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들목

그리고 최명희

최명희 씨를 생각함

최명희씨를 생각하면 작가의 어떤 근원적인 고독감 같은 것이 느껴진다. 1993년 여름이었을 것이다. 중국 연길 서시장을 구경하고 있다가 중국인 옷으로 변장하고 커다란 취재 노트를 든 최명희씨를 우연히 만났다.

「혼불」의 주인공의 행로를 따라 이제 막 거기까지 왔는데 며칠 후엔 심양으로 들어갈 것이라고 했다. 그리고 웃으면서 연길 사람들이 한국인이라고 너무 바가지를 씌우는 바람에 그런 옷을 입었노라고 했다. 그날 저녁 김학철 선생 댁엘 들르기로 되어 있어 같이 갔는데 깐깐한 선생께서 모르는 사람을 데려왔다고 어찌나 통박을 주던지 민망해한 적이 있다. 그 후 서울에서 한 번 더 만났다. 한길사가 있던 신사동 어느 카페였는데 고저회와 함께 셋이서 이슥토록 맥주를 마신 것 같다. 밤이 늦어 방향이 같은 그와 함께 택시를 탔을 때였다. 도곡동 아파트가 가까워지자 그가 갑자기 내 손을 잡고 울먹였다.’이형, 요즈음 내가 한 달에 얼마로 사는지 알아? 삼만 원이야, 삼만 원……

동생들이 도와주겠다고 하는데 모두 거절했어. 내가 얼마나 힘든지 알어?’ 고향 친구랍시고 겨우 내 손을 잡고 통곡하는 그를 달래느라 나는 그날 치른 학생들의 기말고사 시험지를 몽땅 잃어버렸다. 그리고 그날 밤 홀로 돌아오면서 생각했다.
그가 얼마나 하기 힘든 얘기를 내게 했는지를. 그러자 그만 내 가슴도 마구 미어지기 시작했다. 나는 속으로 가만히 생각했다. ‘혼불’은 말하자면 그 하기 힘든 얘기의 긴 부분일 것이라고.

시집 ‘은빛 호각’ (이시형/창비) 중에서

▣ 작가 최명희와 소설 <혼불>을 떠올린 아름다운 분들의 애틋한 글이에요.

[최기우)소설가 최명희가 그려낸 전주천

작성자
최명희문학관
작성일
2007-01-12 14:15
조회
1903
천변 서민들의 삶 세세히 묘사

소설가 최명희가 그려낸 전주천







‘전주 부성 동쪽머리 만마관(萬馬關) 골짜기에서부터 흐르기 시작하는 전주천 물살은, 좁은목을 지나, 강모가 내내 하숙하고 있던 청수정의 한벽당에 부딪치며, 각시바우에서 한바탕 물굽이를 이루다가, 남천교(南川橋), 미전교(米廛橋), 서천교(西川橋), 염전교(鹽廛橋)를 차례차례 더터서 흘러내리며 사마교(司馬橋)를 지난다. 그렇게 모래밭을 누비고 흘러오던 물결이, 긴 띠를 풀어 이곳 다가봉의 암벽 아래 오면 급기야 천만(千萬)으로 몸을 부수며 물안개를 자욱하게 일으킨다.’<『혼불 2권』(한길사·1997) 164쪽>

 

‘한벽당 뒷등어리 바위 벼랑 암벽에 쌓인 정월의 흰 눈 빛이 차다. 그 깎아지른 단애(斷崖) 아래 발부리가 잠긴 푸른 냇물은 기슭에 두껍게 얼어붙어 물소리조차 들리지 않았다. 물이 얼지 않았을 때는, 이 검은 바윗돌에 부딪쳐 솟구치는 물살이 유난히 투명하고 깊어서 옥류(玉流)라 하였는데, 이렇게 얼고 보니 바로 빙옥(氷玉)이었다. 산한수벽(山寒水碧).’ <『제망매가』(전통문화 1986년 2월호) 161쪽.>

전주천은 생명과 상생을 안고 너그러이 흐른다. 전주를 ‘꽃심 지닌 땅’이라고 한 소설가 최명희(1947-1998). 전주천이 옆을 스쳐 가는 한옥마을에서 나고, 전주천이 어깨 걸고 흐르는 완산동과 다가동에서 자란 작가는 소설로 전주의 수맥을 이야기했다. ‘한벽당에서 출발해 다리 건너 천변의 버드나무 그늘을 따라 초록바우 기슭을 끼고 한참이나 내려오던’ 『혼불』의 강모. 그는 남쪽으로 건듯 완산칠봉 산 능선을 바라보면서 한가롭게 걸어갔다지만, 작가 최명희는 전주천을 따라 걸으며 온갖 사물과 사연에 오감이 동했을 터.

특히 장편소설 『혼불』과 미완성 장편소설 「제망매가」(『전통문화』1985.9∼1986.4 연재)에는 전주천의 역사와 삶의 모습이, 겉내와 속내가 빠짐없이 담겼다. 세세한 묘사는, 좁은목 지나 한벽당 언저리 각시바우 벼랑 아래서 검푸르게 굽이돌며, 이윽고 한숨 돌리는 푸르고 깊은 그 여울부터다. ‘전주천 맑은 물에 그림자 드리운 한벽루’와 ‘각시바우 꽃각시’.

‘전주천 물 속은 들여다보면 가슴이 시렸다. 더욱이나 이 각시바우 치마폭 아래 이른 물살은 깎아지른 절벽에 긴 몸을 부리면서 군청(群靑) 같이 선명한 남빛으로 짙어진다. 웬일로 물살은 그곳에 이르면 더는 흘러가지 않을 것 마냥 고요하게 깊어져, 햇빛을 받으면 은비늘 같은 파랑(波浪)이 거울처럼 부서져 눈이 시었다.’<『전통문화』1985년 9월호 180쪽>

「제망매가」에서 각시바우 이야기는 ‘그 각시는, 신행(新行)길을 재촉하는 아리따운 신부였다’로 시작한다.

‘마침 이곳에 당도한 꽃가마는 아슬아슬한 절벽 옆구리에 간신히 나있는 좁은 길을 위태롭게 지나고 있었다. 아차 한 번 발을 헛디디면 그 길로 낭떠러지 바윗등에 몸이 부서지는 길이었다. 그때 문득 가마꾼이 고개를 돌렸다. 어쩌자고 그의 눈에, 단애(斷崖) 아래 새파랗게 고요한 여울이 비쳐들었던가. 아하, 참말로 물도 좋구나. 그것은 찰나였다. 각시는 끝내 물 위로 떠오르지 않았다. 다만 그때, 꽃가마가 떨어지며 부딪친 가마채 자리가 옴폭 패인 흔적으로 바위에 남아있을 뿐. 수중고혼(水中孤魂) 추운 망자를 어느 누가 건져주리.’<『전통문화』1985년 9월호 180쪽>

각시바우를 지난 이 냇물은 들판처럼 평평하게, 서북을 향해 흐른다.

‘큰물이 한 번 지면, 싯벌건 황토 흙탕물이 도도하게 방천을 깎으며 거칠게 넘쳐서, 흡사 붉은 강물처럼 무섭지만, 그 물이 다 빠진 보통 때는, 가라앉은 푸른 시냇물이 반(半), 흰 자갈밭이 반으로 보인다.’ <『전통문화』1985년 11월호 163쪽>

『혼불』에 그려진 전주천에선 누구나 자유로웠다. ‘버드나무 아래 앉은 노인네들은 밤이 깊도록 생쑥 모깃불의 매캐한 연기를 쏘이며, 이미 몇 번씩이나 한 이야기를 또 하고 또 하였’고, 젊은 사람들은 상쾌한 비명을 지르며 물소리에 섞였다.

‘사람들은, 여름밤이면 이 냇기슭 천변으로 몰려나왔다. (중략) 용소의 위쪽에서는 남자들이 자멱질을 하였다. 여자들의 자리는 용소 아래쪽이었다. 달이 없는 밤에는, 수면 위에 미끄러지는 별빛이 등불이 되어 주었고, 달이 뜬 밤에는 물소리가 달빛을 감추어 주었다.’ <『혼불 2권』 166쪽>

어둠 속에서도 얼마든지 드러나는 흰 몸뚱이를 벗은 채 자멱질을 하고 있는 그들을 눈여겨보지는 않았다. 작가의 표현처럼, 냇물의 골짜기는 깊었고, 어둠은 부드러운 검은 안개로 모든 것을 감싸주었기 때문이다. 게다가 ‘다가봉 암벽에서 입하꽃나무 육도화(六道花)의 향기가 폭포처럼 쏟아져 내리고, 냇가의 자갈밭에는 눈부신 달맞이꽃들이 지등(紙燈)처럼 피어났기’ 때문이다. 여름이 이처럼 흥겨운데, 가을 물은 또 얼마나 차고 깊었을 것이며, 겨울은 또 어찌했으랴.

‘얼어붙은 냇물과 자갈밭에서는 사내 아이들과 남자 어른들이 어울리어 연날리기가 한창이었다. 연 날리는 패들은 쇠전 강변 언저리로부터, 매곡교를 지나 전주교가 가로 걸린 초록바우 동천(洞天)에 이르기까지 가득하였다.’ <『전통문화』1983년 2월호 162쪽>

겨울 하늘을 감감하게 떠다니는 연들은 흡사 꽃잎들 같았으리.

전주천은, ‘남문시장이 냇물을 끼고 있어 그 날 벌어 그 날 먹어야 하는 하루벌이 장사꾼들의 차지였다’는 매곡교와 ‘약(藥) 장수 창극으로 언제나 흥성거렸다’는 다리 아래 ‘쇠전강변’ 넓은 자갈밭에 이르러 놋쇠 소리를 내기도 한다.

‘그 중에서도 매곡교는 가장 빈번하게 사람들이 왕래하는 다리였는데, 다른 곳과는 달리, 다리 위에서 온갖 광주리를 펼쳐놓고 장사를 하는 통에, 사람과 광주리에 채여 그 틈새를 꿰고 지나갈 수가 없을 지경이었다. (중략) 숲말댁은 눈짓으로 매곡교 다리 아래 조금 비킨 자갈밭을 가리켰다. 그곳에는 삿갓 같은 무명 차일이 드리워져 있었다.’ <『전통문화』1985년 11월호 163-4쪽>

광주리, 널판자 한 조각에 가족의 목숨을 걸어야 하는 남루한 장사꾼들. 순경의 호루라기 소리가 들리면 다리 건너 완산동으로 숨어들었을 터이고, 헐렁하게 남은 빈 다리는 푸른 냇물 위에 덩그러니 걸려, 햇빛을 받고 있었을 것이다.

그리고 또 하나, 전라도의 슬픈 역사. 몸부림치다 승천하지 못한 한을 품은 용의 머리와 곤지산 초록바우 음산한 벼랑에 참형 당한 채 걸린 머리.

‘전주 부성 남쪽 바깥 완산칠봉 봉우리 아래, 전주천 흐르는 물자락에 두고, 동쪽으로는, 조선 말엽에 참형자들의 목을 쳐 효수하던 형장(刑場) 곤지산(坤地山) 초록바우 음산한 벼랑을 끼고, 서쪽으로는, 마한의 기운이 쇠잔해질 때 전주천에서 자란 용이 천 년을 기다려 승천을 하려고 안간힘 쓰며, 전주천 물을 모조리 삼키고 하늘에 올랐으나, 그만 힘이 빠져 떨어지고 말았다 하는, 용머리 고개를 끼고 있다지 않아?’ <『혼불 10권』 297쪽>

작가는 『혼불』 심진학의 입을 빌어 ‘그것은 견훤의 넋’일 것이라며, ‘아직도 전주 사람들은 완산에 산다’고 말한다.

전주천을 바라보며 빛과 어둠의 의미를, ‘아름다운 세상 잘 살고 간다’던 유고를 짐작이라도 한 듯, 그가 그린 전주천은, 이미 길게 기울어진 햇살처럼 서늘하면서도 정겹고, 선득하지만 촉촉한 기운을 머금고 있다. 때론 이른 봄 물소리처럼 낭랑하게, 때론 다가봉 기슭 천양정에서 쏘아 올린 화살이 과녁에 맞는 소리처럼 따악, 따악, 울린다.

/최기우(소설가)
/전북일보 2006.07.25

전체 136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추천 조회
16
(서지문) ‘혼불’-6億줘도 살수 없는 감동
최명희문학관 | 2007.02.01 | 추천 0 | 조회 1991
최명희문학관 2007.02.01 0 1991
15
(서지문) 삶이 기도였던 작가 최명희
최명희문학관 | 2007.02.01 | 추천 0 | 조회 2189
최명희문학관 2007.02.01 0 2189
14
(안의정)혼불 작가 최명희 선생의 원고지
| 2007.01.26 | 추천 0 | 조회 2083
2007.01.26 0 2083
13
[이금림, 최명희를 추억하다] 동백꽃을 좋아했던 내친구, 명희
최명희문학관 | 2007.01.24 | 추천 0 | 조회 1792
최명희문학관 2007.01.24 0 1792
12
(이대흠)연두로 출렁이는 단풍 숲 ‘아늑’ 전주 혼불문학공원
군산사랑방 | 2007.01.16 | 추천 0 | 조회 2111
군산사랑방 2007.01.16 0 2111
11
(김병종)풍악산 자락엔 그녀 '혼불'이 타오르고
독자 | 2007.01.13 | 추천 0 | 조회 1848
독자 2007.01.13 0 1848
10
(서지문)슬기의 2002년을 향해서
조선일보 | 2007.01.12 | 추천 0 | 조회 1865
조선일보 2007.01.12 0 1865
9
[최기우)소설가 최명희가 그려낸 전주천
최명희문학관 | 2007.01.12 | 추천 0 | 조회 1903
최명희문학관 2007.01.12 0 1903
8
(문신)'혼불' 읽으며 걷는 전주천
최명희문학관 | 2007.01.12 | 추천 0 | 조회 1749
최명희문학관 2007.01.12 0 1749
7
서지문 교수 "혼불탄생 20c후반 최대경사"
최명희문학관 | 2007.01.12 | 추천 0 | 조회 1943
최명희문학관 2007.01.12 0 1943
메뉴
error: 콘텐츠가 보호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