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들목

그리고 최명희

최명희 씨를 생각함

최명희씨를 생각하면 작가의 어떤 근원적인 고독감 같은 것이 느껴진다. 1993년 여름이었을 것이다. 중국 연길 서시장을 구경하고 있다가 중국인 옷으로 변장하고 커다란 취재 노트를 든 최명희씨를 우연히 만났다.

「혼불」의 주인공의 행로를 따라 이제 막 거기까지 왔는데 며칠 후엔 심양으로 들어갈 것이라고 했다. 그리고 웃으면서 연길 사람들이 한국인이라고 너무 바가지를 씌우는 바람에 그런 옷을 입었노라고 했다. 그날 저녁 김학철 선생 댁엘 들르기로 되어 있어 같이 갔는데 깐깐한 선생께서 모르는 사람을 데려왔다고 어찌나 통박을 주던지 민망해한 적이 있다. 그 후 서울에서 한 번 더 만났다. 한길사가 있던 신사동 어느 카페였는데 고저회와 함께 셋이서 이슥토록 맥주를 마신 것 같다. 밤이 늦어 방향이 같은 그와 함께 택시를 탔을 때였다. 도곡동 아파트가 가까워지자 그가 갑자기 내 손을 잡고 울먹였다.’이형, 요즈음 내가 한 달에 얼마로 사는지 알아? 삼만 원이야, 삼만 원……

동생들이 도와주겠다고 하는데 모두 거절했어. 내가 얼마나 힘든지 알어?’ 고향 친구랍시고 겨우 내 손을 잡고 통곡하는 그를 달래느라 나는 그날 치른 학생들의 기말고사 시험지를 몽땅 잃어버렸다. 그리고 그날 밤 홀로 돌아오면서 생각했다.
그가 얼마나 하기 힘든 얘기를 내게 했는지를. 그러자 그만 내 가슴도 마구 미어지기 시작했다. 나는 속으로 가만히 생각했다. ‘혼불’은 말하자면 그 하기 힘든 얘기의 긴 부분일 것이라고.

시집 ‘은빛 호각’ (이시형/창비) 중에서

▣ 작가 최명희와 소설 <혼불>을 떠올린 아름다운 분들의 애틋한 글이에요.

[정성희] ‘교사 최명희’의 추억

작성자
최명희문학관
작성일
2007-05-25 12:02
조회
2733

[광화문에서/정성희]

‘교사 최명희’의 추억

‘흔들리는 상여의 사방에 매달린 색실 매듭 유소(流蘇)와 위 난간에 드리운 수실들이, 망인의 혼백이 흔드는 마지막 손처럼 나부낀다.(중략) 곡성과 상여 소리가 서러운 물살을 이루어 마당에 차오르고, 휘황한 비단 공단 만장(輓章)들은 바람에 물결처럼 나부끼는데, 상여는 그 물마루에 높이 뜬 채로 저승의 강물 저 먼 곳으로 떠나고 있었다. 마지막 가는 길이어서 이다지도 곱게 치장을 하고 가는 것일까.’

많고 많은 우리 문학작품 중에 상여행렬조차도 이토록 아름답게 묘사한 글이 또 있을까. 최명희(1947∼1998)의 ‘혼불’에 나오는 한 구절이다. 소설가 최일남 씨가 ‘혼불’에 대해 “미싱으로 박은 이야기가 아니라 수바늘로 한 땀 한 땀 뜬 이바구”라고 한 이유를 알 만하다. 문학평론가 유종호 씨는 “우리 겨레의 풀뿌리 숨결과 삶의 결을 드러내는 풍속사이기도 한 이 소설은 소리 내어 읽으면 판소리 가락이 된다”고도 했다.

하지만 내게 최명희란 이름은 1977년 어느 겨울날, 눈발이 흩날리던 교정으로 타임머신을 타고 날아가게 한다. 세상만사가 마뜩하지 않던 이 사춘기 여중생의 국어 선생님이 최명희였다. 긴 단발머리와 단정한 스커트 차림의 선생님은 다정다감한 스타일은 아니었다. 어쩌다 복도에서 마주쳐도 인사도 잘 안 받아 줄 정도였다. 천방지축 찧고 까부는 우리를 늘 한심하다는 표정으로 바라보곤 했다.

하지만 수업시간에는 완전히 다른 사람이었다. 우리들은 국어시간이면 순번을 정해 수업 시작 전에 시(詩) 한 편을 칠판 가득 써 놓아야 했다. 릴케건 이육사건 어떤 시인의 시도 좋았다. 선생님은 10분 정도 운율에 맞춰 시를 낭송하게 한 후 시의 배경과 특징 등을 설명해 주었다. 서정주나 윤동주의 시가 적힌 날은 시로 시작해 시로 수업이 끝날 때도 있었다. 눈이라도 내리면 교과서는 덮어 버리고 최백호의 ‘내 마음 갈 곳을 잃어’를 부르거나, 시를 외우도록 했다.

우리는 또 ‘연상수첩’이란 작은 노트를 한 권씩 마련해야 했다. 선생님은 시 낭송이 끝나면 연상수첩을 펴게 한 후 매일같이 그날의 ‘단어’를 불러 주었다. 우리는 연상수첩에다 그 단어로부터 연상되는 단어들을 써 내려갔다. 연상 작업이 끝나면 선생님은 아이들로 하여금 자신이 연상한 단어들을 읽게 했다. 우리는 ‘봄’이라는 단어가 20회쯤 연상을 거듭해 어떤 아이에게는 ‘죽음’이 되고 다른 아이에겐 ‘사랑’이 되는 언어의 마술을 경험했다. 나중에 알고 보니 문학수업에 필수적인 이미지 훈련법이었다.

요즘엔 학교마다 논술 준비에 허덕이고, 가정에선 비싼 돈 들여 논술과외까지 하느라 난리라는데 우리는 저절로, 공짜로 ‘문학의 바다’에서 놀았던 것이다. 훌륭한 선생님 한 분의 힘이 이토록 크다는 것을 나는 지금도 느낀다.

혼불의 무대가 되었던 전북 남원시 사매면의 삭녕 최씨 폄재공파 종가(宗家)가 지난주 화재로 불타고 종부(宗婦) 박증순(93) 씨가 숨졌다고 한다. 생전에 선생님은 이 집에 자주 놀러 가 혼불 속의 효원 아씨의 모델로 알려진 박 씨와 얘기를 나누며 작품을 구상했다고 한다. 선생님이 살아계셨다면 박 씨의 참변에 얼마나 마음 아프셨을까. 졸업 후 한 번도 찾아뵌 적 없는 무심한 제자지만 슬퍼하실 선생님의 얼굴이 떠올라 가슴이 오래 아릿했다.

정성희 논설위원 shchung@donga.com

전체 136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추천 조회
46
농수산물유통공사의 문화스토리텔링
최명희문학관 | 2012.08.01 | 추천 0 | 조회 2374
최명희문학관 2012.08.01 0 2374
45
농수산물유통공사의 문화스토리텔링
최명희문학관 | 2012.08.01 | 추천 0 | 조회 2169
최명희문학관 2012.08.01 0 2169
44
[최창조]'메멘토 모리,죽음을 기억하라'
최명희문학관 | 2012.02.07 | 추천 0 | 조회 2447
최명희문학관 2012.02.07 0 2447
43
[전원생활]전북 남원 혼불문학관
최명희문학관 | 2012.02.06 | 추천 0 | 조회 2356
최명희문학관 2012.02.06 0 2356
42
최인수의 한옥마을 수채화기행최명희 문학관
최명희문학관 | 2012.01.11 | 추천 0 | 조회 3235
최명희문학관 2012.01.11 0 3235
41
[김병용]책 권하는 사회
최명희문학관 | 2012.01.11 | 추천 0 | 조회 2319
최명희문학관 2012.01.11 0 2319
40
이태영의 "소설가 최명희와 완판본 한글고전소설"
최명희문학관 | 2011.06.28 | 추천 0 | 조회 2638
최명희문학관 2011.06.28 0 2638
39
[세계일보1998-12-14]「혼불」의 말과 역사를 찾아서
최명희문학관 | 2010.09.06 | 추천 0 | 조회 2147
최명희문학관 2010.09.06 0 2147
38
미케란젤로와 최명희 - 심철무
최명희문학관 | 2009.05.07 | 추천 0 | 조회 3064
최명희문학관 2009.05.07 0 3064
37
최명희 문학숨결 머문곳에 황손의 거처 /유성문(여행작가)
최명희문학관 | 2009.04.07 | 추천 0 | 조회 2550
최명희문학관 2009.04.07 0 2550
메뉴
error: 콘텐츠가 보호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