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들목

그리고 최명희

최명희 씨를 생각함

최명희씨를 생각하면 작가의 어떤 근원적인 고독감 같은 것이 느껴진다. 1993년 여름이었을 것이다. 중국 연길 서시장을 구경하고 있다가 중국인 옷으로 변장하고 커다란 취재 노트를 든 최명희씨를 우연히 만났다.

「혼불」의 주인공의 행로를 따라 이제 막 거기까지 왔는데 며칠 후엔 심양으로 들어갈 것이라고 했다. 그리고 웃으면서 연길 사람들이 한국인이라고 너무 바가지를 씌우는 바람에 그런 옷을 입었노라고 했다. 그날 저녁 김학철 선생 댁엘 들르기로 되어 있어 같이 갔는데 깐깐한 선생께서 모르는 사람을 데려왔다고 어찌나 통박을 주던지 민망해한 적이 있다. 그 후 서울에서 한 번 더 만났다. 한길사가 있던 신사동 어느 카페였는데 고저회와 함께 셋이서 이슥토록 맥주를 마신 것 같다. 밤이 늦어 방향이 같은 그와 함께 택시를 탔을 때였다. 도곡동 아파트가 가까워지자 그가 갑자기 내 손을 잡고 울먹였다.’이형, 요즈음 내가 한 달에 얼마로 사는지 알아? 삼만 원이야, 삼만 원……

동생들이 도와주겠다고 하는데 모두 거절했어. 내가 얼마나 힘든지 알어?’ 고향 친구랍시고 겨우 내 손을 잡고 통곡하는 그를 달래느라 나는 그날 치른 학생들의 기말고사 시험지를 몽땅 잃어버렸다. 그리고 그날 밤 홀로 돌아오면서 생각했다.
그가 얼마나 하기 힘든 얘기를 내게 했는지를. 그러자 그만 내 가슴도 마구 미어지기 시작했다. 나는 속으로 가만히 생각했다. ‘혼불’은 말하자면 그 하기 힘든 얘기의 긴 부분일 것이라고.

시집 ‘은빛 호각’ (이시형/창비) 중에서

▣ 작가 최명희와 소설 <혼불>을 떠올린 아름다운 분들의 애틋한 글이에요.

(서지문) 삶이 기도였던 작가 최명희

작성자
최명희문학관
작성일
2007-02-01 15:30
조회
2190

삶이 기도였던 작가 최명희 -서지문(고려대 교수)


대하소설 ‘혼불’을 처음 읽었을 때, 이 작품은 전편이 작가의 기도문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개인적인 소원을 비는 기도문이 아니라 우리 민족의 해원과 평안과 유구한 장래를 비는 간절한 장편의 기도문이라고. 그리고 그 작품은 작가가 심혈을 기울여서 쓴 정도가 아니라 생명의 진액을 짜내어서 쓴, 殺身供養(살신공양)과도 같은 작업이라고 느꼈다. 그래서 독자로서, 혼신의 힘을 기울여 집필을 해서 그토록 큰 감동과 희열을 제공해준 작가에게 감사와 치하를 하지 않으면 안 된다고 생각했다.

우리는 작가에게 감사하기를 잊고 사는 경우가 너무도 많다. 현실에서 물질적인 도움을 준 사람에게는 신세를 졌다고 생각하면서도 우리에게 인간에 대한 이해와 공감을 확대시켜 주고, 삶의 의미와 소중함을 일깨워준 작가의 무한한 은혜는 예사롭게 생각하는 경우가 많다.

작가 최명희는 ‘혼불’이라는 소설을 통해 우리 겨레의 혼을 되살리는 너무도 막중한 작업을 시작해 놓고, 갚을 길도 없는 큰 빚을 지고 도망다니는 사람처럼 항상 불안하고 외로웠다고 한다. 가혹하고 슬픈 삶을 살다간 영혼들의 쓰라린 혼불이 너무도 간절하게 타오르고 있어서 그들의 하수인이 되어 그들이 시키는 대로 말하고, 가라는 대로 내달렸다고 한다. 그리고 최명희는 ‘근원에 대한 그리움’으로 아득한 선조로부터 오늘의 우리에 이르기까지 유구한 우리나라의 기후와 풍토·산천초목·생활습관·사회제도·촌락구조·역사·세시풍속·관혼상제·통과의례, 그리고 주거의 형태와 복장과 음식이며 가구·그릇·치레·소리·노래·언어·빛깔·몸짓들을 그저 토막지식으로서가 아니라 그것들을 행하고 치르고 감당했던 선조들의 숨결과 손길과 염원과 애증이 선연히 살아나도록 애절하게 재생해냈다.

그 무한한 노고를 치하하기 위해 작가를 만나본 후 친구가 되었는데, 최명희는 인간 관계에 있어서도 지극히 정성스러운 사람이었다. 흔히 예술가들은 매우 자기 중심적이고, 배려를 베풀기보다는 받는 쪽인데, 최명희는 지나치게 많은 사람에게 자신을 아낌없이 나누어주었다. 월간지에 연재를 하면서 마감날이 다가오는데 원고가 써지지 않아서 노심초사하는 중에도 꼭 만나야 할 사람이 있으면 만나서는 전혀 자신의 초조함을 내색하지 않고 몇시간이고 즐겁고 다정한 대화를 하곤 했다.

최명희는 자신의 50세 생일날은 자기가 사랑하고 아끼는 모든 사람들을 초대해서 자기는 음식을 대접하며 시중만 들겠다고 자주 말하곤 했다. 그래서 자기가 아는 아름답고 훌륭한 분들이 서로 서로 알고 사귀게 되기를 바란다고.

정말 그녀다운 생각이었는데, 그녀가 암에 걸려 투병하게 되자 그녀와 ‘혼불’을 사랑하는 각계 각층의 유명·무명 인사들이 함께 모였다. “최명희와 ‘혼불’을 사랑하는 사람들” 모임 결성식에서 최명희는 자신을 그 자리에 모인 보석같이 귀한 분들을 아름다운 목걸이로 꿰는 보잘것없는 ‘실’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사실은 그녀가 기라성같은 명사들이 세팅을 이루는 보석의 중심 다이아몬드였다.

최명희는 암과 싸우면서 이렇게 말했다고 한다. 암은 매우 반갑지 않은 손님이지만 나를 찾아온 손님이기 때문에 극진히 대접해서 섭섭지 않게 떠나보내야 한다고. 그래서 그녀는 지옥의 고문보다 더 무시무시한 항암제 치료의 과정을 불평도 하지 않고 고스란히 순하게 견디다가 갔다.

단군신화의 속의 웅녀는 최명희에게 크나큰 영감이요 위로였다. 쓰디쓴 쑥과 아린 마늘을 먹으면서 1백일동안 굴 속의 암흑을 견디는 시험을 이기고 사람이 된 곰 할머니의 신화에서 그녀는 우리 민족의 표상을 보았다. 그 고독·절망·눈물을 극복한 웅녀의 인내력이 우리의 유전 형질에 전해 내려오고 있으리라고 믿었다.

최명희는 아름다운 조각품을 볼 때, 그 아름다운 조각품이 태어나기 위해 떨어져나간 돌이나 쇠의 아름답고 숭고한 희생을 우러르며 가슴아파했고, 흐드러지게 피어 아름다운 동백꽃만큼 그 둥치에 낀 이끼의 생명력을 소중히 여겼다. 그녀의 언어 구사는 구구절절이 모국어의 혼에 대한 경배요, 애절한 사랑의 고백이다. 그녀가 재생해낸 순결한 모국어는 우리 민족 정신의 指紋(지문), 겨레의 넋이 찍힌 무늬, 그리고 민족혼을 담는 그릇이다.

이토록 나라가 어수선하며 국민의 심성이 피폐하고 황량해진 이 때,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거창하고 요란한 ‘제2건국운동’이 아니고 우리에게 순결한 심성과 삶에 대한 지극함을 되찾아주는 사람과 책이 아닐까 한다.

<서지문·고려대 교수. 영문학>

문화일보 1998/12/19
전체 136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추천 조회
46
농수산물유통공사의 문화스토리텔링
최명희문학관 | 2012.08.01 | 추천 0 | 조회 2374
최명희문학관 2012.08.01 0 2374
45
농수산물유통공사의 문화스토리텔링
최명희문학관 | 2012.08.01 | 추천 0 | 조회 2169
최명희문학관 2012.08.01 0 2169
44
[최창조]'메멘토 모리,죽음을 기억하라'
최명희문학관 | 2012.02.07 | 추천 0 | 조회 2447
최명희문학관 2012.02.07 0 2447
43
[전원생활]전북 남원 혼불문학관
최명희문학관 | 2012.02.06 | 추천 0 | 조회 2356
최명희문학관 2012.02.06 0 2356
42
최인수의 한옥마을 수채화기행최명희 문학관
최명희문학관 | 2012.01.11 | 추천 0 | 조회 3235
최명희문학관 2012.01.11 0 3235
41
[김병용]책 권하는 사회
최명희문학관 | 2012.01.11 | 추천 0 | 조회 2319
최명희문학관 2012.01.11 0 2319
40
이태영의 "소설가 최명희와 완판본 한글고전소설"
최명희문학관 | 2011.06.28 | 추천 0 | 조회 2638
최명희문학관 2011.06.28 0 2638
39
[세계일보1998-12-14]「혼불」의 말과 역사를 찾아서
최명희문학관 | 2010.09.06 | 추천 0 | 조회 2147
최명희문학관 2010.09.06 0 2147
38
미케란젤로와 최명희 - 심철무
최명희문학관 | 2009.05.07 | 추천 0 | 조회 3064
최명희문학관 2009.05.07 0 3064
37
최명희 문학숨결 머문곳에 황손의 거처 /유성문(여행작가)
최명희문학관 | 2009.04.07 | 추천 0 | 조회 2549
최명희문학관 2009.04.07 0 2549
메뉴
error: 콘텐츠가 보호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