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들목

그리고 최명희

최명희 씨를 생각함

최명희씨를 생각하면 작가의 어떤 근원적인 고독감 같은 것이 느껴진다. 1993년 여름이었을 것이다. 중국 연길 서시장을 구경하고 있다가 중국인 옷으로 변장하고 커다란 취재 노트를 든 최명희씨를 우연히 만났다.

「혼불」의 주인공의 행로를 따라 이제 막 거기까지 왔는데 며칠 후엔 심양으로 들어갈 것이라고 했다. 그리고 웃으면서 연길 사람들이 한국인이라고 너무 바가지를 씌우는 바람에 그런 옷을 입었노라고 했다. 그날 저녁 김학철 선생 댁엘 들르기로 되어 있어 같이 갔는데 깐깐한 선생께서 모르는 사람을 데려왔다고 어찌나 통박을 주던지 민망해한 적이 있다. 그 후 서울에서 한 번 더 만났다. 한길사가 있던 신사동 어느 카페였는데 고저회와 함께 셋이서 이슥토록 맥주를 마신 것 같다. 밤이 늦어 방향이 같은 그와 함께 택시를 탔을 때였다. 도곡동 아파트가 가까워지자 그가 갑자기 내 손을 잡고 울먹였다.’이형, 요즈음 내가 한 달에 얼마로 사는지 알아? 삼만 원이야, 삼만 원……

동생들이 도와주겠다고 하는데 모두 거절했어. 내가 얼마나 힘든지 알어?’ 고향 친구랍시고 겨우 내 손을 잡고 통곡하는 그를 달래느라 나는 그날 치른 학생들의 기말고사 시험지를 몽땅 잃어버렸다. 그리고 그날 밤 홀로 돌아오면서 생각했다.
그가 얼마나 하기 힘든 얘기를 내게 했는지를. 그러자 그만 내 가슴도 마구 미어지기 시작했다. 나는 속으로 가만히 생각했다. ‘혼불’은 말하자면 그 하기 힘든 얘기의 긴 부분일 것이라고.

시집 ‘은빛 호각’ (이시형/창비) 중에서

▣ 작가 최명희와 소설 <혼불>을 떠올린 아름다운 분들의 애틋한 글이에요.

(장성수)최명희문학관, 여름 꽃에 젖었다

작성자
최명희문학관
작성일
2007-01-05 20:07
조회
2132



올 여름은 유난히 비가 잦다. 개관 3개월. 최명희문학관을 찾는 관람객의 발걸음이 잠시 주춤거린다. 문학관 주변에 심어 놓은 봉숭아 꽃잎도 첫눈이 내릴 때까지 함께 할 인연을 기다리지만, 연일 쏟아지는 빗줄기에 이내 시들해지고 만다. 그러나 그 빗속에서 기어이 찾아오는 관람객들은, 머무는 시간이 무척 길어졌다. 훌쩍 커버린 봉숭아도 햇볕이 하루만 쨍쨍 내리쪼이면 반가운 이들의 손길로 분주하리라.

전주시민의 문학에 대한 애정과 자부심을 엿볼 수 있는 최명희문학관은 전주에 처음 세워진 문학관이다. 전주시에서 건설해서 민간 전문가에게 운영을 위탁한 모범 사례로 꼽힌다. 그래서인지 시민들의 관심은 높고 깊다. 전국 유명문인과 문화예술인들은 물론 각 대학의 국문과·문예창작과 학생, 작가를 꿈꾸는 문학도의 방문이 끊이지 않은데다, 초·중·고교생들의 현장학습 등 문학명소로 자리잡고 있다. 고(故) 최명희 선생의 삶과 문학의 혼이 독자뿐 아니라 행인들을 자석처럼 당기기 때문이다. 문학관 위치가 다른 문학관들과 달리 ‘한옥마을’이라는 전주 전통문화지대의 한 복판에 있다는 것도 한 몫을 한다.

낮은 담과 솟아오른 처마, 아기자기한 골목. 한옥마을과 최명희문학관은 꽤 잘 어울린다. 어느 새, 문학관에서 소설 『혼불』을 빌려 읽는 한옥마을 주민들이 열 명도 넘었고, 몸이 불편한 인근의 한 어르신은 열흘도 넘게 찾아와 전시장 문구들을 꼼꼼히 읽기도 했다. 문학관의 작은 연못은 동네아이들의 특별한 놀이터이자 생태학습 현장이 되기도 하고, 화장실이 집보다 더 깨끗하다며 매일 볼 일 보러 들리는 초등학생들도 있다. 우스갯소리로, 문학관이 공공문화시설의 의미를 넘어 생활기반시설로의 역할까지 맡고 있는 셈이다.

처음 한 달간 평균 300여명에 이르던 문학관 방문객은 전주를 비롯한 전북 일대가 가장 많지만, 전남 순천과 여수, 충남 아산과 서천, 충북 제천, 경남 진주, 강원 평창, 광주, 대전, 제주, 대구, 인천 등 타 지역 독자들의 비중도 상당하다. 특이한 건 경기도 도민들의 발걸음이 꽤 많다는 것인데, 수원, 하남, 안양, 안산, 시흥, 고양 등에서 문학동우회나 동창모임 등을 통해 최명희와 그의 문학을 탐구하러 최명희문학관을 찾는다. 이들은 전시된 내용을 한 시간도 넘게 읽고, 폐관시간이 지나도록 또 읽곤 해서, 문학관 근무자들의 퇴근시간을 늘 늦어지게 한다. 상대적으로 문학관이 적은 경기도 지역의 특성을 감안할 때 고개가 끄덕여진다.

최명희문학관이 왜 필요한지, 앞으로 무엇을 해야 하는지, 방명록에 남긴 관람객들의 메모를 들춰보면 짐작할 수 있다. 최명희의 정갈한 고통과 처연한 아름다움도, 꼬리에 꼬리를 물고 이어지는 방문객의 짧은 글로 인해 더 빛난다. 한 인물의 삶이 얼마나 많은 사람들에게 큰 감동을 줄 수 있는 지 사뭇 깨닫게 된다.

▲“아름답고 충만한 삶, 그래서 눈물이 납니다.”(정두리) ▲“나의 고교 시절은 혼불이 있었기에 더욱 아련한 추억으로 남습니다.”(이명신) ▲“불구의 명작, 민족의 얼이 담긴 글”(이용산) ▲“당신의 문학은 우리말의 꽃입니다.”(전경희) ▲“아름다운 말을 우리 아이들과 가꾸어 가겠습니다.”(김성철) ▲“문학의 밝은 혼이 온 누리에 떨치기를……”(신창선).

문학관은 전주에 대한 자긍심을 일깨우기도 하며, 도시의 이미지를 바꾸어 놓기도 한다.

▲“아름다운 전주, 아름다운 혼불, 잘 보고 갑니다.”(김다혜) ▲“문학관을 발판으로 전주 문학의 위상이 한껏 높아지기를 바랍니다.”(기문호) ▲“전주는 볼 것도 많고 참 많은 것을 생각하게 하는 곳입니다.”(최민혜) ▲“전주에 이런 곳이 많이 생기고, 많은 후배 문학가들의 모태가 되기를 바랍니다.”(황석현) ▲“우리 고장의 소설, 살아있는 고향의 모습”(형남용) ▲“전주에서 최명희 선생님처럼 훌륭한 분이 나오셨다는 것은 큰 자랑입니다.”(원유미)

우연치 않게 전주에 들른 이들에게는 전주한옥마을을 소개하기도 하고, ‘판소리’와 ‘한지’, ‘맛의 고장’ 외에도 문학의 중심지라는 또 다른 이미지를 선사한다.

▲“부산에서 여행 삼아 이 곳 전주까지 왔습니다. 잠깐 스쳐 지나가는 전주에서 이렇게 좋은 곳을 보게 되어 좋습니다.”(김선미) ▲“우연히 들렀는데, 보물 하나 발견한 느낌입니다.”(정선주) ▲“작은 아이 군 입대 날 왔다가 들렀습니다. 오래 전 읽은 혼불의 감동이 새삼 되살아나는 듯 합니다.”(신순자) ▲“최명희가 있어 전주가 아름답다.”(최영희) ▲“가족 나들이가 뜻 깊어졌습니다.”(문혜진) ▲“모처럼 행복한 체험을 하고 가요.”(백명주)

문학관은 전주를 알릴 수 있는 더없이 소중한 문화상품인 것이다. 그리고 전주를 넘어 한 민족의 자긍심을 일깨우기도 한다.

▲“이곳에 들러 우리말과 글의 의미를 다시 생각해 봅니다.”(임명숙) ▲“한국의 얼을 보고 갑니다.”(강종구) ▲“전통 한국의 추억이 보입니다.”(박원재)

그래서 최명희문학관은 단순한 기념관이 아니라, 살아 숨쉬는 문학관과 민족혼이 춤추는 문학관을 꿈꾼다. 또한 문학관은 문학을 꿈꾸는 문학청년들에게는 소중한 등불이 된다.

▲“당신이 써 내려간 언어에 혼이 담기듯 그런 이야기를 남기고 싶습니다.”(김명수) ▲“언젠가, 당신과 같은 글쟁이가 될 것입니다.”(유기쁨, 이지영) ▲“국어사전을 시집처럼 읽는 내가 되고 싶습니다.”(권정아) “전북대학교 국어국문학과 학생이라는 것이 무척 자랑스러웠습니다.”(최정열)

지역의 문학관은 지역 문학인들의 집필·창작의 공간이자 지역 주민의 문화공간으로서 의미의 지닌다. 전북에는 현재 남원 혼불문학관과 김제 아리랑문학관, 고창 미당시문학관, 군산 채만식문학관 등이 있으며, 부안 신석정문학관이 개관을 앞두고 있다. 인구비율 등으로 보면 타 지역보다 앞서는 숫자이지만, 전주와 전북의 찬란한 문학을 담기에는 모자람이 많다. 따라서 각 지역의 문학관이 주민들의 문학 생활화의 거점역할을 튼실하게 해 낼 때, 우리 삶터는 한국문학사, 세계문학사에 새겨질 시인과 작가들을 더 많이 배출할 수 있을 것이다.

최명희 선생은 생전 아름다운 조각품을 볼 때, 그 아름다운 조각품이 태어나기 위해 떨어져나간 돌이나 쇠의 아름답고 숭고한 희생을 우러르며 가슴 아파했고, 흐드러지게 피어 아름다운 동백꽃만큼 그 둥치에 낀 이끼의 생명력을 소중히 여겼다. 최명희문학관 운영은 그의 이와 같은 마음에서 시작된다. 시민과 함께 연구하고 학습하며 감동을 주고받는 도시형·시민밀착형 문학관, ‘사당’처럼 적막한 곳이 아니라 문학강연·토론회·세미나·문학기행 등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생생하게 살아서 뜀박질하는 문학 생산의 거점이다.


/문화저널 2006년 8월호
/장성수 | 고려대학교에서 국어국문학을 전공하고, 동대학원에서 석·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전북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로 있으면서, 최명희문학관 관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전체 136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추천 조회
26
(노인봉)의 작가 최명희의 모국어 사랑
최명희문학관 | 2007.09.16 | 추천 0 | 조회 2926
최명희문학관 2007.09.16 0 2926
25
(김택근)최명희와 ‘혼불’
최명희문학관 | 2007.05.25 | 추천 0 | 조회 2428
최명희문학관 2007.05.25 0 2428
24
[정성희] ‘교사 최명희’의 추억
최명희문학관 | 2007.05.25 | 추천 0 | 조회 2733
최명희문학관 2007.05.25 0 2733
23
(김규남)전라도 말의 '꽃심'
최명희문학관 | 2007.04.11 | 추천 0 | 조회 3742
최명희문학관 2007.04.11 0 3742
22
(박용찬) 한글 파괴하는 외래어… 스카이라운지 대신 '하늘쉼터'로
최명희문학관 | 2007.02.02 | 추천 0 | 조회 2321
최명희문학관 2007.02.02 0 2321
21
(이태영) 문학 작품과 방언
최명희문학관 | 2007.02.02 | 추천 0 | 조회 3159
최명희문학관 2007.02.02 0 3159
20
(김영석) 박정만 시인과 최명희...
최명희문학관 | 2007.02.02 | 추천 0 | 조회 2203
최명희문학관 2007.02.02 0 2203
19
(최병옥)혼불일기
문학관지기 | 2007.02.01 | 추천 0 | 조회 2365
문학관지기 2007.02.01 0 2365
18
(동아일보) [혼불 독자의 밤]그녀는 갔지만 '혼불'은 타오른다
최명희문학관 | 2007.02.01 | 추천 0 | 조회 1928
최명희문학관 2007.02.01 0 1928
17
(김두규)불꽃 같은 삶 ‘초롱불’ 안식처
최명희문학관 | 2007.02.01 | 추천 0 | 조회 2075
최명희문학관 2007.02.01 0 2075
메뉴
error: 콘텐츠가 보호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