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들목

그리고 최명희

최명희 씨를 생각함

최명희씨를 생각하면 작가의 어떤 근원적인 고독감 같은 것이 느껴진다. 1993년 여름이었을 것이다. 중국 연길 서시장을 구경하고 있다가 중국인 옷으로 변장하고 커다란 취재 노트를 든 최명희씨를 우연히 만났다.

「혼불」의 주인공의 행로를 따라 이제 막 거기까지 왔는데 며칠 후엔 심양으로 들어갈 것이라고 했다. 그리고 웃으면서 연길 사람들이 한국인이라고 너무 바가지를 씌우는 바람에 그런 옷을 입었노라고 했다. 그날 저녁 김학철 선생 댁엘 들르기로 되어 있어 같이 갔는데 깐깐한 선생께서 모르는 사람을 데려왔다고 어찌나 통박을 주던지 민망해한 적이 있다. 그 후 서울에서 한 번 더 만났다. 한길사가 있던 신사동 어느 카페였는데 고저회와 함께 셋이서 이슥토록 맥주를 마신 것 같다. 밤이 늦어 방향이 같은 그와 함께 택시를 탔을 때였다. 도곡동 아파트가 가까워지자 그가 갑자기 내 손을 잡고 울먹였다.’이형, 요즈음 내가 한 달에 얼마로 사는지 알아? 삼만 원이야, 삼만 원……

동생들이 도와주겠다고 하는데 모두 거절했어. 내가 얼마나 힘든지 알어?’ 고향 친구랍시고 겨우 내 손을 잡고 통곡하는 그를 달래느라 나는 그날 치른 학생들의 기말고사 시험지를 몽땅 잃어버렸다. 그리고 그날 밤 홀로 돌아오면서 생각했다.
그가 얼마나 하기 힘든 얘기를 내게 했는지를. 그러자 그만 내 가슴도 마구 미어지기 시작했다. 나는 속으로 가만히 생각했다. ‘혼불’은 말하자면 그 하기 힘든 얘기의 긴 부분일 것이라고.

시집 ‘은빛 호각’ (이시형/창비) 중에서

▣ 작가 최명희와 소설 <혼불>을 떠올린 아름다운 분들의 애틋한 글이에요.

[전라매일]전주의 꽃심 영원하리(강명수)

작성자
최명희문학관
작성일
2022-01-25 21:31
조회
595
출처: 전라매일 2022년 01월 06일

http://www.jlmaeil.com/default/index_view_page.php?part_idx=194&idx=220379

 

 




연화마을에서 건지산 입구에 들어서면 『혼불』의 작가 최명희 묘소를 만날 수 있다.

최명희 소설가는 1947년에 전주에서 태어나 1998년 향년 51세로 생을 마쳤다. 1980년 중앙일보 신춘문예에 ‘쓰러지는 빛’으로 등단했다. 1981년 ‘동아일보 창간 60주년 기념 장편소설 공모’에 <혼불> 제1부가 당선됐다. 그 이후로 1996년 12월에 전 5부 10권으로 한길사에서 출간했다. <혼불>은 최종 출간 당시 집필 기간 만 17년이 넘게 걸린 작가의 투혼을 바친 결과물이었다. 모국어의 바다를 이룬 <혼불> 10권이 내 책장에서도 출렁이고 있다.
왜 혼불일까? 어떤 생각으로 혼불을 썼을까? 그 답은 한 예로 드러난다. 작가는 글을 쓸 때 느낌을 복원하고자 3일간이나 공기를 노려보았다고 한다. 그래서 정령 같은 푸른빛이 도는 공기의 혼을 그려내게 됐다. 즉 사물을 어떻게 정서화하고 감각화 해서 하나의 살아있는 존재로 생생하게 느끼며 만날 수 있게 하느냐 하는 대상에 대한 세심한 관찰이었다.
많은 양의 한자 숙어와 아름다운 우리 모국어들, 풍속, 역사, 토속신앙, 종교, 역학 등의 자료를 수집하고 정리해서, 대상의 느낌을 언어로 표현하기 위한 노력과 고통이 얼마였을까.
조선시대 남원지역 양반가의 몰락과정과 청암부인- 율촌댁- 효원의 종가 며느리들 애환사를 축으로 일제강점기의 시대적 상황을 그렸다. 종가의 장손이기를 거부하는 강모. 사촌 간인 강모와 강실의 비극적인 사랑. 강실, 효원, 오유끼 세 여자 사이에서 방황하는 강모. 일본 황실에서는 사촌끼리 결혼을 하지만 조선에서는 치욕 거리니, 나라마다 문화적 모순이 얼마나 큰 것인지.
보얀 얼굴, 고운 탯거리, 귀엽고 어여쁜 자태를 가진 강실, 강모와의 서글픈 사랑으로 소설 말미에서 강실은 실종한다. 친정 대실에서 매안 이씨의 종손부로 들어와 남편 강모의 사랑을 받지 못하고 젊은 밤에 푸른 등불을 홀로 밝히는 외로운 여자 효원. 일본 기생으로 강모의 첩으로 살지만 결국 강모에게 천대받는 슬픈 여인 오유끼. 강직한 성품을 지닌 강모의 아버지. 대충 주요 인물들이다.
그리고 역사를 바라보는 내 시각에 문제가 생겼다. 내가 알고 있는 역사가 얼마나 허구 일 수 있는지. 백제의 삼천궁녀 이야기. 의자왕의 패덕. 이것은 승자의 왜곡된 역사기록이었음을.
일연의 삼국유사에 기록된 우리 역사의 진실을 다른 각도로 다룬 혼불. 나는 역사의 진실이 어디에 있는지 이 책을 읽으면서 회의를 느꼈다. 특히 우리 고장 전주에 대한 자부심을 더욱 느끼게 됐고 마한, 백제, 후백제의 자손임이 너무도 자랑스럽다.
정당한 힘이 아닌 남의 나라 힘을 편법으로 빌리어 삼국통일을 한 김유신과 김춘추. 삼국통일 말 자체가 어불성설이다. 승자의 왜곡된 역사의 기록 앞에서 과연 역사의 진실이 무엇인지? 내가 알고 있는 역사란 것이 얼마나 진실 된 것인지 자꾸만 의문이 일기 시작했다. 고려는 후백제를 하루살이나 개미 한 마리처럼 문질러버렸다. 후백제를 역사 속의 야유거리로 전락시켜버렸다. 태조 왕건의 훈요십조 8항에 노골적으로 전주 완산 땅을 증오하는 글을 남겼다 한다.
혼불을 읽으면서 역사, 불교 세계, 기독교 세계, 무엇보다 내 고장 전주가 얼마나 유서 깊은 고을인지 더욱더 자긍심을 가지게 됐다. 아름다운 모국어의 대향연 혼불, 모국어의 축제 혼불, 세계에서 가장 과학적이고 발음하기 좋은 한글을 이처럼 다채로운 활자꽃으로 승화시킨 작가님의 혼불. 삶과 죽음을 성찰하는 건지산 최명희 작가의 묘소는 전주의 꽃심으로 영원하리라.

/강명수. 시인, 미당문학 사무국장
전체 136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추천 조회
136
(남영희)'바른말 광'이 길어올린 영혼의 언어
최명희문학관 | 2023.03.17 | 추천 0 | 조회 337
최명희문학관 2023.03.17 0 337
135
(김두규)[풍수로 보는 전북 부흥의 길] <66> 전북의 풍수사(風水師)들 이야기(3)
최명희문학관 | 2023.03.02 | 추천 0 | 조회 405
최명희문학관 2023.03.02 0 405
134
(유화웅) 혼례식이 달라지고 있어요
최명희문학관 | 2023.02.25 | 추천 0 | 조회 322
최명희문학관 2023.02.25 0 322
133
(이길재)[이길재의 겨레말]나랑
최명희문학관 | 2023.02.09 | 추천 0 | 조회 365
최명희문학관 2023.02.09 0 365
132
(이길재)[이길재의 겨레말]가을
최명희문학관 | 2023.02.09 | 추천 0 | 조회 380
최명희문학관 2023.02.09 0 380
131
(이길재)[이길재의 겨레말]날궂이
최명희문학관 | 2023.02.09 | 추천 0 | 조회 365
최명희문학관 2023.02.09 0 365
130
(이길재)[고장말] 먹고 잪다
최명희문학관 | 2023.02.09 | 추천 0 | 조회 314
최명희문학관 2023.02.09 0 314
129
(이길재)[고장말] 나어 집!
최명희문학관 | 2023.02.09 | 추천 0 | 조회 357
최명희문학관 2023.02.09 0 357
128
(이길재)[고장말] 삘건색
최명희문학관 | 2023.02.09 | 추천 0 | 조회 320
최명희문학관 2023.02.09 0 320
127
(이길재)[고장말] 허망헙디다
최명희문학관 | 2023.02.09 | 추천 0 | 조회 357
최명희문학관 2023.02.09 0 357
메뉴
error: 콘텐츠가 보호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