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들목

그리고 최명희

최명희 씨를 생각함

최명희씨를 생각하면 작가의 어떤 근원적인 고독감 같은 것이 느껴진다. 1993년 여름이었을 것이다. 중국 연길 서시장을 구경하고 있다가 중국인 옷으로 변장하고 커다란 취재 노트를 든 최명희씨를 우연히 만났다.

「혼불」의 주인공의 행로를 따라 이제 막 거기까지 왔는데 며칠 후엔 심양으로 들어갈 것이라고 했다. 그리고 웃으면서 연길 사람들이 한국인이라고 너무 바가지를 씌우는 바람에 그런 옷을 입었노라고 했다. 그날 저녁 김학철 선생 댁엘 들르기로 되어 있어 같이 갔는데 깐깐한 선생께서 모르는 사람을 데려왔다고 어찌나 통박을 주던지 민망해한 적이 있다. 그 후 서울에서 한 번 더 만났다. 한길사가 있던 신사동 어느 카페였는데 고저회와 함께 셋이서 이슥토록 맥주를 마신 것 같다. 밤이 늦어 방향이 같은 그와 함께 택시를 탔을 때였다. 도곡동 아파트가 가까워지자 그가 갑자기 내 손을 잡고 울먹였다.’이형, 요즈음 내가 한 달에 얼마로 사는지 알아? 삼만 원이야, 삼만 원……

동생들이 도와주겠다고 하는데 모두 거절했어. 내가 얼마나 힘든지 알어?’ 고향 친구랍시고 겨우 내 손을 잡고 통곡하는 그를 달래느라 나는 그날 치른 학생들의 기말고사 시험지를 몽땅 잃어버렸다. 그리고 그날 밤 홀로 돌아오면서 생각했다.
그가 얼마나 하기 힘든 얘기를 내게 했는지를. 그러자 그만 내 가슴도 마구 미어지기 시작했다. 나는 속으로 가만히 생각했다. ‘혼불’은 말하자면 그 하기 힘든 얘기의 긴 부분일 것이라고.

시집 ‘은빛 호각’ (이시형/창비) 중에서

▣ 작가 최명희와 소설 <혼불>을 떠올린 아름다운 분들의 애틋한 글이에요.

[전라매일]전주의 꽃심 영원하리(강명수)

작성자
최명희문학관
작성일
2022-01-25 21:31
조회
599
출처: 전라매일 2022년 01월 06일

http://www.jlmaeil.com/default/index_view_page.php?part_idx=194&idx=220379

 

 




연화마을에서 건지산 입구에 들어서면 『혼불』의 작가 최명희 묘소를 만날 수 있다.

최명희 소설가는 1947년에 전주에서 태어나 1998년 향년 51세로 생을 마쳤다. 1980년 중앙일보 신춘문예에 ‘쓰러지는 빛’으로 등단했다. 1981년 ‘동아일보 창간 60주년 기념 장편소설 공모’에 <혼불> 제1부가 당선됐다. 그 이후로 1996년 12월에 전 5부 10권으로 한길사에서 출간했다. <혼불>은 최종 출간 당시 집필 기간 만 17년이 넘게 걸린 작가의 투혼을 바친 결과물이었다. 모국어의 바다를 이룬 <혼불> 10권이 내 책장에서도 출렁이고 있다.
왜 혼불일까? 어떤 생각으로 혼불을 썼을까? 그 답은 한 예로 드러난다. 작가는 글을 쓸 때 느낌을 복원하고자 3일간이나 공기를 노려보았다고 한다. 그래서 정령 같은 푸른빛이 도는 공기의 혼을 그려내게 됐다. 즉 사물을 어떻게 정서화하고 감각화 해서 하나의 살아있는 존재로 생생하게 느끼며 만날 수 있게 하느냐 하는 대상에 대한 세심한 관찰이었다.
많은 양의 한자 숙어와 아름다운 우리 모국어들, 풍속, 역사, 토속신앙, 종교, 역학 등의 자료를 수집하고 정리해서, 대상의 느낌을 언어로 표현하기 위한 노력과 고통이 얼마였을까.
조선시대 남원지역 양반가의 몰락과정과 청암부인- 율촌댁- 효원의 종가 며느리들 애환사를 축으로 일제강점기의 시대적 상황을 그렸다. 종가의 장손이기를 거부하는 강모. 사촌 간인 강모와 강실의 비극적인 사랑. 강실, 효원, 오유끼 세 여자 사이에서 방황하는 강모. 일본 황실에서는 사촌끼리 결혼을 하지만 조선에서는 치욕 거리니, 나라마다 문화적 모순이 얼마나 큰 것인지.
보얀 얼굴, 고운 탯거리, 귀엽고 어여쁜 자태를 가진 강실, 강모와의 서글픈 사랑으로 소설 말미에서 강실은 실종한다. 친정 대실에서 매안 이씨의 종손부로 들어와 남편 강모의 사랑을 받지 못하고 젊은 밤에 푸른 등불을 홀로 밝히는 외로운 여자 효원. 일본 기생으로 강모의 첩으로 살지만 결국 강모에게 천대받는 슬픈 여인 오유끼. 강직한 성품을 지닌 강모의 아버지. 대충 주요 인물들이다.
그리고 역사를 바라보는 내 시각에 문제가 생겼다. 내가 알고 있는 역사가 얼마나 허구 일 수 있는지. 백제의 삼천궁녀 이야기. 의자왕의 패덕. 이것은 승자의 왜곡된 역사기록이었음을.
일연의 삼국유사에 기록된 우리 역사의 진실을 다른 각도로 다룬 혼불. 나는 역사의 진실이 어디에 있는지 이 책을 읽으면서 회의를 느꼈다. 특히 우리 고장 전주에 대한 자부심을 더욱 느끼게 됐고 마한, 백제, 후백제의 자손임이 너무도 자랑스럽다.
정당한 힘이 아닌 남의 나라 힘을 편법으로 빌리어 삼국통일을 한 김유신과 김춘추. 삼국통일 말 자체가 어불성설이다. 승자의 왜곡된 역사의 기록 앞에서 과연 역사의 진실이 무엇인지? 내가 알고 있는 역사란 것이 얼마나 진실 된 것인지 자꾸만 의문이 일기 시작했다. 고려는 후백제를 하루살이나 개미 한 마리처럼 문질러버렸다. 후백제를 역사 속의 야유거리로 전락시켜버렸다. 태조 왕건의 훈요십조 8항에 노골적으로 전주 완산 땅을 증오하는 글을 남겼다 한다.
혼불을 읽으면서 역사, 불교 세계, 기독교 세계, 무엇보다 내 고장 전주가 얼마나 유서 깊은 고을인지 더욱더 자긍심을 가지게 됐다. 아름다운 모국어의 대향연 혼불, 모국어의 축제 혼불, 세계에서 가장 과학적이고 발음하기 좋은 한글을 이처럼 다채로운 활자꽃으로 승화시킨 작가님의 혼불. 삶과 죽음을 성찰하는 건지산 최명희 작가의 묘소는 전주의 꽃심으로 영원하리라.

/강명수. 시인, 미당문학 사무국장
전체 136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추천 조회
106
[걷고 싶은 길] 내 마음속으로의 여행…임실 섬진강 길
최명희문학관 | 2022.06.11 | 추천 0 | 조회 446
최명희문학관 2022.06.11 0 446
105
[문화저널21]세계 속에 한국의 '혼불' 지피는 작곡가 임준희
최명희문학관 | 2022.04.06 | 추천 0 | 조회 545
최명희문학관 2022.04.06 0 545
104
[전라매일]전주의 꽃심 영원하리(강명수)
최명희문학관 | 2022.01.25 | 추천 0 | 조회 599
최명희문학관 2022.01.25 0 599
103
[식품저널] 화담산책 고향 말이 그립다
최명희문학관 | 2022.01.25 | 추천 0 | 조회 712
최명희문학관 2022.01.25 0 712
102
[김경한의 세상이야기] 남원 서도역에서 타오르는 '혼불'
최명희문학관 | 2021.09.25 | 추천 0 | 조회 698
최명희문학관 2021.09.25 0 698
101
(김정길)혼불의 요람 노적봉
최명희문학관 | 2021.07.01 | 추천 0 | 조회 767
최명희문학관 2021.07.01 0 767
100
[매일경제]화가·서예가 만든 책 표지 100년의 기록
최명희문학관 | 2021.05.25 | 추천 0 | 조회 2908
최명희문학관 2021.05.25 0 2908
99
[전북중앙] 봄이 가장 어울리는 도시 남원의 春香을 따라가다
최명희문학관 | 2021.04.02 | 추천 0 | 조회 3941
최명희문학관 2021.04.02 0 3941
98
[전북중앙]'혼불 문학의 길' 따라 역사를 경험하다
최명희문학관 | 2021.03.23 | 추천 0 | 조회 6102
최명희문학관 2021.03.23 0 6102
97
[시빅뉴스] 박창희 칼럼, 매축지마을 종의 무게를 아느냐
최명희문학관 | 2021.03.02 | 추천 0 | 조회 7000
최명희문학관 2021.03.02 0 7000
메뉴
error: 콘텐츠가 보호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