지역에 따라서 ‘혀, 혀서, 혀라’로 쓰이는 데와 ‘하다’와 ‘해, 해서, 해라’로 쓰이는 데로 나뉜다. 앞은 제주·평안·황해와 충남 일부, 뒤는 전라와 충청 일부다.

“… 지게꾼, 날품꾼, 행상꾼, 뇌동, 안 혀본 일이 거짐 읍음닌다.”(<장한몽>

이문구) “이야기를 헐라면 이 늙은이도 좀 알아먹게 혀 봐라.”(<들불> 유현종)

특히 전북에서는 ‘허다’의 활용형 ‘혀’가 ‘혀>혜>헤>히’를 거쳐 굳어진 ‘히’가 ‘히고, 히면, 히서, 히라’처럼 쓰이기도 한다. “편지를 히면 자세한 목록이 다 오고요.”(<혼불> 최명희)

“비좁아서 비비떨쿠 둘오덜 못 히서, 저그 어디가 백여 섰는지 아냐?(<소년은 자란다> 채만식)
전체 136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추천 조회
126
(이길재)[고장말탐험] 참 이뿌죠잉!
최명희문학관 | 2023.02.09 | 추천 0 | 조회 329
최명희문학관 2023.02.09 0 329
125
(이길재)[고장말] 싸게 가더라고!
최명희문학관 | 2023.02.09 | 추천 0 | 조회 250
최명희문학관 2023.02.09 0 250
124
(이길재)[고장말] 억수로 가찹데이!
최명희문학관 | 2023.02.09 | 추천 0 | 조회 214
최명희문학관 2023.02.09 0 214
123
(이길재)[고장말] 집이 갔슴둥?
최명희문학관 | 2023.02.09 | 추천 0 | 조회 200
최명희문학관 2023.02.09 0 200
122
(이길재)[고장말] 밥 묵고 혀!
최명희문학관 | 2023.02.09 | 추천 0 | 조회 157
최명희문학관 2023.02.09 0 157
121
(이길재)[고장말] 너한질라
최명희문학관 | 2023.02.09 | 추천 0 | 조회 180
최명희문학관 2023.02.09 0 180
120
(이길재)[고장말] 대체나 그렇네 잉!
최명희문학관 | 2023.02.09 | 추천 0 | 조회 158
최명희문학관 2023.02.09 0 158
119
(이길재)[고장말] 무단시 왜 그리 쌓소!
최명희문학관 | 2023.02.09 | 추천 0 | 조회 182
최명희문학관 2023.02.09 0 182
118
(박만식) 시 <혼불 만년필을 보다>
최명희문학관 | 2023.01.12 | 추천 0 | 조회 366
최명희문학관 2023.01.12 0 366
117
(김용재) 새해 인사, ‘손글씨’로 마음을 담다(전북일보 2022년 12월 28일 자)
최명희문학관 | 2022.12.27 | 추천 0 | 조회 264
최명희문학관 2022.12.27 0 264
메뉴
error: 콘텐츠가 보호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