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살소살

욜랑욜랑(자유게시판)

혼불 사랑. 4 신 화첩기행의 김 병종 교수의 '혼불 사랑

작성자
황종원
작성일
2019-11-20 19:59
조회
1104



 사업을 한다는 것이 만만하다고 생각하지는 않았으나 기계 장치가 들어가는 공장이라. 설비 투자는는 계속되고 있습니다.


월급쟁이 생활에 젖어있고, 가진 것은 집뿐인데다가 집을 담보로 투자한 내게 여력이 있을 리 없습니다.


생각은 많고 결론이 미루어지니 마음의 병이 몸의 병이 되어, 밤이 되면 볼펜 한 자루 들 힘이 없으나 오늘은 다행이 힘이 조금 돌아왔습니다.


지금 하고 있는 일에서 나는 소심히 겁을 먹고 탈출할 곳이 글을 올리는 일로 잊으려합니다.


시름 겨워도 소주 한 잔 안 하고 나는 담배도 피지 않습니다.


요즘은 아침에 뒷동산에 아내와 함께 1시간을 걷는 것이 나의 운동이구요.


나는 혼불 작가 최명희의 기록을 요즘 새로 500쪽 가까히 책을 한 권 만들어 꼭 5부를 펴냈습니다.


그 중 한 부를 서울대학미대 부학장이고 맛갈수롭게 글을 쓰는 김병종 교수에게 그 책을 보냈지요.


조선일보에 김병종 교수는 신화첩기행의 처음으로 작가 최명희에 대한 글을 썼었습니다.


작가 최명희와 김교수와는 막역한 교우가 있었다는 것을 알게되어 내가 만든 책을 김교수에게 보냈고, 내가 책을 보낸 것이 무모한 일이 아닐까 후회가 될 무럽. 김교수는 글을 내게 보내왔습니다.






이런 내용.




황종원 선생님께


관성하옵고, 보내주신 좋은 책 받고 이제야 글을 드리게되어 송구합니다.


선생님의 책을 보면서 참 많이 감동하였습니다. 그리고 최선생님이 일찍 가셨지만 복 많은 분이라는 생각도 했습니다. 어떻게 그렇게 어려운 자료들을 모으실 수 있었는지 참 감탄스롭군요. 황선생님처럼 우리의  문학과 예술을 사랑하시는 분들이 많이 많이 계셔야 할 터인데 하고 생각했습니다.


모쪼록 하시는 일이 훗날 우리 문예사에 귀한 발자국이 되길 바랍니다. 그럼



2000. 10.14  


서울대 관악구 서울대 미대 부학장 김병종 드림.




여기 다시 조선일보에 실렸던 김 교수의 글을 올립니다.




[김병종의 新화첩기행] <1> 혼불마을에서 




풍악산 자락엔 그녀 '혼불'이 타오르고 




간혹 그런 날이 있습니다. 한낮인데도 천지가 어두움에 싸이는 날. 구름은 음산하게 몰려다니고 짐승 같은 바람의 울음이 거리를 핥고 가는 날. 


시간의 불연속선 속에서 밤과 낮이 뒤집혀 버린 듯한 느낌이 드는 날이. 98년 가을의 어느 날, 광화문에서 마지막으로 작가 최명희를 만나던 날이 그랬습니다. 마지막으로라는 것은 그녀와 같은 신문의 신춘문예 시상식장에서 처음 만난 뒤 고즈넉한 우의를 나누어 온 세월이 어언 20여 년이었기 때문입니다. 


나보다 5, 6년 연상이었지만 예(예)를 흐트러뜨리는 법이 없는 여인이었습니다. 그녀의 병이 깊어 일체 외부 연락을 끊어 버린 지 실로 일 년 만의 외출이었습니다. 모처럼 점심식사를 함께 하는 시간이었지만 그녀는 거의 수저를 들지 않았습니다. 간혹 내 어깨 뒤로 창 밖을 할퀴는 사나운 바람을 바라 볼 뿐이었습니다. 


식사 후 예전에 그녀가 잘 갔다는 압구정동의 한 찻집으로 갔습니다. 텅 빈 그곳에서는 에디트 피아프의 쉰 목소리가 혼자 울리고 있었습니다. 다행히 그녀는 커피만은 맛있게 먹었습니다. 앞으로의 ‘혼불’의 계획에 대해 나는 신문기자처럼 물었고 그녀는 몇 가지 계획을 이야기했습니다. 


노래가 레오페레인가로 바뀌었을 무렵 우리는 일어섰고 내가 차 값을 냈습니다. 그녀는 잠시 낭패한 듯한 표정으로 있다가 “이담엔 내가 꼭 살게요.” 라고 했습니다. “이담에 언제요?”라고 했더니 그녀가 웃으며 대답했습니다. “겨울 되기 전? 아니 내년 봄쯤일지도 몰라. 걱정마요. 꼭 살게요.” 


찻집을 나오는데 샹송 가수의 노랫말이 명주 고름처럼 발에 감기웠습니다. 아마 이런 뜻이었던 것 같습니다. 시간과 함께 모든 것은 가버린다네…… 가버린다네 모든 것이 시간과 함께…… 


그 두 달 뒤 최명희의 부음을 받았습니다. 싸르락 싸르락 눈발이 날리던 저녁이었습니다. 수화기의 저편에서 건조한 목소리 하나가 날보고 조사를 읽어 달라고 했습니다. 


유난히 깔끔하고 결벽증적이었던 그녀는 그만 내게 했던 차 한잔의 약속을 지키지 못하고 가버렸습니다. 죽음의 길 떠나는 이마다 오늘이 아니면 안 되겠다는 듯이 가는 것이지만, 그녀 또한 차갑고 단호하게 그 길로 가버렸습니다. 소신공양(소신공양)하듯 17년 세월동안 ‘혼불’ 열 권을 쓰고 종생(종생)에 이른 것입니다. 


생전에 그녀는 유난히 고구려 벽화에 관심이 많았습니다. 아니 벽화를 그린 이름 없는 화공에 대한 관심이었습니다. 이름도 빛도 없이 오직 바위와 대화하고 그 바위 위에 혼을 새겨 넣는 화공에게 자신을 투영시킨 듯 했습니다. 혼불 1권을 쓰고 났을 때였습니다. 그녀는 울먹이는 목소리로 내 작업실에 전화를 걸어왔습니다. “어쩌면 신문에 월평 하나 써주는 사람 없죠?” 평론가들 말이었습니다. 나는 위로랍시고 이런 말을 했습니다. “원래 벽화를 그린 화공을 닮으시려던 것 아니었던가요. 화공을 알아주는 사람 없었건만 벽화는 아직도 살아 빛을 발하지 않나요? 걱정마세요. 혼불도 그럴 겁니다.” 라고. 


혼불이 세 권 째 나오고 그녀는 다시 전화를 걸어 왔습니다. “이제 평론가를 바라보는 일 같은 것은 하지 않아요. 오늘 지하철에서 어떤 아주머니가 혼불을 읽고 읽는데 하마터면 울 뻔 했어. 내 책은 앞으로 그런 잘나지 못한 사람들이 많이 많이 읽어서 드러내 줄 거라고 믿어요. 시간이 걸려도 그렇게 될 거라고 믿어요. 시간이 걸려도 그렇게 될 거라고….” 그렇게 되었습니다. 그리 많은 시간이 흐르지 않아서. 그러나 그 때에 이미 작가의 육신은 서서히 삭아 내리고 있었습니다. 


내가 알기에 최명희는 한 번씩 통곡한다 하면 두 세 시간씩을 홀로 울었습니다. 그 긴 울음의 제의를 끝내고 나면 청암 부인의 넋이 씌우고 강실이의 넋이 씌우고 강모의 넋이 씌우는 것 같았습니다. 긴 울음 이후에 비로소 비처럼 눈처럼 내려오는 언어를 오롯이 받아 적는 것입니다. 그래서 혼불을 쓰는 동안 그녀는 거의 눈물로 바쁜 나날이었습니다. 소설 속 인물들의 넋이 최명희의 파란 힘줄 오른 손을 잡고 최명희의 만년필로 하여금 자기들 사연을 구술하도록 했습니다. 구술 시킬 뿐 아니라 끝내 손을 내밀어 요구했습니다. 그 목숨까지 내놓으라고. 그렇게 해서 하나의 문학이 이루어지는 것이라면 문학, 그건 참 소름 끼치는 일입니다. 


나는 지금 소설의 무대가 된 남원의 혼불 마을을 찾아갑니다. 푸른 들길로 철로가 이어진 작은 <서도역>을 지나자 풍악산 날줄기에 매어 달린 것 같은 노봉 마을이 보입니다. 오십 년 전만 해도 밤이면 산을 건너가는 늑대 울음이 예사로이 들리곤 했다는 곳입니다. 소설 속에서처럼 슬픈 근친간의 사랑이 일어났을 법도 하게 50여 호의 마을은 겹겹이 산으로 둘러싸여 있습니다. 


최명희는 부친의 생가가 있던 이 곳을 무대로 벽화를 그린 장인처럼 손가락으로 바위를 파듯 소설을 써놓고 기진하여 떠나버렸습니다. 서풍(서풍)이 광풍되어 몰아치고 소중한 것들이 덧없이 내몰리는 이 즉물적인 시대에서도 어딘가에서는 우리네 소중한 한국 혼의 불이 타오르고 또 타올라야 한다는 것을 일깨우고 가버렸습니다. 고개 들어 풍악산을 바라보았을 때였습니다. 내 눈에 얼핏 마을을 휘돌아 떠나가는 혼불 하나를 본 듯도 하였습니다. 그것은 청암 부인의 것도 강모나 강실이의 것도 아닌 바로 최명희의 혼불이었습니다. 


(한국화가·서울대 미대 교수) 



전체 0

전체 1,200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추천 조회
공지사항
스팸 글은 무조건 삭제하겠습니다
최명희문학관 | 2018.10.28 | 추천 0 | 조회 31417
최명희문학관 2018.10.28 0 31417
1119
기획강좌 [정태인 선생의 경제학교실]
인권연대 | 2020.03.18 | 추천 0 | 조회 973
인권연대 2020.03.18 0 973
1118
기획강좌 [한국의 가족과 여성 혐오, 1950~2020]
인권연대 | 2020.03.16 | 추천 0 | 조회 898
인권연대 2020.03.16 0 898
1117
혼불사랑. 18 중3시절 꽃잎처럼 흘러간 나의 노래들|
황종원 | 2020.03.03 | 추천 0 | 조회 1097
황종원 2020.03.03 0 1097
1116
혼불사랑. 17 동국대 문학 콩클 단편 소설 부문 제압한 여고 2학년생
황종원 | 2020.02.21 | 추천 0 | 조회 1061
황종원 2020.02.21 0 1061
1115
혼불 사랑. 16 대학 4학년 단편 소설 '탈공’
황종원 | 2020.02.14 | 추천 0 | 조회 943
황종원 2020.02.14 0 943
1114
2020 JB문화통신원 모집
최남신 | 2020.01.28 | 추천 0 | 조회 916
최남신 2020.01.28 0 916
1113
혼불사랑. 15 작가 최명희의 초등.중학교엔 '혼불'이 없다
황종원 | 2020.01.27 | 추천 0 | 조회 953
황종원 2020.01.27 0 953
1112
혼불사랑. 14 최명희 1주기 추도회의 찬밥
황종원 | 2020.01.20 | 추천 0 | 조회 978
황종원 2020.01.20 0 978
1111
혼불사랑. 13 영생대학 야간부 대학생 최명희
황종원 | 2020.01.16 | 추천 0 | 조회 972
황종원 2020.01.16 0 972
1110
혼불 사랑. 12 보성여고 최명희 교사 시절
황종원 | 2020.01.10 | 추천 0 | 조회 1426
황종원 2020.01.10 0 1426
메뉴
error: 콘텐츠가 보호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