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들목

그리고 최명희

최명희 씨를 생각함

최명희씨를 생각하면 작가의 어떤 근원적인 고독감 같은 것이 느껴진다. 1993년 여름이었을 것이다. 중국 연길 서시장을 구경하고 있다가 중국인 옷으로 변장하고 커다란 취재 노트를 든 최명희씨를 우연히 만났다.

「혼불」의 주인공의 행로를 따라 이제 막 거기까지 왔는데 며칠 후엔 심양으로 들어갈 것이라고 했다. 그리고 웃으면서 연길 사람들이 한국인이라고 너무 바가지를 씌우는 바람에 그런 옷을 입었노라고 했다. 그날 저녁 김학철 선생 댁엘 들르기로 되어 있어 같이 갔는데 깐깐한 선생께서 모르는 사람을 데려왔다고 어찌나 통박을 주던지 민망해한 적이 있다. 그 후 서울에서 한 번 더 만났다. 한길사가 있던 신사동 어느 카페였는데 고저회와 함께 셋이서 이슥토록 맥주를 마신 것 같다. 밤이 늦어 방향이 같은 그와 함께 택시를 탔을 때였다. 도곡동 아파트가 가까워지자 그가 갑자기 내 손을 잡고 울먹였다.’이형, 요즈음 내가 한 달에 얼마로 사는지 알아? 삼만 원이야, 삼만 원……

동생들이 도와주겠다고 하는데 모두 거절했어. 내가 얼마나 힘든지 알어?’ 고향 친구랍시고 겨우 내 손을 잡고 통곡하는 그를 달래느라 나는 그날 치른 학생들의 기말고사 시험지를 몽땅 잃어버렸다. 그리고 그날 밤 홀로 돌아오면서 생각했다.
그가 얼마나 하기 힘든 얘기를 내게 했는지를. 그러자 그만 내 가슴도 마구 미어지기 시작했다. 나는 속으로 가만히 생각했다. ‘혼불’은 말하자면 그 하기 힘든 얘기의 긴 부분일 것이라고.

시집 ‘은빛 호각’ (이시형/창비) 중에서

▣ 작가 최명희와 소설 <혼불>을 떠올린 아름다운 분들의 애틋한 글이에요.

[전북일보 20181003]혼불 작가 최명희의 장문 편지 발견

작성자
최명희문학관
작성일
2018-10-03 16:43
조회
1606

출처: http://www.jjan.kr/news/articleView.html?idxno=2018816

 

 

 

1980년 등단시기, 김병종 교수에 보내김 교수, 남원 혼불문학관에 기증키로

 

“사과 냄새가 시고 향기롭게 그러나 서글프게 섞여 있는 시월의 햇발을 받고 앉아 이렇게 편지를 쓰고 있으니 새삼스럽게 여러가지가 고맙기만 합니다.”

 

<혼불>의 저자인 고 최명희 작가가 화가 김병종 교수에게 보낸 장문의 편지가 발견돼 관심을 모으고 있다.길이 1m 30㎝(폭 20㎝)에 이르는 이 편지는 마치 조선시대 규방 문학의 한 편린을 본 듯 한지에 또박또박 단아한 글씨를 세로형으로 썼다.

 

최 작가가 문단에 데뷔하던 39년 전 1980년 10월 10일에 화가에게 쓴 이 글에는 자신의 근황과 화가에 대한 일상적 안부뿐 아니라 단호하고 절절한 작가 정신의 결기까지 담겨져 있어 문학적 사료로서도 그 가치가 높을 것으로 보인다.

 

문장은 마치 혼불의 한 장(章)을 펼친 듯 소설적 분위기와 흡사하며, 오래된 서간뭉치들 속에서 작고시인 김영태와 섬진강 시인인 김용택, 동양사학자 민두기 선생, 철학자 도올 김용옥 선생 등의 편지들과 함께 발견됐다.

 

김 교수는 최명희 작가를 지난 1980년 1월 중앙일보에 신춘문예의 시상식장에서 처음 만나 인사를 나누었다고 한다. 그 해 신춘문예에 최 작가는 ‘쓰러지는 빛’을 주제로 단편소설 당선자였고, 김 교수는 ‘지붕 위에 오르기’라는 작품으로 희곡 분야 당선자였다.

 

김 교수는 당시 그림보다는 거의 연극에 빠져 보낸 시절이었다고 술회했다. 김 교수가 남원이 고향인 것을 안 최 작가가 남원의 사매면이 외가이며 여고생 때 방학이면 그 외가에 가서 글을 쓰곤 했다는 이야기를 했다는 것,

 

김 교수보다 6년 연상인 최 작가는 고향의 문단 선배로서의 종종 안부와 함께 집필의 정황까지도 소상히 전해주곤 했다고 한다.

 

김 교수는 “최 선생님은 너무도 아까운 나이에 세상을 떠나셨지만 그 육체적 삶의 연한과는 관계없이 문학적 삶은 생생하게 지속되고 있다고 생각한다”며 “다만 문학관 안의 콘텐츠들을 한 번씩 정비하고 이번과 같은 발굴 자료들을 바꿔가며 전시했으면 한다”고 말했다.

 

이어 “개인 의견이지만 문학관 안의 남원지방의 민속자료들은 장차 민속박물관에 이관하여 별실로 혼불민속자료관으로 독립시키고 현재의 문학 자료들과는 분리했으면 한다”고 의견을 피력했다.한편 김 교수가 이번에 발굴한 장문의 편지글은 곧 남원의 혼불문학관에 기증하게 된다.


 
전체 136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추천 조회
96
남원 서도역…기적소리 끊어진 驛…안타까운 이별이 서성인다
최명희문학관 | 2021.02.05 | 추천 0 | 조회 1218
최명희문학관 2021.02.05 0 1218
95
[전북일보] 기찻길 사이로 인연과 숙명의 ‘변주’
최명희문학관 | 2020.12.15 | 추천 0 | 조회 911
최명희문학관 2020.12.15 0 911
94
[경향신문] “인물로 읽는 현대 한국 정신사…숙제 마친 느낌”
최명희문학관 | 2020.11.04 | 추천 0 | 조회 1089
최명희문학관 2020.11.04 0 1089
93
[중잉일보] 달 빨아드리기
최명희문학관 | 2020.10.08 | 추천 0 | 조회 1198
최명희문학관 2020.10.08 0 1198
92
굿모닝 예향 명사 인터뷰로 돌아본 월간 통권 300호
최명희문학관 | 2020.09.07 | 추천 0 | 조회 1235
최명희문학관 2020.09.07 0 1235
91
[전재학 칼럼] 청년들이여, 그대에게 삶의 ‘혼불’은 무엇인가?
최명희문학관 | 2020.09.07 | 추천 0 | 조회 1126
최명희문학관 2020.09.07 0 1126
90
[이기상]우주 살림살이의 대원칙, ‘나눔’ ‘비움’ ‘섬김’
최명희문학관 | 2020.08.17 | 추천 0 | 조회 941
최명희문학관 2020.08.17 0 941
89
[오피니언뉴스] [주말엔 뭐하지?] 춘향제의 남원, 예술혼 가득한 명소 만난다
최명희문학관 | 2020.07.31 | 추천 0 | 조회 938
최명희문학관 2020.07.31 0 938
88
[중앙일보] 풍수지리 몰라도 감탄 연발···3대가 지킨 ‘혼불’ 속 명당
최명희문학관 | 2020.07.31 | 추천 0 | 조회 1050
최명희문학관 2020.07.31 0 1050
87
[중앙일보] 불볕더위도 쉬었다 갈 『혼불』 명당
최명희문학관 | 2020.07.31 | 추천 0 | 조회 987
최명희문학관 2020.07.31 0 987
메뉴
error: 콘텐츠가 보호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