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들목

그리고 최명희

최명희 씨를 생각함

최명희씨를 생각하면 작가의 어떤 근원적인 고독감 같은 것이 느껴진다. 1993년 여름이었을 것이다. 중국 연길 서시장을 구경하고 있다가 중국인 옷으로 변장하고 커다란 취재 노트를 든 최명희씨를 우연히 만났다.

「혼불」의 주인공의 행로를 따라 이제 막 거기까지 왔는데 며칠 후엔 심양으로 들어갈 것이라고 했다. 그리고 웃으면서 연길 사람들이 한국인이라고 너무 바가지를 씌우는 바람에 그런 옷을 입었노라고 했다. 그날 저녁 김학철 선생 댁엘 들르기로 되어 있어 같이 갔는데 깐깐한 선생께서 모르는 사람을 데려왔다고 어찌나 통박을 주던지 민망해한 적이 있다. 그 후 서울에서 한 번 더 만났다. 한길사가 있던 신사동 어느 카페였는데 고저회와 함께 셋이서 이슥토록 맥주를 마신 것 같다. 밤이 늦어 방향이 같은 그와 함께 택시를 탔을 때였다. 도곡동 아파트가 가까워지자 그가 갑자기 내 손을 잡고 울먹였다.’이형, 요즈음 내가 한 달에 얼마로 사는지 알아? 삼만 원이야, 삼만 원……

동생들이 도와주겠다고 하는데 모두 거절했어. 내가 얼마나 힘든지 알어?’ 고향 친구랍시고 겨우 내 손을 잡고 통곡하는 그를 달래느라 나는 그날 치른 학생들의 기말고사 시험지를 몽땅 잃어버렸다. 그리고 그날 밤 홀로 돌아오면서 생각했다.
그가 얼마나 하기 힘든 얘기를 내게 했는지를. 그러자 그만 내 가슴도 마구 미어지기 시작했다. 나는 속으로 가만히 생각했다. ‘혼불’은 말하자면 그 하기 힘든 얘기의 긴 부분일 것이라고.

시집 ‘은빛 호각’ (이시형/창비) 중에서

▣ 작가 최명희와 소설 <혼불>을 떠올린 아름다운 분들의 애틋한 글이에요.

여적 - 심상훈

작성자
최명희문학관
작성일
2009-03-18 10:15
조회
2208
《여적(餘滴)》

‘여적(餘滴).’ 한자는 남을 여, 물방울 적자를 쓴다. 국어사전에는 붓 끝에 남은 먹물, 즉 글을 다 쓰거나 그림을 다 그리고 남은 먹물이란 설명이 붙어 있다.
또 여적은 1946년부터 경향신문에 실리고 있는 컬럼의 제목이기도 하다. 62년간 실린 약 1만8000여건에 이르는 글 중에서 ‘화씨의 옥(和氏璧)’을 건네주는 마음으로 ‘딱딱한 신문 속에 피어난 시 같은 에세이’를 추리고 골라내 엮은 것이 바로 이 책이다.

정치, 경제, 사회, 문화, 과학, 국제 등 입맛대로 한 권의 책 속을 헤집으며 자유자재 종횡무진 읽는 재미가 남다르다. 어디 그뿐인가. 청장년과 노년층을 막론하고 독자로 끌어당기는 쓸모가 가치를 더한다. 그러므로 누구나 책장에 간직하고픈 기쁨을 순식간에 맛보게 될 것이다.

계유생 닭띠이기도 한 이어령 전 문화부장관은 이렇게 사연을 전한다. “유목민 닭띠의 칼럼니스트는 잠시도 한곳에 머물지 못하고 이 신문 저 신문을 전전해 왔지만 그래도 돌이켜보면 여적을 쓰던 그 기간이 내 생애 가운데 가장 화려하고 보람 있었던 황금기가 아니었나 싶다”(49쪽)고 감회를 솔직하게 토로한다.

나도 하나쯤 고백한다. 책에도 나온다. ‘최명희와 혼불’(88쪽)이 그것이다. 신문(2007년 5월17일자)에서 우연히 읽었던 적 있다. ‘소리 내어 읽으면 판소리가 되는 소설’이라는 대목에 당시 화들짝 놀랐더랬다. 해서 책을 구입하고자 했으나 아직 못했다. 다시 그때를 생각하니 까맣게 잊었던 지나간 세월이 그립고도 안타깝다.
날이면 날마다 신문에서 여적을 읽었다면 이 책은 재탕으로 혹 지겨울지 모르겠으나 드문드문 나처럼 읽었던 독자라면 필독서하기에 안성맞춤으로 다가올 것이다.

인물(2부1장)이 나는 좋았으나 사람에 따라서는 사건(2부2장)이나 문화, 지구촌 등이 더 좋을 수 있을지도 모른다. 그러니 이 책은 딱히 소설을 읽듯 애써 처음부터 순서대로 책장을 넘길 필요는 없다. 그저 아무데나 펼쳐서 읽어도 좋고, 또 기억이 생생하고 만만한 시대를 따라 추적해 읽어도 아주 좋으리라.

 

심상훈 북 칼럼니스트·작은가게연구소장
전체 136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추천 조회
56
시와 소설로 읽는 전주한옥마을(1)
최명희문학관 | 2015.04.29 | 추천 0 | 조회 2748
최명희문학관 2015.04.29 0 2748
55
김영석(시인)의 나는 사라진다 저 광활한 우주 속으로
최명희문학관 | 2015.03.29 | 추천 0 | 조회 2694
최명희문학관 2015.03.29 0 2694
54
우리의 말과 글을 아끼자(전북대신문 사설)
최명희문학관 | 2014.12.24 | 추천 0 | 조회 2130
최명희문학관 2014.12.24 0 2130
53
역사의 파편 속에 새로운 스토리를 더했습니다
최명희문학관 | 2014.12.24 | 추천 0 | 조회 2236
최명희문학관 2014.12.24 0 2236
52
불교신문_ 불교와 전래…이젠 ‘인류보편 문화’
최명희문학관 | 2014.07.01 | 추천 0 | 조회 2236
최명희문학관 2014.07.01 0 2236
51
최명희의 혼불 문학공원을 다녀오다
최명희문학관 | 2014.03.21 | 추천 0 | 조회 2376
최명희문학관 2014.03.21 0 2376
50
전주 기전여고·기전중 - 일제 신사참배 저항한 기독교 전통 학교
최명희문학관 | 2013.12.12 | 추천 0 | 조회 3621
최명희문학관 2013.12.12 0 3621
49
[김완주]제2회 혼불문학상 시상식 축사
최명희문학관 | 2013.02.02 | 추천 0 | 조회 2502
최명희문학관 2013.02.02 0 2502
48
[매경춘추] 양반정신과 첨단산업
최명희문학관 | 2013.02.02 | 추천 0 | 조회 1970
최명희문학관 2013.02.02 0 1970
47
내 마음의 산책로, 이 가을의 혼불 공원
최명희문학관 | 2012.12.16 | 추천 0 | 조회 2197
최명희문학관 2012.12.16 0 2197
메뉴
error: 콘텐츠가 보호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