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들목

그리고 최명희

최명희 씨를 생각함

최명희씨를 생각하면 작가의 어떤 근원적인 고독감 같은 것이 느껴진다. 1993년 여름이었을 것이다. 중국 연길 서시장을 구경하고 있다가 중국인 옷으로 변장하고 커다란 취재 노트를 든 최명희씨를 우연히 만났다.

「혼불」의 주인공의 행로를 따라 이제 막 거기까지 왔는데 며칠 후엔 심양으로 들어갈 것이라고 했다. 그리고 웃으면서 연길 사람들이 한국인이라고 너무 바가지를 씌우는 바람에 그런 옷을 입었노라고 했다. 그날 저녁 김학철 선생 댁엘 들르기로 되어 있어 같이 갔는데 깐깐한 선생께서 모르는 사람을 데려왔다고 어찌나 통박을 주던지 민망해한 적이 있다. 그 후 서울에서 한 번 더 만났다. 한길사가 있던 신사동 어느 카페였는데 고저회와 함께 셋이서 이슥토록 맥주를 마신 것 같다. 밤이 늦어 방향이 같은 그와 함께 택시를 탔을 때였다. 도곡동 아파트가 가까워지자 그가 갑자기 내 손을 잡고 울먹였다.’이형, 요즈음 내가 한 달에 얼마로 사는지 알아? 삼만 원이야, 삼만 원……

동생들이 도와주겠다고 하는데 모두 거절했어. 내가 얼마나 힘든지 알어?’ 고향 친구랍시고 겨우 내 손을 잡고 통곡하는 그를 달래느라 나는 그날 치른 학생들의 기말고사 시험지를 몽땅 잃어버렸다. 그리고 그날 밤 홀로 돌아오면서 생각했다.
그가 얼마나 하기 힘든 얘기를 내게 했는지를. 그러자 그만 내 가슴도 마구 미어지기 시작했다. 나는 속으로 가만히 생각했다. ‘혼불’은 말하자면 그 하기 힘든 얘기의 긴 부분일 것이라고.

시집 ‘은빛 호각’ (이시형/창비) 중에서

▣ 작가 최명희와 소설 <혼불>을 떠올린 아름다운 분들의 애틋한 글이에요.

(문화일보) ‘송화분분’展 여는 김병종 서울대 미대 명예교수

작성자
최명희문학관
작성일
2019-03-14 10:38
조회
1747

출처: http://www.munhwa.com/news/view.html?no=2019031201032327097002

출처: 문화일보 2019년 3월 12일 자 / 이경택 기자

 

“따뜻한 봄날 무리지어 날아가는 송홧가루를 보면 정신마저 아득해집니다. 그 아득함을 그려내고 싶었습니다. 바람을 따라 이동하는 송홧가루의 흐름 속에 ‘생명이 이동하는 정중동(靜中動)의 세계’를 포착하고 싶었던 것이죠.” 김병종(66) 서울대 미대 명예교수가 서울 평창동 가나아트센터 전관에서 14일부터 4월 7일까지 ‘송화분분(松花紛紛)’이라는 타이틀로 개인전을 연다. 그의 전시는 매번 화단 관계자와 미술 애호가들의 관심을 모았는데 이번엔 더 특별한 주목을 받고 있다. 그가 사랑하는 이를 잃은 개인적 고통을 견디며 치열하게 작업을 해서 완성한 100호에서 500호를 넘나드는 대작 47점을 선보이기 때문이다. 

가나아트센터 전시를 앞두고 그를 지난 5일 경기 과천 작업실에서 만났다. 작업실에는 가나에 전시될 작품들이 벽을 따라 도열해 있었다. 봄바람 속에 마치 미립자 세계의 세포 떨림처럼 진동하듯 흘러가는 송홧가루의 흐름을 화폭에 옮긴 것들이었다. 기존 ‘생명의 노래’ 연작과는 다른 작품세계를 보여주고 있는 듯했다.

“어린 시절 고향에서 들었던 ‘혼불’ 얘기가 생각나고는 했죠. 어른들은 가끔 어젯밤 아무개네 지붕 위로 혼불이 떠가는 것을 보았다고 말하곤 했습니다. 둥둥 떠가는 영혼인 ‘혼불’에서 역시 새 생명을 찾아 흐르는 ‘송화’의 움직임을 연상해 낸 셈입니다.”

소설 ‘혼불’의 작가 최명희 씨는 동향(同鄕)의 누님이었다. 그의 고향인 전북 남원 송동(松洞)에는 이름 그대로 소나무가 많았다.  


이번에 전시하는 작품들에도 기존처럼 말과 종달새, 색동물고기, 학, 닭 등이 등장한다. 하지만 대부분의 작품에 ‘분분히’ 흩날리는 송홧가루가 그림 속 실체들의 배경처럼 깔리며 화폭을 지배하고 있다는 점에서 특별하다. 그리고 이 모든 것을 관망하는 듯한 소년의 모습이 슬쩍 등장한다. 김 교수는 어린 시절 학교에 가다가 자연에 혹해서 해찰하는 자신의 모습을 그려놓은 것이라며 웃었다. 그 소년이 자라서 생명의 이치를 그림에 담아낸 것이다.  

“송화꽃에도 암수가 있어서 먼저 꽃을 피워 모체를 떠나는 것은 수꽃이라고 합니다. 그 수꽃들의 발화가 가장 왕성하게 일어날 때쯤 바람이 불어오죠. 수꽃이 이동을 시작할 때쯤, 암꽃은 비로소 조용히 발화하여 기다립니다. 수꽃들의 이동은 때로 몇 ㎞에 이를 때도 많습니다. 대양을 건너고 골짜기를 거슬러 귀환하는 연어들 같아요. 분분히 흩날리는 송화꽃들 속에도 그런 쟁투와 시련이 있는 것이죠.”

김 교수가 지난 2017년 사랑하는 이를 잃은 후 견뎌온 시간을 그의 그림을 통해 짐작해봤다. 그에게 아내이자 예술 동반자였던 정미경 작가와의 사별은 갑작스럽게 왔다. 정 작가는 암에 걸렸다는 사실을 알자, 병원에 입원하지 않고 남편 곁에 있고 싶어 했다. 정 작가가 세상을 떠나던 날에 눈이 참 많이 내렸다고, 김 교수는 되돌아봤다. 그는 겉으로 강인하게 버티고 있었으나 실제론 내상이 깊었다.

이번 전시의 특징은 자연과 하나 되었던 ‘유년의 소환’ 그리고 짙은 문학성이다. 낙락장송 아래에서 잠들고 깨며 경이롭게 보았던, 신비한 노란색의 이동을 화면 속에 다시 불러내어 그 생명의 미립자 속에서 발견한 놀라운 비의(秘意)를 자전적 그림으로 풀어낸 것이다. 김 교수는 화가이자 동시에 문인이고 인문학자다. 대학 재학 시절 전국 대학생 미전에서 대통령 상을 받고 각종 관,민전에서 수상하며 두각을 드러내었지만 동시에 주요 일간지 두 곳의 신춘문예에 당선한 문인이다. 또한 ‘중국회화연구’(서울대 출판부) 같은 명저로 한국출판문화상을 받았다. 이번 전시는 그러한 김 교수의 통섭과 인문정신이 회화예술로 승화된 것이다. 

 

김 교수는 ‘화첩기행’으로 잘 알려진 것처럼 그림 못지않게 글의 세상을 꾸려왔다. “그림을 그리다 보면 허해져서 문자의 세계로 돌아오고, 문자의 세상에 지쳐서 그림으로 돌아가곤 하지요.”

미술 전문가들은 최근 김 교수의 작품에 대해 ‘생명의 노래’ 연작 후기 작품이라고들 입을 모은다. 기존 작품의 연장선 상에서 보는 것이다. 미술사가 전영백(홍익대 교수) 씨는 조금 다르게 생각한다. 그는 “김병종의 세계에는 안착하는 범주가 없다. 눈길을 끄는 것은 역사에 대한 실존적 고민에 천착했던 1980년대, 1990년대와 달리 노란 가루를 가득 담은 화면에는 그 모든 분투를 되돌아보는 회고의 사색과 절제의 기운이 온화하게 녹아 있는 점”이라고 설명했다.

과연 그런 것일까. 서울대 교정에서 매운 최루탄 연기 사이로 목도한 ‘바보 예수’ 이후 그는 평화를 찾은 것일까. 아내와 사별 후 두 달 뒤 그는 작가노트에 이렇게 적었다. “대저 알 수 없는 생명의 묘리여, 그토록 소멸해갈 것이라면 저 노란 점(송홧가루)들은 왜 저토록 아름답고 몽환적으로 태어나는 것일까. 화톳불에 떨어지는 눈꽃 한 송이처럼 그렇게 소멸해가는 것을….” 
작가노트에 그 같은 심경을 피력한 후 이번에 전시되는 신작들이 탄생했다. 가나아트센터는 “두꺼운 마티에르(화면의 재질감)와 아크릴 물감은 한국화와 거리가 멀어 보이지만, 소나무나 말, 닭 같은 익숙한 소재들과 전통의 오방색은 그의 작품이 다시 한국화의 맥을 잇게 한다”며 “특히 이번 전시회에서는 송홧가루라는 매개를 통해 작품에 풍부한 시적 변조와 추상성을 가미한 신작들을 만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전체 136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추천 조회
76
(전주대 김승종 교수) 『혼불』과 “한국의 꽃심 전주”
최명희문학관 | 2019.03.25 | 추천 0 | 조회 1529
최명희문학관 2019.03.25 0 1529
75
몽블랑 최정상처럼, 성공의 대명사
최명희문학관 | 2019.03.14 | 추천 0 | 조회 1644
최명희문학관 2019.03.14 0 1644
74
(문화일보) ‘송화분분’展 여는 김병종 서울대 미대 명예교수
최명희문학관 | 2019.03.14 | 추천 0 | 조회 1747
최명희문학관 2019.03.14 0 1747
73
(하성환)하이극로와 조선어학회, 영화 ‘말모이’ 의미와 교훈
최명희문학관 | 2019.03.14 | 추천 0 | 조회 1690
최명희문학관 2019.03.14 0 1690
72
[머니투데이] 정월 대보름과 날씨 소망 (김종석)
최명희문학관 | 2019.02.19 | 추천 0 | 조회 1497
최명희문학관 2019.02.19 0 1497
71
[중도일보 20190216]먼저 따뜻한 마음을 준비해 놓으세요(한소민)
최명희문학관 | 2019.02.18 | 추천 0 | 조회 1337
최명희문학관 2019.02.18 0 1337
70
[전북일보 20181120]전주정신 ‘꽃심’과 문화시민(정정숙 전주문화재단 대표이사)
최명희문학관 | 2018.11.19 | 추천 0 | 조회 1519
최명희문학관 2018.11.19 0 1519
69
[전북대신문 사설 20181017]20주기 최명희를 생각하는 10월
최명희문학관 | 2018.10.29 | 추천 0 | 조회 1552
최명희문학관 2018.10.29 0 1552
68
음악극 혼불이 나오기까지(작곡가 지성호)
최명희문학관 | 2018.10.11 | 추천 0 | 조회 1551
최명희문학관 2018.10.11 0 1551
67
[전북일보 20181003]혼불 작가 최명희의 장문 편지 발견
최명희문학관 | 2018.10.03 | 추천 0 | 조회 1610
최명희문학관 2018.10.03 0 1610
메뉴
error: 콘텐츠가 보호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