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들목

그리고 최명희

최명희 씨를 생각함

최명희씨를 생각하면 작가의 어떤 근원적인 고독감 같은 것이 느껴진다. 1993년 여름이었을 것이다. 중국 연길 서시장을 구경하고 있다가 중국인 옷으로 변장하고 커다란 취재 노트를 든 최명희씨를 우연히 만났다.

「혼불」의 주인공의 행로를 따라 이제 막 거기까지 왔는데 며칠 후엔 심양으로 들어갈 것이라고 했다. 그리고 웃으면서 연길 사람들이 한국인이라고 너무 바가지를 씌우는 바람에 그런 옷을 입었노라고 했다. 그날 저녁 김학철 선생 댁엘 들르기로 되어 있어 같이 갔는데 깐깐한 선생께서 모르는 사람을 데려왔다고 어찌나 통박을 주던지 민망해한 적이 있다. 그 후 서울에서 한 번 더 만났다. 한길사가 있던 신사동 어느 카페였는데 고저회와 함께 셋이서 이슥토록 맥주를 마신 것 같다. 밤이 늦어 방향이 같은 그와 함께 택시를 탔을 때였다. 도곡동 아파트가 가까워지자 그가 갑자기 내 손을 잡고 울먹였다.’이형, 요즈음 내가 한 달에 얼마로 사는지 알아? 삼만 원이야, 삼만 원……

동생들이 도와주겠다고 하는데 모두 거절했어. 내가 얼마나 힘든지 알어?’ 고향 친구랍시고 겨우 내 손을 잡고 통곡하는 그를 달래느라 나는 그날 치른 학생들의 기말고사 시험지를 몽땅 잃어버렸다. 그리고 그날 밤 홀로 돌아오면서 생각했다.
그가 얼마나 하기 힘든 얘기를 내게 했는지를. 그러자 그만 내 가슴도 마구 미어지기 시작했다. 나는 속으로 가만히 생각했다. ‘혼불’은 말하자면 그 하기 힘든 얘기의 긴 부분일 것이라고.

시집 ‘은빛 호각’ (이시형/창비) 중에서

▣ 작가 최명희와 소설 <혼불>을 떠올린 아름다운 분들의 애틋한 글이에요.

[경향신문] “인물로 읽는 현대 한국 정신사…숙제 마친 느낌”

작성자
최명희문학관
작성일
2020-11-04 17:35
조회
1089
출처: 경향신문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2011022149015&code=960205 



우리 시대 현인 16명과의 만남…출판인 김언호 ‘그해 봄날’ 출간


김언호 한길사 대표가 <그해 봄날에서 만난 사회운동가 강원용, 김대중 전 대통령, 사회학자 김진균, 언론인 리영희, 작가 박태순, 언론인 송건호, 신영복 전 성공회대 교수, 민중신학자 안병무, 작곡가 윤이상, 인문주의자 이광주, 아동문학가 이오덕, 민족사학자 이우성, 역사가 이이화, 작가 최명희, 역사지리학자 최영준, 사상가 함석헌(윗줄 왼쪽부터). 한길사 제공" style="margin: 0px; padding: 0px; border: none; outline: none 0px; vertical-align: top; background: none 0px 0px repeat scroll transparent; display: block; max-width: 710px" />

김언호 한길사 대표가 <그해 봄날>에서 만난 사회운동가 강원용, 김대중 전 대통령, 사회학자 김진균, 언론인 리영희, 작가 박태순, 언론인 송건호, 신영복 전 성공회대 교수, 민중신학자 안병무, 작곡가 윤이상, 인문주의자 이광주, 아동문학가 이오덕, 민족사학자 이우성, 역사가 이이화, 작가 최명희, 역사지리학자 최영준, 사상가 함석헌(윗줄 왼쪽부터). 한길사 제공

1980년 ‘서울의 봄’ 언저리에서
희망 나눴던 당대의 지식인들
“한국 사회를 어떻게 일으킬지
열정 가득했던 그들 생각 전달”

“우리 시대의 현인들, 그들의 삶과 사상은 우리의 빛나는 정신유산이다. 이 빛나는 정신유산은 공유되어야 한다. 민족공동체가 지향하고 구현해야 할 지혜와 가치이기 때문이다. 고단한 우리 현대사의 전개과정에서 창출된 이론과 사상이기 때문이다. 오늘을 사는 우리들에게 요구되는 도덕이고 윤리이기 때문이다.”

<그해 봄날>은 출판인 김언호 한길사 대표(75·사진)가 1980년대 역사의 최전선에서 정신적 지주가 되어준 ‘현인(賢人)’ 16명의 생각과 실천을 담아낸 책이다. 말하고 쓰는 것은 물론 생각하는 것조차 용인되지 않던 엄혹한 시절, 이들의 뜨거운 말과 행동은 시민들의 생각을 밝혀주는 빛이자 희망이었다. 현인들과 교유하고 책을 만들어온 김 대표가 증언과 육성을 글로 전한다. 경향신문 신년기획으로 지난 1월부터 7월까지 연재한 ‘김언호가 만난 시대정신의 현인들’을 책으로 엮었다. 김 대표는 지난달 26일 전화 인터뷰에서 “한 시대의 역사를 만든 사람들, 인물로 읽는 현대 한국의 정신사를 정리했다”며 “묵은 숙제를 해낸 느낌”이라고 말했다.

<그해 봄날>은 1980년 ‘서울의 봄’을 가리킨다. 동아일보에서 ‘자유 언론’ 투쟁을 벌이다 해직되고 1976년 출판사를 차린 김 대표는 그 시절 책 속 인물들과 처음 인연을 맺었다.

“당시 새로운 민주주의를 하겠다는 희망에 벅찼는데 신군부가 들어서면서 좌절됐죠. 그 짧은 봄의 언저리에 여러 선생님들과 만났고, 함께 봄의 희망을 나눴어요. 새로운 미래를 이야기하고 설계했던 인연을 떠올렸습니다.”

김 대표의 44년 책 만들기는 현인들과 함께한 세월이기도 했다. 함석헌·윤이상·송건호·안병무·리영희·이이화 등 그가 책을 펴내며 직접 보고 겪은 당대 한국 사회 지식인들 이야기를 풀어냈다. “저간 써온 글도 있었지만, 열달 동안 꼬박 매달렸어요. 대단한 분들의 뜻을 왜곡시키면 안 되잖아요. 해설을 하는 것이 아니라 그분들의 육성이나 손수 쓴 글을 전하려 애썼습니다.”

책의 첫머리는 ‘씨알의 소리’를 전한 사상가 함석헌이다. “혁명은 민중의 것이다. 민중만이 혁명을 할 수 있다. 군인은 혁명 못한다. 어떤 혁명도 전적인 찬성과 지지와 참가를 받지 않고는 혁명이 아니다. 민중을 내놓고 꾸미는 혁명은 참혁명이 아니다.”(함석헌, 1961년 ‘사상계’ 7월호) 함석헌이 5·16쿠데타를 통렬히 비판한 글에 감명받았던 고등학생 김언호는, 1980년 <함석헌 전집> 작업에 들어가 1988년까지 20권을 펴냈다. 서울 쌍문동 집에서 만난 함석헌은 꽃잎을 따주며 향기를 맡아보라고 권하던 “꽃을 가꾸는 소년 같은 할아버지”였다고 김 대표는 회상한다. “함석헌 선생을 소년시절 처음 알고 고등학교 때 사상계 글을 읽었고, 대학 와서 강연을 따라다니다 책까지 냈으니 60년 인연이지요. 선생님 책만 70권 정도 낸 거 같아요. 선생님들 책을 펼치면 그분들 흔적이 남아있고, 직접 만나뵌 강렬한 이미지도 떠올랐어요. 가슴으로 암기할 정도입니다.”

김 대표는 책 출간을 앞두고 작곡가 윤이상의 <교향곡 5번>도 다시 꺼내 들었다. 자택에서 손님을 맞으며 판소리를 듣고 있던 윤이상을 떠올렸다고 한다. 그의 음악에서 마주치게 되는 한국 전통음악의 뿌리를 더듬었다. “인간과 인류에의 신뢰가 바로 평화이고 이 평화는 동양사상의 뿌리라고 할 수 있습니다. 나는 교향곡을 다섯 개 썼는데 <교향곡 제5번>을 사람들이 ‘평화의 교향곡’이라고 부르고 있지요. 나의 작품들에서 시종 흐르는 것은 정의와 평화정신입니다. 가난한 조국에서 태어나 한 예술가로서뿐 아니라 한 인간으로서 너무나 당연한 일입니다.”(1988년 10월10일 윤이상 인터뷰)

이번 책에는 담지 못한 아쉬움이 하나 있다. 지난달 4일 세상을 떠난 여성학자 이이효재 이화여대 명예교수다. “책 제작에 들어갈 즈음 이이효재 선생님이 돌아가셨어요. 이 선생님은 1980년대 아파트 옆 동에 살던 이웃이기도 했습니다. 책에는 돌아가신 분들만 정리하다보니 담지 못했습니다. 연구와 교육자, 민주주의 운동가와 여성운동가로서 이 선생님 이야기도 다음 기회에 기록하고 싶습니다.”

김 대표는 기자 출신답게 신문 연재 동안 마감을 ‘칼같이’ 지켰다. 책에는 연재에 담지 못했던 한 인물(최영준)이 추가됐고, 각회 분량은 3배 정도 늘었다. 백은숙 한길사 편집부 주간이 직접 책을 맡아 공을 많이 들였다. 한국 현대 지성사의 궤적을 보여주는 책이라고 할 만하다.


“1980년대는 위대한 각성의 시대였습니다. 다르게 말하면 책을 만들고 책 읽는 시대였습니다. 그 시기 중요한 일에는 모두 책이 함께했습니다. 오늘 한국 사회를 어떻게 새롭게 일으킬 수 있을지, 순수한 열정으로 가득했던 ‘그해 봄날’ 현인들의 생각을 전하고 싶었습니다. 동시대인들이 다시 손에 책을 들어야 합니다.

전체 136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추천 조회
116
(이영아) 하늘 나라로 보내는 편지 /영원히 간직할 내마음의 혼불
최명희문학관 | 2022.12.24 | 추천 0 | 조회 298
최명희문학관 2022.12.24 0 298
115
(유지철) 언어는 정신의 지문
최명희문학관 | 2022.12.24 | 추천 0 | 조회 363
최명희문학관 2022.12.24 0 363
114
(김민철) ‘혼불’ 강실이가 익모초 보고 울컥한 이유
최명희문학관 | 2022.08.23 | 추천 0 | 조회 349
최명희문학관 2022.08.23 0 349
113
(장창영)최명희문학관이 있어 전주가 행복한 이유
최명희문학관 | 2022.07.05 | 추천 0 | 조회 470
최명희문학관 2022.07.05 0 470
112
(송가영)문학인과 언론인의 ‘경계인’
최명희문학관 | 2022.06.22 | 추천 0 | 조회 782
최명희문학관 2022.06.22 0 782
111
(박윤미)개구리 이야기
최명희문학관 | 2022.06.22 | 추천 0 | 조회 421
최명희문학관 2022.06.22 0 421
110
(김두규) 생거부안(生居扶安)과 사거순창(死居淳昌)
최명희문학관 | 2022.06.11 | 추천 0 | 조회 567
최명희문학관 2022.06.11 0 567
109
(김두규) 관광의 고장 전북만들기와 풍수
최명희문학관 | 2022.06.11 | 추천 0 | 조회 512
최명희문학관 2022.06.11 0 512
108
(김두규) ‘작은 서울[小京]’ 남원과 천추락(千秋樂)
최명희문학관 | 2022.06.11 | 추천 0 | 조회 512
최명희문학관 2022.06.11 0 512
107
(김두규) 전북의 8대(八大) 명당
최명희문학관 | 2022.06.11 | 추천 0 | 조회 746
최명희문학관 2022.06.11 0 746
메뉴
error: 콘텐츠가 보호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