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들목

그리고 최명희

최명희 씨를 생각함

최명희씨를 생각하면 작가의 어떤 근원적인 고독감 같은 것이 느껴진다. 1993년 여름이었을 것이다. 중국 연길 서시장을 구경하고 있다가 중국인 옷으로 변장하고 커다란 취재 노트를 든 최명희씨를 우연히 만났다.

「혼불」의 주인공의 행로를 따라 이제 막 거기까지 왔는데 며칠 후엔 심양으로 들어갈 것이라고 했다. 그리고 웃으면서 연길 사람들이 한국인이라고 너무 바가지를 씌우는 바람에 그런 옷을 입었노라고 했다. 그날 저녁 김학철 선생 댁엘 들르기로 되어 있어 같이 갔는데 깐깐한 선생께서 모르는 사람을 데려왔다고 어찌나 통박을 주던지 민망해한 적이 있다. 그 후 서울에서 한 번 더 만났다. 한길사가 있던 신사동 어느 카페였는데 고저회와 함께 셋이서 이슥토록 맥주를 마신 것 같다. 밤이 늦어 방향이 같은 그와 함께 택시를 탔을 때였다. 도곡동 아파트가 가까워지자 그가 갑자기 내 손을 잡고 울먹였다.’이형, 요즈음 내가 한 달에 얼마로 사는지 알아? 삼만 원이야, 삼만 원……

동생들이 도와주겠다고 하는데 모두 거절했어. 내가 얼마나 힘든지 알어?’ 고향 친구랍시고 겨우 내 손을 잡고 통곡하는 그를 달래느라 나는 그날 치른 학생들의 기말고사 시험지를 몽땅 잃어버렸다. 그리고 그날 밤 홀로 돌아오면서 생각했다.
그가 얼마나 하기 힘든 얘기를 내게 했는지를. 그러자 그만 내 가슴도 마구 미어지기 시작했다. 나는 속으로 가만히 생각했다. ‘혼불’은 말하자면 그 하기 힘든 얘기의 긴 부분일 것이라고.

시집 ‘은빛 호각’ (이시형/창비) 중에서

▣ 작가 최명희와 소설 <혼불>을 떠올린 아름다운 분들의 애틋한 글이에요.

[책에서 찾은 길] 단어 하나에 마음 뺏겨 가슴 떨리던 그 순간

작성자
최명희문학관
작성일
2018-01-02 17:01
조회
1693

출처: http://news20.busan.com/controller/newsController.jsp?newsId=20171214000259

 

 

"웬일인지 나는 원고를 쓸 때면, 손가락으로 바위를 뚫어 글씨를 새기는 것만 같은 생각이 든다. 그것은 얼마나 어리석고도 간절한 일이랴. 날렵한 끌이나 기능 좋은 쇠붙이를 가지지 못한 나는, 그저 온 마음을 사무치게 갈아서 손끝에 모으고, 생애를 기울여 한 마디 한 마디, 파나가는 것이다." 작가가 남긴 처절한 글귀다. 그런데 <혼불>을 읽으면 수긍하게 된다. "글자 하나하나가 내 피와 살과 같다"는 작가의 말이 진실이란 걸 느낄 수 있으니까.
 
처음 <혼불>을 읽었을 때, 우리말과 우리 표현의 보물창고를 여는 것 같았던 느낌을 아직도 기억한다. 곳곳에 담긴 우리 문화와 전통의 아름다움이 너무 귀해서 책을 놓을 수가 없었던 마음도 생생하다. 때문에 열 권으로 이어지는 대하소설을 읽는 일이 더뎠을 것이다. 사용된 단어 하나에 종일 마음이 붙잡히고 작가의 손이 그려낸 풍경에 가슴이 떨려서 정말 공을 들여 읽지 않을 수가 없었으니까.
 
"청명하고 별 발이 고른 날에도 대숲에서는 늘 그렇게 소소한 바람이 술렁이었다. 그것은 사르락 사르락 댓잎을 갈며 들릴 듯 말 듯 사운거리다가도, 솨아 한쪽으로 몰리면서 물소리를 내기도 하고, 잔잔해졌는가 하면 푸른 잎의 날을 세워 우우우 누구를 부르는 것 같기도 하였다." 바람 하나에 이런 묘사가 가능한 건 우리 민족뿐이다. 그래서 이 책을 내용만 아는 데 머문다면 아깝다. 손해다. 소설 속에 그려져 있는 우리의 고유 언어와 문화는 또 얼마나 다채로운가? 그래서 <혼불>은 우리 민족의 참고서가 된다. 분주하게 내달리는 세상을 살아가느라고 표현을 아끼고 거친 말로 응수하며 지내는 메마른 우리 모두, <혼불>이 내리치는 문화와 전통의 매를 맞기 바란다. 

"쓰지 않고 사는 사람은 얼마나 좋을까/ 때때로 나는 엎드려 울었다/ 그리고 갚을 길도 없는 큰 빚을 지고 도망 다니는 사람처럼 항상 불안하고 외로웠다/ (…) 처음과 달리 거의 안타까운 심정으로 쓰기 시작한 이야기 <혼불>은 드디어 나도 어쩌지 못할 불길로 나를 사로잡고 말았다." 작가 최명희가 들려주는 영혼의 피 울음 소리를 듣기 바란다.  

 
장재봉
 
 천주교부산교구 선교사목국장·신부

전체 136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추천 조회
86
[파이낸셜뉴스] 최강욱 국회의원 인터뷰
최명희문학관 | 2020.07.14 | 추천 0 | 조회 1101
최명희문학관 2020.07.14 0 1101
85
[경향신문 20200630] [김언호가 만난 시대정신의 현인들](14)“대화는 우리를 편견에서 해방시켜”…직언으로 조정·화해 이끌다
최명희문학관 | 2020.07.03 | 추천 0 | 조회 881
최명희문학관 2020.07.03 0 881
84
[전북일보 20200420] (칼럼)다시 손으로 씁니다
최명희문학관 | 2020.04.21 | 추천 0 | 조회 989
최명희문학관 2020.04.21 0 989
83
(김언호)‘혼불’처럼…어둠에서 밝음을 찾아낸 그의 문학은 그리움이다
최명희문학관 | 2020.02.26 | 추천 0 | 조회 1078
최명희문학관 2020.02.26 0 1078
82
(황선우)백일홍 단상(斷想)
최명희문학관 | 2019.08.25 | 추천 0 | 조회 1134
최명희문학관 2019.08.25 0 1134
81
(이승하) 소설가의 길-이시영의 '최명희 씨를 생각함'
최명희문학관 | 2019.06.29 | 추천 0 | 조회 1390
최명희문학관 2019.06.29 0 1390
80
(강원일보)우편물 대란 걱정
최명희문학관 | 2019.06.29 | 추천 0 | 조회 1230
최명희문학관 2019.06.29 0 1230
79
(김두규) 풍수론 따르지 않은 종택 공간 배치… 천왕봉 전경을 살렸다
최명희문학관 | 2019.06.29 | 추천 0 | 조회 1351
최명희문학관 2019.06.29 0 1351
78
최명희 선생님, 시, 그리고 샹송
최명희문학관 | 2019.05.27 | 추천 0 | 조회 1204
최명희문학관 2019.05.27 0 1204
77
황선열 박사 ‘우리 시대의 언어, 소통과 불통’
최명희문학관 | 2019.05.01 | 추천 0 | 조회 1386
최명희문학관 2019.05.01 0 1386
메뉴
error: 콘텐츠가 보호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