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들목

그리고 최명희

최명희 씨를 생각함

최명희씨를 생각하면 작가의 어떤 근원적인 고독감 같은 것이 느껴진다. 1993년 여름이었을 것이다. 중국 연길 서시장을 구경하고 있다가 중국인 옷으로 변장하고 커다란 취재 노트를 든 최명희씨를 우연히 만났다.

「혼불」의 주인공의 행로를 따라 이제 막 거기까지 왔는데 며칠 후엔 심양으로 들어갈 것이라고 했다. 그리고 웃으면서 연길 사람들이 한국인이라고 너무 바가지를 씌우는 바람에 그런 옷을 입었노라고 했다. 그날 저녁 김학철 선생 댁엘 들르기로 되어 있어 같이 갔는데 깐깐한 선생께서 모르는 사람을 데려왔다고 어찌나 통박을 주던지 민망해한 적이 있다. 그 후 서울에서 한 번 더 만났다. 한길사가 있던 신사동 어느 카페였는데 고저회와 함께 셋이서 이슥토록 맥주를 마신 것 같다. 밤이 늦어 방향이 같은 그와 함께 택시를 탔을 때였다. 도곡동 아파트가 가까워지자 그가 갑자기 내 손을 잡고 울먹였다.’이형, 요즈음 내가 한 달에 얼마로 사는지 알아? 삼만 원이야, 삼만 원……

동생들이 도와주겠다고 하는데 모두 거절했어. 내가 얼마나 힘든지 알어?’ 고향 친구랍시고 겨우 내 손을 잡고 통곡하는 그를 달래느라 나는 그날 치른 학생들의 기말고사 시험지를 몽땅 잃어버렸다. 그리고 그날 밤 홀로 돌아오면서 생각했다.
그가 얼마나 하기 힘든 얘기를 내게 했는지를. 그러자 그만 내 가슴도 마구 미어지기 시작했다. 나는 속으로 가만히 생각했다. ‘혼불’은 말하자면 그 하기 힘든 얘기의 긴 부분일 것이라고.

시집 ‘은빛 호각’ (이시형/창비) 중에서

▣ 작가 최명희와 소설 <혼불>을 떠올린 아름다운 분들의 애틋한 글이에요.

[전원생활]전북 남원 혼불문학관

작성자
최명희문학관
작성일
2012-02-06 02:37
조회
2359
출처_ http://www.nongmin.com/jzine/sub21/sub1_1.php?smenu=sub21&stitle=subtitle21_1&page=&s_cd=1000&ar_id=10002011080033

전북 남원 혼불문학관

혼불문학관을 찾아가는 내내 작가가 꿈꾸어온 ‘ 모국어’ 라는 말을 생각했다. 나 같은 문필업자는 도저히 입에 담아 말할 수 없는 어록이다. 생애를 기울여 한 마디 한 마디 글자를 새기는 그의 작가 정신이 무섭다. 같은 시 대 같은 하늘 아래 이처럼 무서운 작가가 있었단 말인가. 글 표성흠(시인) 사진 고승범(사진가)



우리말과 습속의 보고이자 사전



요즘 유행하는‘엄친딸’같은 조어로 치면 최명희는 내게 있어‘ 친친구’다. 친구의 친구라는 뜻이다. 그 친구가‘ 문화 저널21’에‘ 문화로 하나 되는 세상’대담 기사에서 이렇게 말한 적이 있다.

“이형, 요즈음 내가 한 달에 얼마로 사는지 알아? 3만 원이야, 3만 원…. 동생들이 도와주겠다고 하는데 모두 거절 했어. 내가 얼마나 힘든지 알어?” 이시형(시인이자 단국대학교 교수)은 손을 잡고 통곡하는 최명희를 달래느라 그날 치른 학생들의 기말고사 시험 지를 몽땅 잃어버렸다고 한다. 그리고 그날 밤 홀로 돌아오면서 생각했다고 한다‘. 그가 얼마나 힘든 얘기를 내게 했 는지를….’이는 수많은 사람들을 울린 기사이자 살아생전 작가의 생활상을 그대로 보여주는 대목이다.

‘혼불’은 드디어 나도 어쩌지 못할 불길로 나를 사로잡고 말았다 최명희는‘혼불’하나로 100만 부를 돌파한 베스트셀러 작가다. 그런데도 살아생전에는 한 달 3만 원으로 버텨야 했 다. 작가는 왜 가난해야 하는가? 하나의 작품을 완성하기 위해 일상적 생활을 던져버렸다는 이야기다. 그것도 하나 의 작품을 개작하기 위해 10년이란 세월을 오로지 이 일에만 몰두했으니 그럴 수밖에 없었을 것이다.

집에서 불과 한 시간밖에 떨어져 있지 않은 혼불문학관이라, 글이 안 되고 세상사 답답할 때면 나는 그곳을 불쑥 찾 곤 했다. 그러나 막상 친친구의 문학을 재조명하는 기사를 쓴답시고 나선 취재길이어서인지 발걸음이 무겁기만 하다.

그와는 좀 특별한 인연이 있다. 그는 벌써 고등학교 때 쓴‘ 우체부’라는 수필이 작문 교과서에 실려 우리를 놀라게 했다. 1960년대 중반으로 기억하는데 광주의 문학천재 김만옥(작고)이 전국 문학도들을 모아 만든‘ 시향’문학동인회 가 있었다. 최명희를 가입시키려고 찾아갔더니 한사코 거절했다고 한다. 자신은 문인이 될 생각이 없으며 따로 할 일 이 있다고 대답했단다. 그때 우리는 전주에 천부적 작가가 있다는 이야길 전해들었지만 마음속으로만 흠모해야 했다.

세월이 얼마나 흘렀는가? 1980년 중앙일보 신춘문예를 통해‘쓰러지는 빛’을 보았고, 이듬해 동아일보에서‘혼불’을 또 다시 만났다. 그 무렵은 나 역시 소설을 열심히 쓰면서 1979년 월간‘세대’지 신인상을 받았고 한국일보에 냈던 장편 ‘토우’는 최종 낙마했지만 곧‘ 소설문학’에 연재를 시작한, 되는 일도 없고 안 되는 일도 없던 때여서 자연스럽게‘친친 구’들과 만났다. 술도 한 잔 나누었던가? 그 역시 시골학교 선생질을 집어치우고 소설가로 나섰던 때였다.

이렇듯 장황한 기억의 실타래를 푸는 것은 이 말 때문이다. 그의 문학관 안에 들어서자마자 만날 수 있는 이 말이 내 눈시울을 적시게 만들기 때문이다.

혼불문학관 ‘쓰지 않고 사는 사람은 얼마나 좋을까. 때때로 나는 엎드려 울었다. 그리고 갚을 길도 없는 큰 빚을 지고 도망 다니는 사람처럼 항상 불안하고 외로웠다. 좀처럼 일을 시작하지 못하고 모아놓은 자료만을 어지럽게 쌓아둔 채 핑계만 있으면 안 써보려고 일부러 한눈 을 팔던 처음과는 달리 거의 안타까운 심정으로 쓰기 시작한 ‘혼불’은 드디어 나도 어쩌지 못할 불길로 나를 사로잡고 말았다.’




한번도 이렇듯 치열하게 글을 써본 적 없고 책을 100권이나 넘게 냈지만‘ 글을 써야 밥을 먹을 수 있다’는 생각밖 에 해본 적 없는 내게는, 솔직히 글 쓰는 일이란 남들이 안 하는 좀 고급스런 정신노동일 뿐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었 다. 그 어떤 사명감을 가지고 글을 쓰지 않았단 이야기다. 그렇기에 한 사람은 문학관을 세워 만인이 기리는 인물이 되었고, 다른 한 사람은 아직도 잡문을 쓰고 있슴 것이리라.

혼불은 아름다운 우리말의 보물 창고이고, 우리 습속의 백과사전이다. 이러한 것들은 곧 사라져갈 것이다. 사라져 가는 것들을 붙들어 매놓을 순 없지만 보물창고에 간직해둘 수는 있다. 그게 혼불의 혼이다. 그가 그토록 쓰기 싫은 글을 쓴 까닭이다.

남들이 다 부러워하는 교직생활을 버리고 작가의 길로 들어섰을 때 주변 사람들은 더러‘ 제 복을 제가 차낸다’고 비웃었다. 평생 잘 먹고 잘 살 수 있는 교직을 그만두고 작품에 매달렸을 때 오늘날과 같은 영광을 예상할 수 있었을 까? 언젠가 나는 그에게“ 광주에 살던 김만옥이란 친구가‘ 시향’문학 동인회 가입을 권했을 때‘그런 활동은 글을 써 먹고 살 사람들이 하는 것이며 자신은 선생을 할 것’이라고 했다는데 어떻게 늦게 글을 써먹고 살 생각을 했냐”고 물 었다. 그에 대해 그는“근원에 대한 그리움”이라고 간단히 답했다. 나중에야 나는 이에 대한 구체적 해답을 읽을 수 있었다‘. 오늘의 나를 있게 한 어머니, 아버지, 그리고 그 윗대로 이어지는 분들은 어디서 어떤 모습으로 살았는가를 캐고 싶었다’는 것이었다.

그가 글을 쓰겠다고 나선 까닭은 정체성을 찾겠다는 이야기다. 한마디로 말해 뿌리 찾기다. 자신의 뿌리를 모르고 어떻게 세상을 알 것인가? 모든 것은 나로부터 비롯되고 나로부터 소멸하는 것이다. 이‘친친구’는 이미 그때 하늘의 이치를 깨달았던 것 같다. 이미 예술의 세계는 죽음 저 너머로 통해 있다는 것을 알았던 것이다. 누가‘갈 길을 분명히 알고 가는 이의 뒷모습은 아름답다’했던가? 이런저런 생각을 하며 문학관을 돌아본다. 문학관 안은 너무 어둡고 산만하다. 앨범들이 조각조각 붙어 있고 조악 한 디오라마(배경을 그린 길고 큰 막 앞에 여러 가지 물건을 배치하고, 그것을 잘 조명하여 실물처럼 보이게 한 장치) 관 여기저기서 들려오는 소설 속 주인공들의 목소리도 너무 높다. 그런가 하면 장난처럼 끼적거려놓은 낙서장의 내 용들도 얼굴을 뜨겁게 한다. 문학관을 나올 수밖에 없다. 누마루엔 이미 죽치고 앉은 나그네 들…. 안팎이 온통 어수선하다. 어디 조용히 앉아 생각할 곳이 없다. 잔디밭에‘천추만세향’ 이란 비문이 적힌 빗돌이 있어 다시 읽어보며 계단을 내려온다.

혼불 중의 한 구절이다. 그래서인가. 혼불문학관 앞에 청호지가 있고 물속에 산 그림자가 얼비친다. 백대 천손이 누릴 만한 길지를 만들어 터 잡은 소설 속 주인공들이 보이는 듯하다.

이곳 노봉마을은 청암댁이 후손들을 위해 인공호를 만들고‘천추만세향’을 기원하던 곳이 다. 그들이 최명희의 선조들이었다면 그는 가문을 빛낸 사람이다. 결국 작가는 가문을 빛낸 인물이다. 그 가문이 이 민족, 이 나라가 되는 게 아닐까? 134 전원생활 ‘서북으로 비껴 기맥이 흐를 염려가 놓였으니, 마을 서북쪽으로 흘러내리는 노적봉과 벼슬봉의 산자락 기 운을 느긋하게 잡아 묶어서, 큰 못을 파고, 그 기맥을 가두어 찰랑찰랑 넘치게 방비책만 잘 강구한다면 가 히 백대 천?의 천루락만세향을 누릴만 한 곳이다 하고 이르셨다.’


혼불은 인간의 가슴속 가장 어둔 곳을 밝히는 등불



사진

작가는 혼불을 몸 안에 있는 불덩어리라고 말한다. 사람이 죽으면 먼저 그 혼불이 몸을 이탈해 빠져나간다. 목숨의 불, 정신의 불, 인간 존재의 핵심이 되는 불이 바로 혼불이다. 그 혼불은 어디서 와서 어디로 가는가? 바람의 길을 알 수 없듯 생명의 신비로움은 영원한 수수께끼 같은 것이다. 그러나 우리는 그 혼불이란 가꿀수록 아름다울 수 있고 선 할 수 있다는 것을 안다.

혼불은 책의 권수로 열 권이나 되는 대하장편이고 쓰는 데도 20년이 걸렸으며 거기 등장하는 인물들도 수없이 많 다. 그러니 얼마나 많은 사건들이 일어나겠는가? 주요 무대는 주인공 격인 청암 부인이 사는 매안 이씨 집성촌인 매안 마을과 상대적 하층민들이 사는 내 건너 마을 거멍굴로 이어진다. 무대로만 친다면 남원의 한 농촌 마을에 불과하지 만 거기 모인 인간 군상들은 얼굴이 각기 다르듯 마음속 혼불 역시 각양각색의 빛을 갖고 있다. 거멍골로 묘사된 마을 의 한 촌로는‘ 우리는 잘 몰래요. 사?들이 찾아오고 그러쌓더만…’한다. 정작 소설의 모티브로 삼았던 그 주인공들 은 작품 세계를 모른다. 실존 모델이 없었다는 이야기일까? 평사리에 실존하는 최 참판이 없었던 거나 마찬가지다.

흔히들 혼불의 백미는 문장 속의 주옥같은 언어에 있다고들 한다. 언젠가‘ 혼불사랑의 모임’ 회원들이‘ 혼불 속에 담긴 민속을 모아 또 한 권의 책을 만들어도 된다. 혼불 속에 담긴 언어를 모으면 또 한 권의 새로운 사전이 된다’는 이야기를 했다. 참 부럽다. 한 자리 술을 마시던 작가이면서 어떻게 이런 찬사를 다 들을 수 있을까? ?행스럽게도 그 는 살아생전에도 이 말을 들었다. 아마 이 말이 스스로 힘이 돼 그 가난의 질곡을 버텼을지도 모른다.

하나의 작품이 탄생하기까지 작가는 그 시대, 그 배경, 그 인물들에 대해 철저히 연구하고 취재한 후 재구성한다.

많은 이들이 박경리의‘토지’에 나오는 평사리와‘혼불’에 나오는 매안리는 무엇이 같고 무엇이 다른가를 연구했다.

둘 다 허구이지만 매안리의 종택은 동네 한가운데 실재한다. 촬영장으로도 활용된 서도역 역시 당시 모습 그대로 보 존돼 있는 역사의 증거물이다. 완전 허구와 반사실적인 작품 세계를 비교해볼 수 있는 대목이기도 하다.

그곳을 떠나면서 나는 그에게 인사하지 않았다. 곧 다시 올 것이기 때문이다.


전체 136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추천 조회
66
[이휘현]다시 을 꺼내들며(출처 문화저널)
최명희문학관 | 2018.01.06 | 추천 0 | 조회 1871
최명희문학관 2018.01.06 0 1871
65
목영봉 명인 "평창올림픽, 민족의 혼(魂) 장승도 축복할 것"
최명희문학관 | 2018.01.02 | 추천 0 | 조회 1938
최명희문학관 2018.01.02 0 1938
64
[책에서 찾은 길] 단어 하나에 마음 뺏겨 가슴 떨리던 그 순간
최명희문학관 | 2018.01.02 | 추천 0 | 조회 1692
최명희문학관 2018.01.02 0 1692
63
[한의사 김영호 칼럼] 인생의 혈(穴)
최명희문학관 | 2017.01.17 | 추천 0 | 조회 2239
최명희문학관 2017.01.17 0 2239
62
[김두규]묘에 맞는 혈자리가 있듯이, 인생에도 혈이 있다
최명희문학관 | 2016.10.03 | 추천 0 | 조회 2407
최명희문학관 2016.10.03 0 2407
61
시암송을 권하는 교사들
최명희문학관 | 2016.08.14 | 추천 0 | 조회 2394
최명희문학관 2016.08.14 0 2394
60
김욱의 그 작가 그 작품(15)소설가 최명희의 ‘혼불’
최명희문학관 | 2015.11.12 | 추천 0 | 조회 2614
최명희문학관 2015.11.12 0 2614
59
맛 따라 멋 따라 찾아야 할 전주(이종희)
최명희문학관 | 2015.07.27 | 추천 0 | 조회 2554
최명희문학관 2015.07.27 0 2554
58
혼불로 보는 전주 역사
최명희문학관 | 2015.04.29 | 추천 0 | 조회 2365
최명희문학관 2015.04.29 0 2365
57
시와 소설로 읽는 전주한옥마을(2)
최명희문학관 | 2015.04.29 | 추천 0 | 조회 2731
최명희문학관 2015.04.29 0 2731
메뉴
error: 콘텐츠가 보호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