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들목

그리고 최명희

최명희 씨를 생각함

최명희씨를 생각하면 작가의 어떤 근원적인 고독감 같은 것이 느껴진다. 1993년 여름이었을 것이다. 중국 연길 서시장을 구경하고 있다가 중국인 옷으로 변장하고 커다란 취재 노트를 든 최명희씨를 우연히 만났다.

「혼불」의 주인공의 행로를 따라 이제 막 거기까지 왔는데 며칠 후엔 심양으로 들어갈 것이라고 했다. 그리고 웃으면서 연길 사람들이 한국인이라고 너무 바가지를 씌우는 바람에 그런 옷을 입었노라고 했다. 그날 저녁 김학철 선생 댁엘 들르기로 되어 있어 같이 갔는데 깐깐한 선생께서 모르는 사람을 데려왔다고 어찌나 통박을 주던지 민망해한 적이 있다. 그 후 서울에서 한 번 더 만났다. 한길사가 있던 신사동 어느 카페였는데 고저회와 함께 셋이서 이슥토록 맥주를 마신 것 같다. 밤이 늦어 방향이 같은 그와 함께 택시를 탔을 때였다. 도곡동 아파트가 가까워지자 그가 갑자기 내 손을 잡고 울먹였다.’이형, 요즈음 내가 한 달에 얼마로 사는지 알아? 삼만 원이야, 삼만 원……

동생들이 도와주겠다고 하는데 모두 거절했어. 내가 얼마나 힘든지 알어?’ 고향 친구랍시고 겨우 내 손을 잡고 통곡하는 그를 달래느라 나는 그날 치른 학생들의 기말고사 시험지를 몽땅 잃어버렸다. 그리고 그날 밤 홀로 돌아오면서 생각했다.
그가 얼마나 하기 힘든 얘기를 내게 했는지를. 그러자 그만 내 가슴도 마구 미어지기 시작했다. 나는 속으로 가만히 생각했다. ‘혼불’은 말하자면 그 하기 힘든 얘기의 긴 부분일 것이라고.

시집 ‘은빛 호각’ (이시형/창비) 중에서

▣ 작가 최명희와 소설 <혼불>을 떠올린 아름다운 분들의 애틋한 글이에요.

시와 소설로 읽는 전주한옥마을(1)

작성자
최명희문학관
작성일
2015-04-29 11:27
조회
2752

매체: 새만금일보
날짜: 2015년 4월 3일
제목:시와 소설로 읽는 전주한옥마을(1)


○ 천년고도(千年古都) ‘전주’와 ‘온다라’

전주를 흔히 ‘천년고도’(千年古都)라고 말한다. ‘천년’이란 이 고장이 ‘전주’라고 불리기 시작한 이후의 세월을 말하는 것이다. 전주라는 이름은 신라가 삼국을 통일한 서기 757년(경덕왕 16년) 처음 비롯되었고, 그 이전에는 ‘완산’(完山)이라 불렸다. 백제와 마한의 옛 땅. 신라 천 년 이전에 백제 칠백 년이 있었고, 백제 칠백 년 이전에는 마한의 세월이 있었다. 마한 이전에도 이 고을에 햇살은 다사로웠으니, 그 세월을 다하면 어찌 이 천 년, 삼천 년이 모자라겠는가.
전주(全州). 전주는 온전 전(全)과 고을 주(州)로 온전한 고을이라는 말이요, 완산은 완전할 완(完)에 뫼 산(山), 산의 고어가 ‘’인 것을 안다면 ‘온 들’이라, 완전한 뫼와 어울려 다함없는 산과 들, 완전한 누리를 일컫는다. 이는 전주가 나지막한 산자락에 둘러싸인 원형분지로 동남쪽 저만큼 산악지대를 우뚝우뚝 장수처럼 첩첩이 늘어세우고, 서북쪽 비옥한 평야지대를 아득히 풀어서 펼쳐 놓아 비산비야(非山非野)를 적절히 이룬 지형인데다, 서해 바다 또한 지척이라, 산과 들과 바다의 산물이 사시사철 풍요롭게 모여들고, 기후조차 따뜻하여, 사람들의 성품은 명랑하고 낙천적이면서 남방인 특유의 개방적인 호방함을 넉넉하게 가진 것을 기리어, 만물이 은성(殷盛)하며 모든 것을 완비하여 원만하다는 뜻을 글자로 표현한 것이리라. ‘전주’와 ‘완산’, ‘온(溫)’과 ‘온다라’에 대한 내용은 소설 「혼불」에서 심진학의 강연을 빌어 자세하게 소개돼 있다. 땅은 어버이며, 선대의 함자(銜字)와 휘자(諱字)를 똑바로 아는 것이 당연한 일이듯 그 음덕을 입고 살아가는 땅의 이름 또한 잘 알아야한다는 말이 맨 앞에 놓인다.

○ 전주한옥마을의 문화콘텐츠

전주시가 예향의 상징처럼 가꿔 온 전주한옥마을은 교동과 풍남동 일대다. 수많은 예술인들에게 창작의 원천이자 산물이 된 전주천이 안고 흐르는 곳. 전주한옥마을은 2002년 월드컵 이후 부상한 곳이지만, 한국관광을 빛낸 ‘한국관광의 별’과 국내·외 관광객들이 꼭 가봐야 할 한국 관광의 ‘으뜸명소’로 선정됐고, 국제슬로시티로도 지정될 만큼 인기를 끌고 있으며, 연간 6-7백만 명이 찾는 전라북도 대표 문화콘텐츠가 되었다.
전주한옥마을은 태조 이성계의 어진을 모신 경기전과 그의 흔적을 찾을 수 있는 오목대와 이목대, 전주향교와 그 부속 건물로 유생들을 교육했던 양사재, 소설 「혼불」의 작가 최명희의 삶과 문학세계를 엿볼 수 있는 최명희문학관 등 문화 유적과 시설들이 사람들과 더불어 살고 있다. 그러나 전주한옥마을의 숨소리는 아주 작고 사소한, 그래서 하찮게까지 느껴지는 것들에서 들을 수 있다. 한옥과 한옥을 잇댄 담과 골목, 문(門)과 창(窓), 나무와 숲, 장독과 기와 등.


전주한옥마을은 동네 소문이 스며있는 토담 같은 이야기들이 모여 그만의 서정을 만들어낸다. 생명이 흐르는 소리, 오목대와 이목대 아래 묵샘골 샘물은 지금 한옥마을을 흐르며 눈과 귀를 적시고, 묵은 지붕 너머에는 몇 백 년도 더 늙었다는 나무 둥치들이 얼마든지 서 있다. 맑은 바람소리가 걸음을 떼는 길 위로 푸르게 깔린다.
전주는 느린 걸음으로 둘러보며 걷는 것이 더 좋다. 경기전, 객사, 양사재, 오목대, 이목대, 전동성당, 전주사고, 조경묘, 최씨 종각 은행나무, 풍남문, 하마비, 학인당, 한벽루, 향교 등 문화유적들과 강암서예관, 고전번역교육원 전주분원, 동락원, 목우헌, 설예원, 승광재, 아세헌, 우석대한방문화센터, 이지원, 전주공예품전시관, 전주동학혁명기념관, 전주전통문화센터, 전주전통술박물관, 전주한옥생활체험관, 지담, 최명희문학관, 한지원 등 문화시설들이 멀리 떨어져 있지 않고, 사람들의 삶과 더불어 공존하기 때문이다. 전주한옥마을을 상징하는 단어들이 전주와 전북을 상징하고, 이 땅을 떠올리게 하는 키워드들도 전주한옥마을과 멀리 떨어져 있지 않다. 게다가 눈길 닿는 곳이 맛난 집이다. 사부작 사부작 발품을 팔다 귀찮아지면 자전거를 타고 여유를 즐기는 것도 한 방법이다. 굳이 힘들여 속도를 내지 않아도 좋다. 사람을 기다려 맞는 지혜를 가지고 있기에, 전주는 그리 급할 것이 없는 도시다.
전주를 ‘꽃심 지닌 땅’이라고 한 소설가 최명희. 작가는 장편소설 『혼불』과 미완성 장편소설 「제망매가」, 단편소설 「만종」을 통해 전주의 역사와 삶을, 겉내와 속내를 빠짐없이 담았다.
어디 최명희뿐이랴. 천주교 박해의 상징인 치명자산과 초록바위 일대는 수많은 문학작품의 소재가 되어 그들의 한을 달래었고, 신정일의 『지워진 이름 정여립』은 임진왜란 이전, 참혹하고 뜨아한 역사의 한 페이지를 묘사해 두었다.

○ 최명희의 문장으로 둘러보는 전주한옥마을

아무리 생애가 멀리 멀리 흘러갈지라도 자기 존재의 근원지를 떠올릴 때면 까닭도 없이 핏줄이 저린다. 작가 최명희(1947-1998). 고단한 삶의 여울, 징검다리 둥지와 같았던 전주의 이 집들은 지금 깡그리 사라졌지만, 최명희문학관은 생가(生家) 가까운 자리에서 작가가 살아온 기억의 마디마디를 역력히 담고 있다. 문학관은 세상을 떠난 작가가 이 세상에 다시 살러 온 집이기 때문이다.
최명희문학관은 진달래와 철쭉이 차례로 피던 2006년 봄, 그가 나고 자란 전주한옥마을에 세워졌다. 아늑한 마당과 소담스런 공원이 있는 문학관은 주 전시관인 독락재(獨樂齋)와 강연장․기획전시장인 비시동락지실(非時同樂之室)로 이뤄졌다.
작가를 중심으로 구성한 전주의 문학관은, 내 마음의 전주에 그 옛날의 고향 하나를 오밀조밀 정답게 복원해 보고 싶어 했던 작가의 세세한 삶의 흔적과 치열했던 문학 혼을 엿볼 수 있으며, 고향에 대한 애정까지 확인할 수 있다. 최명희의 작품에서 보여주는 그 흔전한 말의 잔치를 이곳에서 누리다보면, 한 인물의 삶이 얼마나 많은 사람들에게 큰 감동을 줄 수 있는 지 사뭇 깨닫게 된다. 최명희와 전주, 문학과 전주, 문화와 전주가 만나는 자리들로 이곳은 늘 부산하다.
최명희는 아름다운 조각품을 볼 때, 그 아름다운 조각품이 태어나기 위해 떨어져나간 돌이나 쇠의 아름답고 숭고한 희생을 우러르며 가슴 아파했고, 흐드러지게 피어 아름다운 동백꽃만큼 그 둥치에 낀 이끼의 생명력을 소중히 여겼다. 최명희문학관 운영은 이러한 그의 마음에서 시작된다. 최명희문학관을 향한 호젓한 발걸음. 이 그리운 마을의 한 집에 이제 당신이 있을 것이고, 당신의 마을 한 집에는 아마도 작가 최명희가 있을 것이다.


전주에서 나고, 전주에 묻힌 작가는 전주를 자랑스러워했다. ‘부조(父祖)의 함자(銜字)와 휘자(諱字)를 똑바로 아는 것이 당연한 일이듯이. 그 음덕을 입고 살아갈 땅의 이름 또한 잘 알아야만 한다. 땅은 어버이이기 때문이다.’(『혼불 8권』) 이것이 그의 말이다. ‘그러하매 아조에서는 전주를 선영의 선원조발지기(璿源肇發之基)로서, 아름다운 옥과도 같은 왕조의 근원이 시작된 곳이라 하여, 이 땅에 웅숭 깊은 경의를 다하였으며, 시방동천(示方洞天) 부성을 두루 성역으로 삼아서 신성하게 가꾸고 애중히 여기었다. 그리고는 한양에 버금가는 고을로 이 고장을 존중하였더니라.’라고 당당히 소개하며, ‘땅의 덕이 이토록 융융하매, 전주를 본으로 하는 성씨는 매우 많으니. 전주 이씨(李氏)를 비롯하여, 백제시대 팔대 성의 하나였던 전주 국씨(國氏), 그리고 전주 김씨(金氏), 전주 도씨(都氏), 문화 유씨(柳氏) 전주파, 전주 박씨(朴氏), 전주 애씨(艾氏),전주 연씨(連氏), 전주 오씨(吳氏), 전주 운씨(芸氏), 전주 임씨(林氏), 전주 장씨(張氏), 완산 전씨(全氏), 전주 정씨(鄭氏 ), 전주 주씨(朱氏), 완산 최씨(崔氏), 전주 최씨(崔氏), 전주 필씨(弼氏) 등등 미처 다 헤아리기 어려웁다’라고 덧붙인다. 그리고 ‘한반도 서남지방에 자리한 전라도의 행정과 군사 및 교통과 산업, 그리고 문화의 중심지로서 전주는 그 이름을 떨치고 있지. 흔히 전주를 천 년 고도라고 한다. ‘천 년’이란 이 고장이 ‘전주’라고 불리기 시작한 이후의 세월을 말하는 것이다.’(『혼불(8권)』)라고, ‘천년 전주’를 소망한다.
그의 작품에도 전주의 모습은 세심하게 담겨 있다. 특히 경기전․한벽당․풍남문․전동성당․이목대․오목대․전주향교․학인당 등 유적에서 최명희의 흔적을 찾을 수 있다.
전주천을 따라 가며 만나는 한벽루와 싸전다리, 완산교, 다가교에도 작가의 풍성한 역사인식과 상상이 녹아 흐른다. 전주천이 옆을 스쳐 가는 한옥마을에서 나고, 전주천이 어깨 걸고 흐르는 완산동과 다가동에서 자란 작가는 소설로 전주의 수맥을 이야기하지 않을 수 없었을 것이다. 이때 작가와의 만남은 소살소살, 설렘을 동반한다.
/최기우 (극작가·최명희문학관 학예연구실장)
전체 136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추천 조회
86
[파이낸셜뉴스] 최강욱 국회의원 인터뷰
최명희문학관 | 2020.07.14 | 추천 0 | 조회 1101
최명희문학관 2020.07.14 0 1101
85
[경향신문 20200630] [김언호가 만난 시대정신의 현인들](14)“대화는 우리를 편견에서 해방시켜”…직언으로 조정·화해 이끌다
최명희문학관 | 2020.07.03 | 추천 0 | 조회 881
최명희문학관 2020.07.03 0 881
84
[전북일보 20200420] (칼럼)다시 손으로 씁니다
최명희문학관 | 2020.04.21 | 추천 0 | 조회 989
최명희문학관 2020.04.21 0 989
83
(김언호)‘혼불’처럼…어둠에서 밝음을 찾아낸 그의 문학은 그리움이다
최명희문학관 | 2020.02.26 | 추천 0 | 조회 1078
최명희문학관 2020.02.26 0 1078
82
(황선우)백일홍 단상(斷想)
최명희문학관 | 2019.08.25 | 추천 0 | 조회 1134
최명희문학관 2019.08.25 0 1134
81
(이승하) 소설가의 길-이시영의 '최명희 씨를 생각함'
최명희문학관 | 2019.06.29 | 추천 0 | 조회 1390
최명희문학관 2019.06.29 0 1390
80
(강원일보)우편물 대란 걱정
최명희문학관 | 2019.06.29 | 추천 0 | 조회 1230
최명희문학관 2019.06.29 0 1230
79
(김두규) 풍수론 따르지 않은 종택 공간 배치… 천왕봉 전경을 살렸다
최명희문학관 | 2019.06.29 | 추천 0 | 조회 1351
최명희문학관 2019.06.29 0 1351
78
최명희 선생님, 시, 그리고 샹송
최명희문학관 | 2019.05.27 | 추천 0 | 조회 1204
최명희문학관 2019.05.27 0 1204
77
황선열 박사 ‘우리 시대의 언어, 소통과 불통’
최명희문학관 | 2019.05.01 | 추천 0 | 조회 1386
최명희문학관 2019.05.01 0 1386
메뉴
error: 콘텐츠가 보호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