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들목

그리고 최명희

최명희 씨를 생각함

최명희씨를 생각하면 작가의 어떤 근원적인 고독감 같은 것이 느껴진다. 1993년 여름이었을 것이다. 중국 연길 서시장을 구경하고 있다가 중국인 옷으로 변장하고 커다란 취재 노트를 든 최명희씨를 우연히 만났다.

「혼불」의 주인공의 행로를 따라 이제 막 거기까지 왔는데 며칠 후엔 심양으로 들어갈 것이라고 했다. 그리고 웃으면서 연길 사람들이 한국인이라고 너무 바가지를 씌우는 바람에 그런 옷을 입었노라고 했다. 그날 저녁 김학철 선생 댁엘 들르기로 되어 있어 같이 갔는데 깐깐한 선생께서 모르는 사람을 데려왔다고 어찌나 통박을 주던지 민망해한 적이 있다. 그 후 서울에서 한 번 더 만났다. 한길사가 있던 신사동 어느 카페였는데 고저회와 함께 셋이서 이슥토록 맥주를 마신 것 같다. 밤이 늦어 방향이 같은 그와 함께 택시를 탔을 때였다. 도곡동 아파트가 가까워지자 그가 갑자기 내 손을 잡고 울먹였다.’이형, 요즈음 내가 한 달에 얼마로 사는지 알아? 삼만 원이야, 삼만 원……

동생들이 도와주겠다고 하는데 모두 거절했어. 내가 얼마나 힘든지 알어?’ 고향 친구랍시고 겨우 내 손을 잡고 통곡하는 그를 달래느라 나는 그날 치른 학생들의 기말고사 시험지를 몽땅 잃어버렸다. 그리고 그날 밤 홀로 돌아오면서 생각했다.
그가 얼마나 하기 힘든 얘기를 내게 했는지를. 그러자 그만 내 가슴도 마구 미어지기 시작했다. 나는 속으로 가만히 생각했다. ‘혼불’은 말하자면 그 하기 힘든 얘기의 긴 부분일 것이라고.

시집 ‘은빛 호각’ (이시형/창비) 중에서

▣ 작가 최명희와 소설 <혼불>을 떠올린 아름다운 분들의 애틋한 글이에요.

불교신문_ 불교와 전래…이젠 ‘인류보편 문화’

작성자
최명희문학관
작성일
2014-07-01 12:45
조회
2238

출처: 불교신문 2011.11.07
http://www.ibulgyo.com/news/articleView.html?idxno=114298

최명희의 소설 〈혼불〉에서 무당 부부의 아버지는 의미심장한 유언을 남기고 세상을 떠났다. 몇 년 뒤 양반 댁에 초상이 나자 무당 부부는 유언을 따르기 위해 아버지의 뼈를 추려서 새로 쓴 양반의 묘에 몰래 투장(偸葬)했고, 그 일이 발각되어 초주검이 될 정도로 멍석말이를 당하게 된다.

예로부터 이러한 투장은 심심찮게 있어왔다. 그 자체로 범죄행위일 뿐만 아니라 서슬 퍼런 양반의 묘에 천민의 뼈를 집어넣는 것은 자살행위나 다름없었건만, 그러한 위험을 무릅쓰고서라도 양반가문 무덤의 명당기운을 받고자 한 것이다.

최근까지 한국인에게 ‘조상의 무덤’이란 중요한 문화키워드였다. “그 집은 묘를 잘 썼나보지? 후손이 잘되는 걸 보니….”, “조상무덤을 잘못 썼나, 왜 이렇게 일이 안 풀리지?” 등과 같이, 무덤 속에 누워 있는 조상과 나의 길흉화복을 연결 짓는 말들이 자연스레 흘러나왔던 것이다. 심지어 집안에 불상사가 잇따르면 조상의 묏자리에 의혹을 품고 풍수전문가를 동원해 이장까지 하는 경우도 있었다.

그러나 가장 변하기 힘든 관습인 장례에도 자연스럽게 의식의 변화가 이루어져 이제는 한국 역시 화장(火葬)이 주류인 국가로 자리 잡게 되었다. 화장은 불교와 함께 전래되었지만, 두 차례의 배척과 세 차례에 걸쳐 거듭 수용된 독특한 역사를 지니고 있다. 그 흐름은 자율적 수용(삼국∼고려)→타율적 배척(조선)→타율적 수용(일제)→자율적 배척(광복 후)→자율적 수용(근래)이라는 부침을 겪으며 전개되었다.

한정된 국토 잠식해가는 묘지문제 해결하기 위한

친환경적 대안이자 보다 많은 이들 포용해

세 차례 수용된 화장은 매번 그 성격이 뚜렷이 달랐다. 삼국시대에 들어와 오랜 적응기간을 거쳐 고려시대에 이르기까지 점진적으로 자리 잡은 화장은 불교와 토착문화의 융합으로 뿌리내린 가장 자연스러운 문화수용이었다.

그러나 조선시대의 배척을 거친 뒤에 있었던 일제강점기의 두 번째 화장수용은 외세의 정치적 논리에 따른 타율적인 것이었다. 따라서 어느 정도 화장률이 증가했으나 전통문화의 억압 위에 행해진 타율적 수용이었기에 그 이후 ‘자율적 배척’이라는 특이한 현상을 낳았다.

근래 십 수 년 사이에 이루어진 세 번째 수용은 한정된 국토를 잠식해가는 묘지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친환경적 대안이자 보다 많은 이들을 포용하는 인류보편의 문화로 탈바꿈하였다. 마치 화장이 흘러온 긴 부침의 역사나 종교성과 무관한 외래문화의 모습으로 급속히 확산되었지만, 1600년이라는 화장의 역사와 경험 인식이 바탕을 이루고 있었기에 단시일에 폭넓은 수용이 가능하였던 것이다.

두 차례의 배척은 화장을 외래문화로 설정하고 주류의 전통문화와 대치되는 것으로 인식한 점에서는 맥락을 같이한다. 그러나 조선시대의 배척이 위로부터의 타율적인 것이었다면, 광복 이후는 일제의 전통억압과 화장 장려에 대한 반대급부로 이루어진 민간의 자율적 배척이었다는 점에서 근원을 달리한다. 이처럼 주류문화와의 관계 속에서 끊임없이 외래문화로 재평가되어온 화장은 문화수용의 중층적 특성을 잘 보여주고 있다.

불과 얼마 전까지만 해도 대부분 한국인들은 사람이 죽으면 당연히 땅에 묻어야 하고 무덤이 있어야 한다고 생각했다. 풍수적 의미를 제쳐두더라도, 무덤에 대한 인간의 정서는 고향이나 모성에 대한 그리움처럼 언제든 돌아가 안길 수 있는 고인의 품이었던 것이다.

그러나 점차 많은 이들이 우리의 몸을 이승에서 잠시 빌려 입은 옷이라 여기면서, 본래의 자연으로 남김없이 돌려보내는 ‘화장 후 산골’이라는 불교 본래적 의미에 공감해가고 있다. 그것은 아마도 ‘부모의 죽음’에 대한 생각에서 ‘나의 죽음’에 대한 성찰로 돌아왔기 때문이 아닐까.

[불교신문 2766호/ 11월9일자]

전체 136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추천 조회
56
시와 소설로 읽는 전주한옥마을(1)
최명희문학관 | 2015.04.29 | 추천 0 | 조회 2748
최명희문학관 2015.04.29 0 2748
55
김영석(시인)의 나는 사라진다 저 광활한 우주 속으로
최명희문학관 | 2015.03.29 | 추천 0 | 조회 2695
최명희문학관 2015.03.29 0 2695
54
우리의 말과 글을 아끼자(전북대신문 사설)
최명희문학관 | 2014.12.24 | 추천 0 | 조회 2130
최명희문학관 2014.12.24 0 2130
53
역사의 파편 속에 새로운 스토리를 더했습니다
최명희문학관 | 2014.12.24 | 추천 0 | 조회 2238
최명희문학관 2014.12.24 0 2238
52
불교신문_ 불교와 전래…이젠 ‘인류보편 문화’
최명희문학관 | 2014.07.01 | 추천 0 | 조회 2238
최명희문학관 2014.07.01 0 2238
51
최명희의 혼불 문학공원을 다녀오다
최명희문학관 | 2014.03.21 | 추천 0 | 조회 2376
최명희문학관 2014.03.21 0 2376
50
전주 기전여고·기전중 - 일제 신사참배 저항한 기독교 전통 학교
최명희문학관 | 2013.12.12 | 추천 0 | 조회 3622
최명희문학관 2013.12.12 0 3622
49
[김완주]제2회 혼불문학상 시상식 축사
최명희문학관 | 2013.02.02 | 추천 0 | 조회 2504
최명희문학관 2013.02.02 0 2504
48
[매경춘추] 양반정신과 첨단산업
최명희문학관 | 2013.02.02 | 추천 0 | 조회 1971
최명희문학관 2013.02.02 0 1971
47
내 마음의 산책로, 이 가을의 혼불 공원
최명희문학관 | 2012.12.16 | 추천 0 | 조회 2198
최명희문학관 2012.12.16 0 2198
메뉴
error: 콘텐츠가 보호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