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살소살

욜랑욜랑(자유게시판)

혼불 사랑. 3 '혼불'을 사랑한 서지문 교수

작성자
황종원
작성일
2019-11-19 17:44
조회
971





서지문 교수는 작가 최명희와 막역한 사이였다.






2001년 12월 10일 혼불 독후감 수상식장에서 서지문 교수는 작가 최명희에 대한 생전 모습을 말했습니다.

경우 밝고 맑고 순수했던 모습과 자기 작품에 대한 눈물처럼 넘치는 사랑을 말하였습니다.

뷔페식으로 행사의 뒤풀이을 할 때 서교수에게 나는 다가가서 그 말씀이 감사하다고 하면서 내 소개를 했습니다.


내가 복사본으로 만들었던 ‘혼불, 최명희 찾기’를 말하니 꼭 보내달라고 신신당부를 하더군요.

서 교수는 혼불 독후감 2차 심사원이며, 고려대학 영문과 교수입니다.

도올의 논어 이야기가 방송에서 한참 뜰 때, 도올을 향해 언론 매체로 직사포를 날렸던 이입니다.

‘영어로 배우는 논어’의 저자이기도 합니다.

내가 가지고 있던 마지막 한 권을 나는 서지문 교수에게 보냈습니다.

내게는 그 책을 만들었던 원고가 남아있기에 나중에 또 만들지 하면서도 아쉬운 마음은 덜 수 없었습니다.

며칠 뒤, 서교수에게서 이메일이 왔습니다.

잘 받았다는 인사말 뒤에 일간지에 아래 내용을 실릴 것이라는 말도 있었습니다.

서교수는 조선일보에 칼람을 가끔 씁니다.

다른 어느 신문에도 쓰는지는 모릅니다.

나는 서교수의 글을 읽으면서 마치 혼불 독후감에서 대상을 받은 기분 보다 낫고, 내가 지금까지 해왔던 최명희 찾기 시간 여행에 대하여 보람을 느꼈습니다.

글은 다음과 같습니다.


슬기의 2002년을 향해서

서 지문 <고려대교수.영문학>


대하소설 <혼불>의 열렬한 애독자였고 작가와 친분이 있었던 관계로 이 작품의 독후감 심사를 두 해에 걸쳐서 하게 되었는데, 모두 작품에서 받은 압도적인 감동을 절실하게 그려내고 있어서 우열을 가리기가 몹시 어려웠다. 그런데 지난 해에 들어 온 독후감 중에서 아주 독특한 글이 한 편 있었다. 작가와 동갑내기 독자의 이 글은 <혼불>에 대해 크나 큰 저항감을 느끼게 되었던 때의 회고로 시작하고 있다.


"혼불이 내게 다가온 인연의 불씨가 시작된 것은 1981년 동아일보에서였다. 누구인가 소설 하나를 써서 2000만원을 받았다는 기사는 내게 충격이었다. 소설은 혼불이고, 작가는 최명희였다.

2000만원! 그 돈은 23평 아파트 한 채 값이었다.

같은 무렵 나는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아침 6시부터 밤 1시까지 코피 터지고 때로는 몸져누워 일을 해도 1년 동안 천여만 원을 모을 수 없었다.


가족을 만날 수도 목소리도 들을 수도 없는 사막은 너무 덥기도 하고 차갑기도 했다. 뜨거운 모래의 나라지만 계절은 춘하추동이 있었고, 겨울의 밤은 그곳도 여기 겨울 같은 차가운 체감의 온도가 있었다. 때는 어김없어 한가위에 올려보이던 달마저 서러웠다.


그런 뼈품을 파는 판에 겨우 책 한 권 써서 2000만원을 받았다는 사실이 너무 황당하게 느껴졌다. 그 뒤 세월이 가도 나는 혼불을 볼 마음이 내키지 않았다.


그 책은 감정의 응어리가 풀릴 때까지 곁에 둘 책은 아니었다. 어쩌다 아주 오래 전의 초등학교 동창 소식처럼 혼불에 대한 조각 소식이 들렸고, 나는 미운 친구처럼 다가오는 이야기를 듣고서 혼불이 긴 세월을 두고도 잊혀지지 않는다

니 이상했다.


세월이 갈수록 집 한 채 값을 받은 작가의 노고는 첫 작품이 당선되었던 시절에서 멎은 것이 아니라 계속 이어지고 있어서 차츰 혼란스러웠다. 2000만원을 그뒤 세월로 나누니 그이의 노력은 너무 크고 그가 받은 보상은 너무 작았다."


이런 심정적 혼란을 정리하지 못하고 있던 중에 황종원 씨는 1998년 어느 날 라디오에서 작가의 육성을 듣는다.


"그이는 작품 속에서 말 고르기와 하나의 물건에도 배어 있는 혼을 말하고 있었는데, 나는 2000만원 상금에 대하여 이웃사촌도 아니면서 배가 아팠던 빙산의 감정이 어느새 녹아내리면서 그이의 노고와 내가 겪었던 젊은 날의 고생이 서로 화답하면서 그이의 감정이 내게로 젖어 들어옴을 느꼈다.


그이, 최명희가 글을 쓰는 것은 내(우리)가 사막에서 목숨을 걸며 일했듯 그이에게도 생명을 거는 일이었나. 그이는 혼불을 세상에 출산하려는 치열한 목표를 이루기 위하여 목숨까지 걸고 있으니 서로 가는 길은 달랐어도 동지요 동료였다."


이렇게 해서 저항감을 극복하고 <혼불>을 읽게 된 황종원 씨는 책을 ‘마치 지은이의 통곡 소리 가득하여 쉽게 읽을 수가 없었다’고 말한다. 그리고 그 몇 달 후에 작가가 타계하자, 황종원 씨는 그 젊은 날에 ‘배 아파했던’ 감정의 속죄로 작가 최명희의 발자취를 찾아 그가 살며 글 쓰던 곳을 찾아다니며 그 곳에 남아있는 작가의 혼백을 만나려 애쓰고, 그의 문학의 시원을 찾아 여고시절의 일기, 백일장에서 수상했던 작품들을 발굴해 내는 등, 전문적인 문학비평가가 해야 하는데 해내지 못하는 일을 하고 있다.


'남의 떡이 커 보인다’는 속담의 진실을 우리는 모두 알고 있으면서도 우리는 의식, 무의식 적으로 남의 일은 내 일보다 쉽고, 남이 그의 일을 하고 받는 보수는 내가 내 일을 하고 받는 보수보다 후한 것으로 생각한다. 이런 감정은 물론, 내가 하는 일의 힘듦과 고충은 너무나 잘 알지만 남의 일의 힘듦과 고충은 속속들이 알 수가 없는데 기인하는 부분이 많다. 그러나 자신에게 남은 알 수 없는 고충이 있으면 다른 사람에게도 나의 눈에 보이지 않는 고충이 있다는 것을 짐작할 수 있어야 하련만 사람은 자기와 남을 똑같이 객관적인 입장에서 보고 공평하게 저울질하기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항상 ‘남의 떡’은 커 보이고 내 짐은 더 무거워 보인다.


그런데, 이렇게 균형을 잃은 사고를 하게 되면 남에게 매우 부당하게 될 뿐 아니라 나 자신에게도 손해가 된다. 황종원 씨는 그 ‘배아픔’ 때문에 <혼불>이라는 위대한 문학작품을 17년 동안이나 자기 것으로 만들지 못했다. 그래도 그의 뒤늦은 깨달음이 그의 마음의 멍에를 벗겨주고 그에게 새로운 열정을 고취시켜 주었으므로 황종원 씨의 마음의 갈등은 아름답게 승화되었지만, 우리 사회전반에서 그런 ‘남의 떡’에 대한 시기는 비극으로 끝나는 일이 더 많다.


생각해보면, 우리 사회에서 일어나는 수많은 부정, 부패, 비리는 남들은 쉽게 출세하고 한 몫씩 잡고 사는데 나도 ‘눈먼’ 돈 좀 차지하지 않으면 바보가 되고 낙오한다는 생각 때문에 빚어지는 것이다.


무슨 무슨 게이트들이 터질 때마다 내게 놀랍게 생각되는 것은 그 게이트들이 사람들에게, 부정행위에 대한 혐오감을 심어주고 나아가서 부정은 패가망신의 첩경이니 더러운 돈은 곁에 오지도 못하게 해야겠다는 결의를 심어주기보다 그 큰돈을 뇌물로 받아보지도 주어보지도 못한 자신의 왜소함에 대한 열패감을 불러일으키고 있다는 것이다.


행복이라는 것이 부정한 돈을 흥청망청 쓰는 데서 찾아질 수 있는 것일까? 나의 인간적 가치가 남이 나를 매수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액수와 동일한 것일까? 오히려 그 액수에 마이너스 기호를 붙인 값이 되는 것인 아닐까? 우리에게 정말 뼛속까지 만족을 줄 수 있는 돈은 뼈품을 판 돈 뿐이다. 새해에는 우리 모두 이 엄정한 진실을 똑바로 인식하는 현명한 국민이 되어 밝고 유쾌한 가정과 사회를 이루었으면 한다.


2002년


전주 최명희 문학관 홈피에 실린 서지문 교수 조선일보 칼람

http://www.jjhee.com/board/bbs/board.php?bo_table=b13400&wr_id=10&page=4


전체 0

전체 1,206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추천 조회
공지사항
스팸 글은 무조건 삭제하겠습니다
최명희문학관 | 2018.10.28 | 추천 0 | 조회 31344
최명희문학관 2018.10.28 0 31344
1125
느린우체통 (1)
송주은 | 2020.04.28 | 추천 0 | 조회 925
송주은 2020.04.28 0 925
1124
혼불 굿즈 건의드립니다. (1)
오후2시 | 2020.03.25 | 추천 0 | 조회 993
오후2시 2020.03.25 0 993
1123
[완주예술오픈플랫폼 공모] 예술로 방콕, 예술로 완주(~3/31)
완주문화재단 | 2020.03.19 | 추천 0 | 조회 910
완주문화재단 2020.03.19 0 910
1122
[완주문화재단] 2020완주한달살기 레지던시 참여예술인 모집(1차)
완주문화재단 | 2020.03.18 | 추천 0 | 조회 912
완주문화재단 2020.03.18 0 912
1121
혼불사랑. 19 ‘80 신춘문예 당선작 ’쓰러지는 빛‘
황종원 | 2020.03.18 | 추천 0 | 조회 1518
황종원 2020.03.18 0 1518
1120
기획강좌 [염운옥 교수의 ]
인권연대 | 2020.03.18 | 추천 0 | 조회 920
인권연대 2020.03.18 0 920
1119
기획강좌 [정태인 선생의 경제학교실]
인권연대 | 2020.03.18 | 추천 0 | 조회 970
인권연대 2020.03.18 0 970
1118
기획강좌 [한국의 가족과 여성 혐오, 1950~2020]
인권연대 | 2020.03.16 | 추천 0 | 조회 893
인권연대 2020.03.16 0 893
1117
혼불사랑. 18 중3시절 꽃잎처럼 흘러간 나의 노래들|
황종원 | 2020.03.03 | 추천 0 | 조회 1090
황종원 2020.03.03 0 1090
1116
혼불사랑. 17 동국대 문학 콩클 단편 소설 부문 제압한 여고 2학년생
황종원 | 2020.02.21 | 추천 0 | 조회 1053
황종원 2020.02.21 0 1053
메뉴
error: 콘텐츠가 보호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