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들목

그리고 최명희

최명희 씨를 생각함

최명희씨를 생각하면 작가의 어떤 근원적인 고독감 같은 것이 느껴진다. 1993년 여름이었을 것이다. 중국 연길 서시장을 구경하고 있다가 중국인 옷으로 변장하고 커다란 취재 노트를 든 최명희씨를 우연히 만났다.

「혼불」의 주인공의 행로를 따라 이제 막 거기까지 왔는데 며칠 후엔 심양으로 들어갈 것이라고 했다. 그리고 웃으면서 연길 사람들이 한국인이라고 너무 바가지를 씌우는 바람에 그런 옷을 입었노라고 했다. 그날 저녁 김학철 선생 댁엘 들르기로 되어 있어 같이 갔는데 깐깐한 선생께서 모르는 사람을 데려왔다고 어찌나 통박을 주던지 민망해한 적이 있다. 그 후 서울에서 한 번 더 만났다. 한길사가 있던 신사동 어느 카페였는데 고저회와 함께 셋이서 이슥토록 맥주를 마신 것 같다. 밤이 늦어 방향이 같은 그와 함께 택시를 탔을 때였다. 도곡동 아파트가 가까워지자 그가 갑자기 내 손을 잡고 울먹였다.’이형, 요즈음 내가 한 달에 얼마로 사는지 알아? 삼만 원이야, 삼만 원……

동생들이 도와주겠다고 하는데 모두 거절했어. 내가 얼마나 힘든지 알어?’ 고향 친구랍시고 겨우 내 손을 잡고 통곡하는 그를 달래느라 나는 그날 치른 학생들의 기말고사 시험지를 몽땅 잃어버렸다. 그리고 그날 밤 홀로 돌아오면서 생각했다.
그가 얼마나 하기 힘든 얘기를 내게 했는지를. 그러자 그만 내 가슴도 마구 미어지기 시작했다. 나는 속으로 가만히 생각했다. ‘혼불’은 말하자면 그 하기 힘든 얘기의 긴 부분일 것이라고.

시집 ‘은빛 호각’ (이시형/창비) 중에서

▣ 작가 최명희와 소설 <혼불>을 떠올린 아름다운 분들의 애틋한 글이에요.

(김용재) 새해 인사, ‘손글씨’로 마음을 담다(전북일보 2022년 12월 28일 자)

작성자
최명희문학관
작성일
2022-12-27 23:21
조회
261
출처1: http://www.jjan.kr/article/20221226580394

출처2: 전북일보 2022년 12월 28일 자

굴쓴이: 전주교대 김용재 교수

한 해가 간다. 부모님이나 은사, 지인들에게 그동안의 고마움을 전하는 때이다. 새해 인사를 주고받는 몇 마디의 언어가 감동으로 다가온다. 상대방의 안부를 물으며 자신의 정중한 뜻을 전하는 글귀에서 우리는 상대의 마음에 공감하며 정성의 아름다움을 느낀다. 연말연시를 맞아 쏟아지는 인사말 홍수가 카톡이나 밴드, 문자 메시지, 이-메일을 통해 넘쳐난다.

연하장이나 편지에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입력되는 ‘폰트 언어’가 아닌 ‘손글씨’를 본다면 어떠할까. 자신의 진솔한 마음을 전하는 데에는 속도의 아이콘인 컴퓨터 글보다 영혼이 깃든 손글씨가 제격이다. 글쓰기의 수단이 펜에서 컴퓨터 자판으로 이양한지 오래이다. 시인 하재봉의 말대로 글을 쓰는 것이 아니라 글을 ‘치는’ 시대이다. ‘터치 스크린’시대, ‘디지털 노마드’ 세상에서 손글씨는 번거롭다고 외면 받고 있다.

컴퓨터 글쓰기는 편집과 교정의 편리성으로 인해 일반화되었다. 나의 정신을 손으로 옮겨 자판을 두드리는 행위가 손으로 글을 쓰는 일을 대신하고 있다. 하지만, 글쓰기 완성의 속도와 꼭 비례하지 않는 것 같다. 쓰기의 막힘이나 머뭇거림은 손으로 글을 쓰는 것과 별반 다름이 없다. 나는 컴퓨터로 글을 쓸 때, 모니터에서 깜박이는 커서와 힘겨루기 하는 것 같은 느낌이 들 때도 있다.

옛 선비들은 글씨에 그 사람의 정신과 혼이 깃들어있다고 생각했다. 작가들의 글쓰기가 연필이나 펜에서 컴퓨터 글쓰기로 옮겨 갔지만, 육필의 힘을 믿는 작가도 많다. “연필로 쓰면, 내 몸이 글을 밀고 나가는 느낌이 든다.” 작가 김훈의 고백이다. 원고지에 한 자 한 자 눌러 쓰는 손글씨는 그의 말대로 ‘아날로그적 기쁨’인지도 모른다. ‘손가락으로 바위를 뚫어새기는’ 마음으로 한 자 한 자 만년필로 눌러 써서 작품을 완성해간 <혼불>의 작가 최명희 선생의 의지도 되새겨볼 일이다.

디지털 시대에도 손글씨를 버려서는 안 된다. 초등학교 1학년 국어교과서 첫 단원의 이름은 ‘바른 자세로 읽고 쓰기’이다. 아무리 아이패드 학습 시스템이 미래교육의 한 방식이라고 강조해도 그 기본은 바르게 앉아 바르게 글을 쓰는 일이다. 아이들에게 글씨만 보여주는 경우보다 직접 써보게 한 경우에 뇌가 해당 단어에 훨씬 활발하게 반응한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직접 손으로 필기를 하며 수업에 참여해야 학습효과가 배가된다고 한다.

매년 1월 23일을 ‘손글씨 쓰기의 날’로 정한 사례도 있다. 미국에서 제정한 이 날은 ‘독립선언서’에 최초로 서명한 존 핸콕의 생일이다. 제정에 앞선 이들은 “현대인들은 빠르고 편리한 것에 익숙해지면서, 정작 인간적인 숨결이 배어나오는 손글씨가 주는 감성적 소통의 중요성을 잊고 산다”고 경고하고 있다. 손글씨의 생활 문화적 가치를 되새길 때이다. 연하장이나 편지글을 쓸 때 컴퓨터로 작성하는 것이 편리하다고 하더라도 가끔은 손글씨로, 또는 보내는 이에 자필 서명이라도 정성껏 써서 보내면 좋겠다.

로맨틱 영화의 고전으로 알려진 <러브 액츄얼리>에서 남자 주인공이 스케치북에 크게 쓴 손글씨로 사랑을 고백하는 장면이 오랫동안 잔상으로 남는 이유는 무엇일까. “니가 그리운 날에/ 편지를 쓴다/ 내 추억을 담아/ 내 기억을 담아/ 너에게 보낸다--(중략)--내 작은 손글씨로/ 니가 그리운 날에 편지를 쓴다/ 쓰고 또 쓰고 쓰고 쓰고/널 그리워하며/ 편지 속에 담는다.”(신세미의 ‘손글씨’) 오늘따라 대중가요가 새삼 감동으로 다가온다.

/김용재 전주교대 교수
전체 136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추천 조회
126
(이길재)[고장말탐험] 참 이뿌죠잉!
최명희문학관 | 2023.02.09 | 추천 0 | 조회 327
최명희문학관 2023.02.09 0 327
125
(이길재)[고장말] 싸게 가더라고!
최명희문학관 | 2023.02.09 | 추천 0 | 조회 247
최명희문학관 2023.02.09 0 247
124
(이길재)[고장말] 억수로 가찹데이!
최명희문학관 | 2023.02.09 | 추천 0 | 조회 212
최명희문학관 2023.02.09 0 212
123
(이길재)[고장말] 집이 갔슴둥?
최명희문학관 | 2023.02.09 | 추천 0 | 조회 197
최명희문학관 2023.02.09 0 197
122
(이길재)[고장말] 밥 묵고 혀!
최명희문학관 | 2023.02.09 | 추천 0 | 조회 155
최명희문학관 2023.02.09 0 155
121
(이길재)[고장말] 너한질라
최명희문학관 | 2023.02.09 | 추천 0 | 조회 177
최명희문학관 2023.02.09 0 177
120
(이길재)[고장말] 대체나 그렇네 잉!
최명희문학관 | 2023.02.09 | 추천 0 | 조회 156
최명희문학관 2023.02.09 0 156
119
(이길재)[고장말] 무단시 왜 그리 쌓소!
최명희문학관 | 2023.02.09 | 추천 0 | 조회 180
최명희문학관 2023.02.09 0 180
118
(박만식) 시 <혼불 만년필을 보다>
최명희문학관 | 2023.01.12 | 추천 0 | 조회 361
최명희문학관 2023.01.12 0 361
117
(김용재) 새해 인사, ‘손글씨’로 마음을 담다(전북일보 2022년 12월 28일 자)
최명희문학관 | 2022.12.27 | 추천 0 | 조회 261
최명희문학관 2022.12.27 0 261
메뉴
error: 콘텐츠가 보호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