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들목

그리고 최명희

최명희 씨를 생각함

최명희씨를 생각하면 작가의 어떤 근원적인 고독감 같은 것이 느껴진다. 1993년 여름이었을 것이다. 중국 연길 서시장을 구경하고 있다가 중국인 옷으로 변장하고 커다란 취재 노트를 든 최명희씨를 우연히 만났다.

「혼불」의 주인공의 행로를 따라 이제 막 거기까지 왔는데 며칠 후엔 심양으로 들어갈 것이라고 했다. 그리고 웃으면서 연길 사람들이 한국인이라고 너무 바가지를 씌우는 바람에 그런 옷을 입었노라고 했다. 그날 저녁 김학철 선생 댁엘 들르기로 되어 있어 같이 갔는데 깐깐한 선생께서 모르는 사람을 데려왔다고 어찌나 통박을 주던지 민망해한 적이 있다. 그 후 서울에서 한 번 더 만났다. 한길사가 있던 신사동 어느 카페였는데 고저회와 함께 셋이서 이슥토록 맥주를 마신 것 같다. 밤이 늦어 방향이 같은 그와 함께 택시를 탔을 때였다. 도곡동 아파트가 가까워지자 그가 갑자기 내 손을 잡고 울먹였다.’이형, 요즈음 내가 한 달에 얼마로 사는지 알아? 삼만 원이야, 삼만 원……

동생들이 도와주겠다고 하는데 모두 거절했어. 내가 얼마나 힘든지 알어?’ 고향 친구랍시고 겨우 내 손을 잡고 통곡하는 그를 달래느라 나는 그날 치른 학생들의 기말고사 시험지를 몽땅 잃어버렸다. 그리고 그날 밤 홀로 돌아오면서 생각했다.
그가 얼마나 하기 힘든 얘기를 내게 했는지를. 그러자 그만 내 가슴도 마구 미어지기 시작했다. 나는 속으로 가만히 생각했다. ‘혼불’은 말하자면 그 하기 힘든 얘기의 긴 부분일 것이라고.

시집 ‘은빛 호각’ (이시형/창비) 중에서

▣ 작가 최명희와 소설 <혼불>을 떠올린 아름다운 분들의 애틋한 글이에요.

「혼불」作家朔寧崔明姬之柩(혼불작가삭녕최명희지구)...

작성자
최명희문학관
작성일
2007-11-15 20:12
조회
2243


*** 이 글은 임명진 전북대 교수의 글이며, 전북대신문 1999년 1월호에 실린 글입니다.



지난 12월 15일 한낮 어린이회관 옆 건지산 자락에서는 장송곡이 울리는 가운데 최명희 작가의 장례식 마지막 절차가 진행되고 있었다. 한 길이나 되는 깊이의 壙中(광중)에 관이 안치되고 그 위에 명정이 놓여졌다. 붉은 비단에 흰 글씨로 선명하게 쓰인 글자,

‘「혼불」作家朔寧崔明姬之柩(작가삭녕최명희지구)’

고인(故人)은 흔하디 흔한 ‘學生’, ‘孺人’ 등의 호칭 대신에 ‘「혼불」 작가’란 이름을 얻은 셈이다. 아니 고인이 그 이름을 얻은 게 아니고 살아있는 우리가 그렇게 부르고 싶어한 것이라고 보는 게 더 옳겠다. 어쨌든 고인은 가슴 위에 ‘「혼불」 作家’란 이름을 안고 모교인 전북대가 내려다보이는 건지산 자락에 영면하게 되었다. 그것도 그냥 ‘작가’가 아니라 ‘「혼불」 작가’로서 말이다.

고인도 그걸 그다지 싫어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생각되는 건, 유달리 따뜻한 그날의 햇살이 그 명정 글씨 위에서 하얗게 부서지고 있었기 때문만은 아니다. 그분이 17년에 걸쳐 혼신의 힘으로 써 내린 작품 이름을 ‘최명희’라는 본명보다도 먼저, 또 ‘작가’란 범칭보다도 앞서 붙이는 것을 그분도 싫어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그렇다. 평생을 「혼불」을 위해 살다시피 한 그분에게 그런 호칭 외에 무엇을 붙일 수 있겠는가?


2백자 원고지 일만이 천장 분량의 열 권 짜리 대하소설을, 그것도 한 사람의 오롯한 17년의 공력을 단 몇 마디로 말하기는 어렵다. 아니 부끄럽다. 그러나 그 공력에 또 하나의 찬사를 보태는 일은 일면 자랑스럽기조차 하다.

「혼불」을 그냥 ‘소설’이라고 부르기에는 뭔가 부족하다는 느낌이 든다. 여러 비평가들이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이 작품이 소설의 일반적인 성격에서 벗어나 있다는 뜻만은 아니다. 더구나 소설로서의 양식적 특색을 충분히 갖추지 못했다고 폄하하자는 것은 더욱 아니다. 오히려 ‘小說’이라는 뜻, 즉 ‘작은 이야기’란 뜻이 이 작품에는 걸맞지 않는다는 것을 강조하기 위함이다. 차라리 일찍이 김지하가 자신의 작품 「南」에 대해서 붙였던 것처럼, 「혼불」에도 ‘大說’(대설)이라는 말을 붙여봄직하다. 이게 훨씬 그럴 듯해 보인다. 아니면 ‘한[大]이바구’나 ‘통이바구’라 하든지……. 그도 아니면 ‘한통이바구’라 하든지…….

이제 어째서 ‘大說’ 등이 더 어울릴 것인가를 간추릴 필요가 있겠다.

첫째, 다소 진부하지만, ‘小說’의 일반적 구성, 시점, 서술에서 꽤 벗어나 있다는 점을 먼저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 빈번한 작가의 서술 개입은 물론이려니와, 곁가지 삽화가 주절주절 달려 있어 독자로 하여금 오만 가지 이야기로 채워진 미로 속을 헤매게 하다가 어느 땐가 갑자기 독자를 불끈 들어다 이야기 원줄기 위로 데려다 놓는다든지 하는 방식이 그것이다. 이를 부정적으로 보는 사람은 서양의 근대소설론에는 밝을지 몰라도 그 이전 구술문화의 전통 속에서 행해진 이야기 소통방식에 대해서는 도통 아무런 관심도 가져보지 않은 사람일 것이다. 다시 말하면, 그런 방식은 작가의 개성이나 특색보다는 근원적인 이야기 소통방식에 가까운 것으로 보자는 얘기다. (판소리 사설은 이런 소통방식의 가장 현저한 예의 하나로 남아 있다.) 작가가 의도적으로 그런 소통방식을 채용했는지 여부는 그다지 중요치 않다. 이런 구성, 서술이 이야기 내용과 걸맞게 어울린다는 점이 더욱 중요하다. 통일과 응축 지향의 글쓰기보다는 散種(산종)과 개방 지향의 글쓰기에 가까운…….

둘째, 이 작품은 시간적으로 일제강점기를 주요 배경으로 하고 있으면서, 당대의 우리 고유의 세시풍속, 언어, 관혼상제는 물론이요, 우리의 역사(그 가운데에서도 만주 쪽의 유 · 이민사), 촌락구조, 음식, 민속놀이, 복식, 가구, 그릇, 설화 등을 빼곡하게 찾아 정리하고 있다. 이 점에서 일제강점기가 우리의 전통과 근대에 어떻게 작용하였는가 하는 역사적 물음을 되묻게 한다.

주지하다시피 일제강점기는, 정치 · 군사적 영역에서 일제가 배타적으로 독점했던 시기이며, 경제 분야에 있어서도 일제가 압도적 우위를 점했던 때다. 그러나 문화적 측면에서는 우리 고유의 전통문화가 계승되는 가운데 서구 내지는 일본의 문화가 이식되는 착종의 시기이기도 하다. 이 작품은 이런 문화적 拮抗(길항)의 시기에 우리 고유의 전통문화가 온전한 모습으로 유지되고 있었음을 확인해 준다. 이 점은 매우 중요하다. 일제의 식민정책이 우리의 바람직한 근대화에 부정적으로 작용했으며, 반면에 고유한 문화적 전통에 바탕을 둔 민족운동의 과정에서 ‘내재적 근대화’가 성취되었다는 논지의 단서를 제공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 작품의 후반부에서 강조되고 있는 심재학의 활약상이 고유의 전통문화의 토대 위에서 그 역동적 힘을 얻고 있다는 점이 그 좋은 예가 될 것이다. 아울러 이 작품은, 이와 관련, 해방 후 ‘내재적 근대화’가 분단모순에 의해 지속되지 못하고 왜곡된 근대화로 잘못 이끌리게 된 점을 매우 완곡하게 짚어내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셋째, 한국인의 가장 보편적인 정서인 ‘恨’으로 점철되어 있다는 점이다. ‘한국적 한’이란 무엇인가? 이 문제에 대해서는 기왕의 논의도 꽤 있었고 그에 따라 상당한 성과도 축적되었지만, 앞으로 더 논구될 필요가 있다고 본다. 암튼 비유하자면, 우리가 늘 밥상에서 만나는 김치나 젓갈이나 된장 · 청국장 같은 것이 아닐까? 절인 배추, 삶은 콩, 생선이 잘 익거나 뜨거나 삭았을 때 원재료의 맛과는 차원이 다르게 변했으면서도 매우 웅숭깊고 감칠 맛 나는 음식으로 변하는 것처럼, 사람의 슬픔이나 분노도 오랜 세월에 걸쳐 발효되었을 때 비로소 웅숭깊은 정서인 ‘恨’으로 변하여 우러나지 않겠는가? 곰삭은 음식을 먹다보니 우리의 정서도 그렇게 곰삭았는지도 모를 일이다.

이 작품의 주요 여주인공들(청암부인, 강실, 효원, 옹구네, 오유끼 등)은 한으로 점철되어 있다. 靑孀, 相避, 空房, 妾室 등의 슬픔과 분노와 곤욕을 삭혀가는 그네들의 한숨은 이 작품 전편에 는개처럼 안개처럼 어려있다. 이들의 한숨을 걷어낸 「혼불」은 민속이나 역사 자료집에 불과할 것이다. 게다가 그들 한숨의 빛깔과 어조도 다양하다. 고전적 운명관에서부터, 무속적 세계, 유교적 가치관, 사회주의 이념 등에 얼버무려져서 이채로운 맛을 우려낸다. 그러나 그 맛은 怨(원)이라기보다는 願(원)에 가깝고 서러움보다는 그리움에 가깝다고 하겠다. 는개같은 안개같은 한숨으로 발효되어 비로소 무지개같은 情恨(정한)으로 승화된 것이리라.

끝으로, 이 작품의 독특한 문체를 들 수밖에 없다. 단순한 어휘 차원을 넘어, 통사 · 의미론적 차원에서의 지역방언, 班常(반상)간의 뚜렷한 계층방언, 무수한 감각형용사 구사 등이 그것이다. 특히 거멍굴 천민들의 방언 구사와 감각어의 채용은 매우 탁월하다. 그들의 꿈틀거리는 생동감도 방언에 힘입고 있으며, 우리가 이 작품을 눈으로만 읽지 않고 입, 코, 혀, 피부로 읽는 것처럼 느끼는 것도 예의 감각적인 형용사에 힘입고 있다.


다시 장지에서 느낀 것 하나만 보태자. 山役(산역)을 주관한 풍수학자 김두규 교수(우석대)의 귀띔 한 마디. 고인이 안치된 곳은 풍수지리학적으로 孕 (잉용)이란다. 산 능선이 둥그렇게 굽어진 곳 안쪽에 맺힌 혈이란다. 그래선지 능선 가운데로부터 조금 안쪽에 안치되었다. 孕胎(잉태)의 혈, 잉혈, 처녀로 생을 마감한 우리의 ‘「혼불」 작가’는 잉태의 혈에 잠들어 있다.

저승에서도 잉태할 무엇이 남아있다는 것인가? 미완의 ‘大說’ 『혼불』을 이어가기 위한 잉태인가? 그러나 이야기는 늘 미완으로 남는 것. 그렇다면 이 작품을 이어갈 잉태의 몫은 이제 우리의 혼(魂)에서 찾아야 할 것이 아니겠는가?

하산하면서 얼핏 생각나는 작품 한 구절.

사람이 죽은 뒤에라도 그 정신이, 혼(魂)이 서로 닿아 있다면 그 선조는 죽어도 죽지 않은 것이다. 몸에 너무 마음을 두지 말아라. 살이 있고 없는 것으로 살고 죽은 것을 생각하지 말고, 정신의 혼백의 길이 서로 막히지 않도록 늘 그 길을 닦어야 한다. (제3권 169~170쪽)

/임명진(문학평론가, 전북대 국문과 교수)

전체 136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추천 조회
36
근면하게 일해 가솔을 굻기지 말라. / 최효찬
최명희문학관 | 2009.03.18 | 추천 0 | 조회 2655
최명희문학관 2009.03.18 0 2655
35
여적 - 심상훈
최명희문학관 | 2009.03.18 | 추천 0 | 조회 2209
최명희문학관 2009.03.18 0 2209
34
[고장말] 먹고 잪다 / 이길재
최명희문학관 | 2009.03.11 | 추천 0 | 조회 2189
최명희문학관 2009.03.11 0 2189
33
예스 TV광주 - 염정금 기자의 문학관 르포
최명희문학관 | 2009.03.10 | 추천 0 | 조회 2586
최명희문학관 2009.03.10 0 2586
32
근면하게 일해 가솔을 굶기지 말라. / 최효찬
최명희문학관 | 2009.01.31 | 추천 0 | 조회 1951
최명희문학관 2009.01.31 0 1951
31
새전북신문 객원 논술위원 정상권 _ 최명희와 혼불
최명희문학관 | 2009.01.23 | 추천 0 | 조회 1886
최명희문학관 2009.01.23 0 1886
30
[박혜란에세이]사랑스런 사람 최명희
최명희문학관 | 2008.01.11 | 추천 0 | 조회 2626
최명희문학관 2008.01.11 0 2626
29
최명희 수필 기획특집으로 / 수필과 비평
최명희문학관 | 2007.11.20 | 추천 0 | 조회 2987
최명희문학관 2007.11.20 0 2987
28
「혼불」作家朔寧崔明姬之柩(혼불작가삭녕최명희지구)...
최명희문학관 | 2007.11.15 | 추천 0 | 조회 2243
최명희문학관 2007.11.15 0 2243
27
작곡가 임준희 / 혼불 교향곡
최명희문학관 | 2007.11.15 | 추천 0 | 조회 2999
최명희문학관 2007.11.15 0 2999
메뉴
error: 콘텐츠가 보호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