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들목

그리고 최명희

최명희 씨를 생각함

최명희씨를 생각하면 작가의 어떤 근원적인 고독감 같은 것이 느껴진다. 1993년 여름이었을 것이다. 중국 연길 서시장을 구경하고 있다가 중국인 옷으로 변장하고 커다란 취재 노트를 든 최명희씨를 우연히 만났다.

「혼불」의 주인공의 행로를 따라 이제 막 거기까지 왔는데 며칠 후엔 심양으로 들어갈 것이라고 했다. 그리고 웃으면서 연길 사람들이 한국인이라고 너무 바가지를 씌우는 바람에 그런 옷을 입었노라고 했다. 그날 저녁 김학철 선생 댁엘 들르기로 되어 있어 같이 갔는데 깐깐한 선생께서 모르는 사람을 데려왔다고 어찌나 통박을 주던지 민망해한 적이 있다. 그 후 서울에서 한 번 더 만났다. 한길사가 있던 신사동 어느 카페였는데 고저회와 함께 셋이서 이슥토록 맥주를 마신 것 같다. 밤이 늦어 방향이 같은 그와 함께 택시를 탔을 때였다. 도곡동 아파트가 가까워지자 그가 갑자기 내 손을 잡고 울먹였다.’이형, 요즈음 내가 한 달에 얼마로 사는지 알아? 삼만 원이야, 삼만 원……

동생들이 도와주겠다고 하는데 모두 거절했어. 내가 얼마나 힘든지 알어?’ 고향 친구랍시고 겨우 내 손을 잡고 통곡하는 그를 달래느라 나는 그날 치른 학생들의 기말고사 시험지를 몽땅 잃어버렸다. 그리고 그날 밤 홀로 돌아오면서 생각했다.
그가 얼마나 하기 힘든 얘기를 내게 했는지를. 그러자 그만 내 가슴도 마구 미어지기 시작했다. 나는 속으로 가만히 생각했다. ‘혼불’은 말하자면 그 하기 힘든 얘기의 긴 부분일 것이라고.

시집 ‘은빛 호각’ (이시형/창비) 중에서

▣ 작가 최명희와 소설 <혼불>을 떠올린 아름다운 분들의 애틋한 글이에요.

최명희의 혼불 문학공원을 다녀오다

작성자
최명희문학관
작성일
2014-03-21 15:19
조회
2361

쓴이: 김현숙
날자: 09.08.01
출처: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1188275



최명희, 그녀는 오래 전부터 나의 화두였다. 그녀를 만나고 싶어하다가 하염없이 시간만 흘러갔다. 그러다가 올 연초부터 그녀를 만나기 시작했다. 역시 그녀는 나를 실망시키지 않았다. 그녀가 그려낸 세상은 내가, 우리 부모님이, 우리 형제자매가 함께 걸어온 삶의 길이었다. 아, 그속에서 얼마나 많은 추억을 되찾았던가. 너무 오래 잊고 살아서 있는지조차도 모르고 살았던 소중한 추억들을 그녀는 저 깊은 곳에서 끌어올려 생명을 불어넣어주었다. 처음엔 빌려 읽었다. 빨리 읽고 돌려줘야지 하는 마음뿐이었다. 그러나 읽어갈수록 그건 내 책이었다. 돌려줄 수 없는 내 책이었다.

그때부터 서점을 뒤지기 시작했다. 먼저 인터넷 책방. 그러나 모두 절판이었다. 다시 헌책방을 뒤지기 시작했다. 그러나 구하기 어려웠을 뿐 아니라 있다 해도 몇 권이 빠졌거나 다 있어도 새책값보다 훨씬 더 비쌌다. 그러나 구입했다. 전 권을 구하기 전까지 전혀 편안하지 않았다. 책은 돌려줄 수 없는데 구할 수 없으니 애가 말랐다. 구해놓고 나니 얼마나 편안하고 행복하던지.

<혼불>은 손에서 책을 놓을 수 없게 했다. 그런 나를 보고 남편은 <혼불>이 우리 각시 혼을 빼앗아가버렸다고 놀렸다. <혼불>을 읽으면서 남원에 있는 혼불 문학관에 가보고 싶었다. 지금도 살아있다는 인월댁의 모델을 만나고도 싶었다. 혼불 현장에 가서 호흡을 하고 싶었다. 나는 역사의 현장을 즐긴다. 그곳에 가면 그 시대의 사람들과 함께 호흡하면서 그 시대를 음미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그 자리가 아니면 결코 느낄 수 없는 그런 기분들을 맛보는 것을 좋아한다.

그렇게 <혼불>에 빠져서 살다가 어느 날 갑자기 닥친 일로 정신없이 빠져서 읽던 <혼불>을 8권까지 읽다가 저만치 밀쳐놓았고, 위암수술을 하고 나서야 다시 혼불을 읽기 시작하고 있다. 그러나 그러는 사이 혼불문학관이 화재로 불탔고 만나고 싶었던 인월댁, 기구한 운명의 그녀는 불타버린 종가와 함께 생을 마감했다. 아, 발병 전에 그토록 가고 싶었었는데... 모든 것에는 때가 있나니 내게는 그 때가 접점 없이 지나가버렸다. 아쉽기 그지없다. 다시금 시간은 우리를 기다려주지 않는다는 것을 아프게 배웠다.

전주 덕진공원을 들렀다가 나오는 길에 혼불 문학공원을 찾았다. 다행히 가까운 곳에 있어서 몇 번 물어서 쉽게 찾을 수 있었다. 전북대학교 학술림에 그녀의 묘원이 있었다. 생각보다 화려하지 않아서 친근감이 있고 좋았다. 묘소 옆에는 그녀의 묘비와 함께 그녀의 모습을 동상으로 새겨놓았다. 다가가 그녀와 눈이 마주친 순간 내 안에서 불꽃이 일었다. 그녀의 혼이 내게 말을 하고 있었다. 동상의 눈은 생생하게 살아있었다. 아, 얼마나 놀랐는지. 나는 이런 느낌을 만나고 싶었다. 이런 느낌들은 현장이 아니고선 결코 맛볼 수 없는 것이다.

전북대 학술림은 참으로 아름다운 산책로였다. 감탄사가 절로 터져나올 정도로 잘 가꾸어놓았다. 나무숲 사이로 공원이 다 보이면서 길은 오솔길처럼 만들어놓았다. 연인끼리, 친구끼리 손잡고 걸으면 참 좋을 길이었다. 그녀는 그곳에서 쉬고 있었다. 참나무로 만들어놓은 광장(?)같은 공원에서 영원한 휴식을 취하고 있었다. 그녀가 전주시민들의 사랑을 얼마나 받고 있는지 한눈에 알 수 있었다.

얼마나 글쓰기가 힘들었으면 쓰지않고 사는 사람들은 얼마나 행복할까 했던 그녀. 때때로 엎드려 울면서 갚을 데도 없는 큰 빛을 지고 도망가는 사람처럼 항상 불안하고 외로웠다는 그녀. 그러나 안타까운 심정으로 쓰기 시작한 이야기 혼불은 드디어 자신도 어찌하지 못하는 불길로 그녀를 사로잡고 말았다고 고백했던 그녀. 마치 한사람의 하수인처럼 날마다 밤을 새우며 한번도 본 적 없는 영혼들의 넋이 되어 그들이 시키는 대로 말하고 하라는 대로 내달렸다는, 그것은 휘몰이 같았다고 고백했던 그녀는 이제 이 아늑하고 아름다운 곳에, 잠들어 있었다. 그녀에게 영원한 안식을 빌어주었다.

이번 전주행은 나를 풍요롭게 해준 행복한 나들이였다. 아름다운 그 길을 걷기 위해, 아니 최명희, 그녀를 만나기 위해 그곳에 다시 한 번 가고 싶다.
전체 136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추천 조회
76
(전주대 김승종 교수) 『혼불』과 “한국의 꽃심 전주”
최명희문학관 | 2019.03.25 | 추천 0 | 조회 1520
최명희문학관 2019.03.25 0 1520
75
몽블랑 최정상처럼, 성공의 대명사
최명희문학관 | 2019.03.14 | 추천 0 | 조회 1636
최명희문학관 2019.03.14 0 1636
74
(문화일보) ‘송화분분’展 여는 김병종 서울대 미대 명예교수
최명희문학관 | 2019.03.14 | 추천 0 | 조회 1726
최명희문학관 2019.03.14 0 1726
73
(하성환)하이극로와 조선어학회, 영화 ‘말모이’ 의미와 교훈
최명희문학관 | 2019.03.14 | 추천 0 | 조회 1677
최명희문학관 2019.03.14 0 1677
72
[머니투데이] 정월 대보름과 날씨 소망 (김종석)
최명희문학관 | 2019.02.19 | 추천 0 | 조회 1489
최명희문학관 2019.02.19 0 1489
71
[중도일보 20190216]먼저 따뜻한 마음을 준비해 놓으세요(한소민)
최명희문학관 | 2019.02.18 | 추천 0 | 조회 1331
최명희문학관 2019.02.18 0 1331
70
[전북일보 20181120]전주정신 ‘꽃심’과 문화시민(정정숙 전주문화재단 대표이사)
최명희문학관 | 2018.11.19 | 추천 0 | 조회 1512
최명희문학관 2018.11.19 0 1512
69
[전북대신문 사설 20181017]20주기 최명희를 생각하는 10월
최명희문학관 | 2018.10.29 | 추천 0 | 조회 1546
최명희문학관 2018.10.29 0 1546
68
음악극 혼불이 나오기까지(작곡가 지성호)
최명희문학관 | 2018.10.11 | 추천 0 | 조회 1540
최명희문학관 2018.10.11 0 1540
67
[전북일보 20181003]혼불 작가 최명희의 장문 편지 발견
최명희문학관 | 2018.10.03 | 추천 0 | 조회 1603
최명희문학관 2018.10.03 0 1603
메뉴
error: 콘텐츠가 보호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