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들목

그리고 최명희

최명희 씨를 생각함

최명희씨를 생각하면 작가의 어떤 근원적인 고독감 같은 것이 느껴진다. 1993년 여름이었을 것이다. 중국 연길 서시장을 구경하고 있다가 중국인 옷으로 변장하고 커다란 취재 노트를 든 최명희씨를 우연히 만났다.

「혼불」의 주인공의 행로를 따라 이제 막 거기까지 왔는데 며칠 후엔 심양으로 들어갈 것이라고 했다. 그리고 웃으면서 연길 사람들이 한국인이라고 너무 바가지를 씌우는 바람에 그런 옷을 입었노라고 했다. 그날 저녁 김학철 선생 댁엘 들르기로 되어 있어 같이 갔는데 깐깐한 선생께서 모르는 사람을 데려왔다고 어찌나 통박을 주던지 민망해한 적이 있다. 그 후 서울에서 한 번 더 만났다. 한길사가 있던 신사동 어느 카페였는데 고저회와 함께 셋이서 이슥토록 맥주를 마신 것 같다. 밤이 늦어 방향이 같은 그와 함께 택시를 탔을 때였다. 도곡동 아파트가 가까워지자 그가 갑자기 내 손을 잡고 울먹였다.’이형, 요즈음 내가 한 달에 얼마로 사는지 알아? 삼만 원이야, 삼만 원……

동생들이 도와주겠다고 하는데 모두 거절했어. 내가 얼마나 힘든지 알어?’ 고향 친구랍시고 겨우 내 손을 잡고 통곡하는 그를 달래느라 나는 그날 치른 학생들의 기말고사 시험지를 몽땅 잃어버렸다. 그리고 그날 밤 홀로 돌아오면서 생각했다.
그가 얼마나 하기 힘든 얘기를 내게 했는지를. 그러자 그만 내 가슴도 마구 미어지기 시작했다. 나는 속으로 가만히 생각했다. ‘혼불’은 말하자면 그 하기 힘든 얘기의 긴 부분일 것이라고.

시집 ‘은빛 호각’ (이시형/창비) 중에서

▣ 작가 최명희와 소설 <혼불>을 떠올린 아름다운 분들의 애틋한 글이에요.

(김두규) 풍수론 따르지 않은 종택 공간 배치… 천왕봉 전경을 살렸다

작성자
최명희문학관
작성일
2019-06-29 19:27
조회
1348

출처: 조선일보 2019년 6월 30일자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9/06/28/2019062802192.html?utm_source=daum&utm_medium=original&utm_campaign=news


 

   


[아무튼, 주말- 김두규의 國運風水] 소설 '혼불'의 종택과 프리츠커 건축상




















최명희 소설 '혼불'에 등장하는 종택. 대부분의 고택이 마을 뒷산 중심을 기대고 들어선 것에 반해 이 종택은 저 멀리 가장 빼어난 산을 중심축으로 삼아 터 잡기가 이루어졌다. 최명희 소설 '혼불'에 등장하는 종택. 대부분의 고택이 마을 뒷산 중심을 기대고 들어선 것에 반해 이 종택은 저 멀리 가장 빼어난 산을 중심축으로 삼아 터 잡기가 이루어졌다. / 김두규 제공




 

 

최명희 선생의 소설 '혼불' 무대인 전북 남원시 사매면 노봉마을에 '혼불문학관'이 있다. 마을은 '혼불'에 등장하는 장면들을 재현한다. '종택(宗宅)' 표지판도 있다. '매안 이씨' 종부 3대의 이야기가 펼쳐지는 작품의 중심 무대이다. 지금도 종택 솟을대문이 작품 묘사처럼 우뚝 솟아 있다. 최명희 선생은 자신의 종택(삭녕최씨)을 '매안이씨' 종택으로 바꾸어 이야기를 펼쳤다.

20년 전 처음 이곳을 찾았을 때 일이다. 터와 공간 배치가 필자가 알던 풍수 이론과 맞지 않았다. 안채의 중심축을 대개는 뒷산[主山]에 맞추기 마련인데 이 경우는 뒷산을 한참 비켜나 있다. 또 종택은 마을 한가운데 있기 마련인데 최씨 종택은 마을 맨 뒤에 있었다. 그렇다고 터가 잘못되었다는 생각은 하지 않았다. 그 사연을 알고자 가끔씩 들렀다.

어느 해인가 저녁 무렵 종택 대문에서 마을을 내려다보던 때였다. 문득 저 멀리 사매면을 병풍 친 웅장한 산과 그 한가운데 뾰족한 봉우리(천왕봉)가 눈에 들어왔다. 저물녘 산의 실루엣이 선명해졌기 때문이다. 사방을 압도하는 랜드마크였다. 그간의 의문점이 풀렸다.

풍수 이론에 '좌향론(坐向論)'이란 게 있다. 좌(坐)는 건물이나 무덤이 등을 대고 있는 뒤쪽을 말하고, 향(向)은 건물이나 무덤이 마주하는 앞쪽을 말한다. 따라서 좌와 향은 서로 반대 방향을 의미한다. 좌향은 단순한 방향 표기가 아닌 '의미론'이다. 좌는 뒤쪽·과거·집안내력 등을 상징하는 반면, 향은 앞쪽·미래 혹은 그 집안이 지향하는 세계관을 말한다. 고려와 달리 묘지 풍수에 매몰된 조선왕조의 풍수는 주로 좌라는 덫에 빠졌다. 그런데 삭녕최씨 종택은 그 함정에 빠지지 않고 터를 살짝 뒤로 물려 일대의 랜드마크가 되는 천왕봉을 마주 보게 하였다. 주변의 지형지세를 살펴 장점(천왕봉)을 살리며 터잡기를 하였다. 좌보다는 향을 택한 것이다. 이곳 입향조(마을에 처음 정착한 조상)가 후손들에게 주고자 하는 메시지였다.

2016년 일본 오사카에서 건축가 안도 다다오 선생과 인터뷰할 때의 일이다. 선생은 "주변 지형지세를 자세히 파악하는 것, 즉 터를 읽는 게 건축"이라고 하였다. 인터뷰 마지막 질문은 "일본 고유의 터부(금기)도 고려하십니까?"였다. "귀문방(鬼門方)"이라 답하였다. 귀문방은 북동쪽과 남서쪽을 말하는데 이곳에 주요 시설(안방·부엌 등)을 두는 것을 꺼린다. 중국의 프리츠커 수상자 왕수(王澍)는 중국 전통 산수화와 인문정신을 자신의 출발점으로 삼았다.

2010년부터 2019년까지 일본인 4명, 중국인 1명, 인도인 1명이 프리츠커 건축상을 받았다. 세계 건축계를 아시아가 휩쓸고 있다. 수상 이유에 '주변 환경·전통·지역성·역사성·자연과의 조화'란 단어가 공통적으로 등장한다. 저마다의 전통과 자연에서 시작하여 보편적 세계로 나아가야 함을 말한다.

최근 국토부가 '프리츠커 프로젝트'를 발표하였다. 프리츠커 수상을 위해 젊은 건축 학도들을 해외로 파견한다는 내용이다. 그러자 건축계가 불만이다. 정작 문제는 정부의 많은 규제와 지원 부실이라는 것이다. 안도 다다오와 왕수가 국가 지원 덕에 프리츠커상을 받은 것은 아니었다. 그들은 마이너

였다. 그 땅에 살면서 그 땅을 스쳐가는 바람과 물 그리고 빛이 왜 그렇게 만들어지는지를 꼼꼼히 읽어냈다. 그래서 사람들이 그 위에서 어떻게 살아가야 할지 보여주려는 노력의 결과물이 건축이었다.

'혼불'의 종택은 그것을 말하고 있다. '혼불문학관'은 늘 방문객이 북적거린다. 그러나 근처에 있는 종택을 찾는 이는 별로 없다. 건축가조차 우리 것을 찾지 않는다.

 

전체 136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추천 조회
106
[걷고 싶은 길] 내 마음속으로의 여행…임실 섬진강 길
최명희문학관 | 2022.06.11 | 추천 0 | 조회 448
최명희문학관 2022.06.11 0 448
105
[문화저널21]세계 속에 한국의 '혼불' 지피는 작곡가 임준희
최명희문학관 | 2022.04.06 | 추천 0 | 조회 546
최명희문학관 2022.04.06 0 546
104
[전라매일]전주의 꽃심 영원하리(강명수)
최명희문학관 | 2022.01.25 | 추천 0 | 조회 601
최명희문학관 2022.01.25 0 601
103
[식품저널] 화담산책 고향 말이 그립다
최명희문학관 | 2022.01.25 | 추천 0 | 조회 715
최명희문학관 2022.01.25 0 715
102
[김경한의 세상이야기] 남원 서도역에서 타오르는 '혼불'
최명희문학관 | 2021.09.25 | 추천 0 | 조회 701
최명희문학관 2021.09.25 0 701
101
(김정길)혼불의 요람 노적봉
최명희문학관 | 2021.07.01 | 추천 0 | 조회 768
최명희문학관 2021.07.01 0 768
100
[매일경제]화가·서예가 만든 책 표지 100년의 기록
최명희문학관 | 2021.05.25 | 추천 0 | 조회 2910
최명희문학관 2021.05.25 0 2910
99
[전북중앙] 봄이 가장 어울리는 도시 남원의 春香을 따라가다
최명희문학관 | 2021.04.02 | 추천 0 | 조회 3943
최명희문학관 2021.04.02 0 3943
98
[전북중앙]'혼불 문학의 길' 따라 역사를 경험하다
최명희문학관 | 2021.03.23 | 추천 0 | 조회 6104
최명희문학관 2021.03.23 0 6104
97
[시빅뉴스] 박창희 칼럼, 매축지마을 종의 무게를 아느냐
최명희문학관 | 2021.03.02 | 추천 0 | 조회 7002
최명희문학관 2021.03.02 0 7002
메뉴
error: 콘텐츠가 보호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