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들목

그리고 최명희

최명희 씨를 생각함

최명희씨를 생각하면 작가의 어떤 근원적인 고독감 같은 것이 느껴진다. 1993년 여름이었을 것이다. 중국 연길 서시장을 구경하고 있다가 중국인 옷으로 변장하고 커다란 취재 노트를 든 최명희씨를 우연히 만났다.

「혼불」의 주인공의 행로를 따라 이제 막 거기까지 왔는데 며칠 후엔 심양으로 들어갈 것이라고 했다. 그리고 웃으면서 연길 사람들이 한국인이라고 너무 바가지를 씌우는 바람에 그런 옷을 입었노라고 했다. 그날 저녁 김학철 선생 댁엘 들르기로 되어 있어 같이 갔는데 깐깐한 선생께서 모르는 사람을 데려왔다고 어찌나 통박을 주던지 민망해한 적이 있다. 그 후 서울에서 한 번 더 만났다. 한길사가 있던 신사동 어느 카페였는데 고저회와 함께 셋이서 이슥토록 맥주를 마신 것 같다. 밤이 늦어 방향이 같은 그와 함께 택시를 탔을 때였다. 도곡동 아파트가 가까워지자 그가 갑자기 내 손을 잡고 울먹였다.’이형, 요즈음 내가 한 달에 얼마로 사는지 알아? 삼만 원이야, 삼만 원……

동생들이 도와주겠다고 하는데 모두 거절했어. 내가 얼마나 힘든지 알어?’ 고향 친구랍시고 겨우 내 손을 잡고 통곡하는 그를 달래느라 나는 그날 치른 학생들의 기말고사 시험지를 몽땅 잃어버렸다. 그리고 그날 밤 홀로 돌아오면서 생각했다.
그가 얼마나 하기 힘든 얘기를 내게 했는지를. 그러자 그만 내 가슴도 마구 미어지기 시작했다. 나는 속으로 가만히 생각했다. ‘혼불’은 말하자면 그 하기 힘든 얘기의 긴 부분일 것이라고.

시집 ‘은빛 호각’ (이시형/창비) 중에서

▣ 작가 최명희와 소설 <혼불>을 떠올린 아름다운 분들의 애틋한 글이에요.

(이휘현)혼불문학공원, 그 곳에 가고 싶다, 미치도록

작성자
최명희문학관
작성일
2007-01-05 19:53
조회
2130
2005년 여름,
그 곳에 가고 싶다, 미치도록 |이휘현 KBS PD

올해부터 직장생활을 시작했다. 내 나이 서른 둘. 사회초년생으로서는 남들보다 다소 늦은 감이 드는 나이다. 그만큼 더욱 깊게 몸에 배인 ‘자유스러움 (혹은 방종?)’ 탓일까. 조직 생활을 하는 게 녹록치 않다. 그렇게 팍팍한 일상의 호흡이 가빠올 때면 내 마음 한 구석에 스멀스멀 피어오르는 기억의 공간이 하나 있다. 삶의 걸음걸이가 고르지 못할 때 가만히 눈을 감고 숨고르기를 할 수 있던 그 곳. 좀 거창하게 말하자면, ‘내 영혼의 안식처’라 할 만한 곳. 바로 혼불문학공원이다.

혼불문학공원은 『혼불』의 작가 최명희 선생이 깊이 잠들어 있는 곳이다. 건지산의 중턱에 자리 잡고 있는 그 곳은, 사람들의 발길이 쉬이 닿을 수 없는 곳에 있다. 마치 요새 같다. 전북대학교 기숙사에서 동물원으로 향하는 길을 따라가면 삼거리가 나오는데, 그 삼거리에서 송천동 방면으로 방향을 틀면 곧 혼불문학공원 입구가 보인다. 아침부터 밤까지 그 앞길에는 무수한 차들이 오간다. 하지만, 혼불문학공원 입구에 차를 대놓고 작가 최명희의 고른 숨결을 음미하려는 이를 발견하기란 쉽지 않다.

내가 우연히 그 곳에 발을 들여놓은 것은 4년 전 봄의 이른 아침이었다. 전북대학교 기숙사에서 생활하고 있던 나는 그 때 비교적 꽉 짜인 하루의 일정에 따라 움직이고 있었다. 아침에는 어김없이 6시에 일어나 유산소운동을 했었는데, 그 즈음 우연히 길을 잘못 들어섰다가 맞닥뜨리게 된 곳이 바로 혼불문학공원이었다. 그날 이후, 나는 마치 최면에 걸린 듯 테니스공만한 테두리의 나무들이 세로로 촘촘히 박혀있는 그 공원을 매일 아침 천천히 거닐면서, 항상 머릿속이 상쾌해지는 느낌에 젖어들 수 있었다. 혼불문학공원을 밤새 감싸고 있던 서늘한 공기들이 이런저런 고민들로 어지럽게 엉켜있던 내 오랜 상념들을 새벽의 이슬처럼 어루만져주는 느낌이었다.

이른 아침, 혼불문학공원에 들어서면 여명의 기운이 채 떨구어내지 못한 간밤의 적막 위로 예쁜 새소리가 울렸고 나무와 풀꽃들은 제각각 숨소리를 내었다. 나는 그 섬세한 연두빛의 흐름을 느낄 수 있었다. 그 곳에서 나는 일상의 표면에서 부유하는 생활인이 아니라, 푸르른 것들과 하나 되는 온전한 자연인이었다. 전주를 떠날 때까지 그렇게 몇 년 동안 혼불문학공원은 나에게 쓸쓸할 때 벗이 되어주고, 답답할 때 마음을 뻥 뚫어주고, 삶이 유난히 신산스럽다 느껴질 때 상처받은 가슴을 위무해주는 어머니의 자궁 같은 곳이었다. 그 곳에서 나는 평화로움의 양수 안에 감싸인 채 잠이 든 태아였다. 아득바득 살아보겠다며 서울이라는 공간을 떠돌아다니다가도 문득 그 곳을 떠올릴 때면 짙은 향수에 젖을 수밖에 없었던 것도 다 그런 이유 때문이었다.

지난 해 가을 전주에 내려갔다가 혼불문학공원에 들른 적이 있다. 혼불문학공원 앞 도로를 확장공사 중이었는데, 그 때문에 공원의 멋들어진 입구가 많이 훼손되고 있었다. 그 광경을 바라보는 내 마음이 왜 그리도 쓸쓸하던지. 나는 내 소중한 것 하나를 잃어버린 것 같은 상실감에 젖어들어야 했다.

내 내밀한 공간으로서의 혼불문학공원. 수많은 추억의 상념들을 묻어두었던 곳. 혼불문학공원을 생각하며 이렇게 자판을 두드리고 있자니, 정말이지 그 곳에 가고 싶다. 미치도록. 한없이 미치도록.
전체 136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추천 조회
26
(노인봉)의 작가 최명희의 모국어 사랑
최명희문학관 | 2007.09.16 | 추천 0 | 조회 2923
최명희문학관 2007.09.16 0 2923
25
(김택근)최명희와 ‘혼불’
최명희문학관 | 2007.05.25 | 추천 0 | 조회 2423
최명희문학관 2007.05.25 0 2423
24
[정성희] ‘교사 최명희’의 추억
최명희문학관 | 2007.05.25 | 추천 0 | 조회 2729
최명희문학관 2007.05.25 0 2729
23
(김규남)전라도 말의 '꽃심'
최명희문학관 | 2007.04.11 | 추천 0 | 조회 3737
최명희문학관 2007.04.11 0 3737
22
(박용찬) 한글 파괴하는 외래어… 스카이라운지 대신 '하늘쉼터'로
최명희문학관 | 2007.02.02 | 추천 0 | 조회 2317
최명희문학관 2007.02.02 0 2317
21
(이태영) 문학 작품과 방언
최명희문학관 | 2007.02.02 | 추천 0 | 조회 3154
최명희문학관 2007.02.02 0 3154
20
(김영석) 박정만 시인과 최명희...
최명희문학관 | 2007.02.02 | 추천 0 | 조회 2198
최명희문학관 2007.02.02 0 2198
19
(최병옥)혼불일기
문학관지기 | 2007.02.01 | 추천 0 | 조회 2362
문학관지기 2007.02.01 0 2362
18
(동아일보) [혼불 독자의 밤]그녀는 갔지만 '혼불'은 타오른다
최명희문학관 | 2007.02.01 | 추천 0 | 조회 1922
최명희문학관 2007.02.01 0 1922
17
(김두규)불꽃 같은 삶 ‘초롱불’ 안식처
최명희문학관 | 2007.02.01 | 추천 0 | 조회 2073
최명희문학관 2007.02.01 0 2073
메뉴
error: 콘텐츠가 보호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