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들목

그리고 최명희

최명희 씨를 생각함

최명희씨를 생각하면 작가의 어떤 근원적인 고독감 같은 것이 느껴진다. 1993년 여름이었을 것이다. 중국 연길 서시장을 구경하고 있다가 중국인 옷으로 변장하고 커다란 취재 노트를 든 최명희씨를 우연히 만났다.

「혼불」의 주인공의 행로를 따라 이제 막 거기까지 왔는데 며칠 후엔 심양으로 들어갈 것이라고 했다. 그리고 웃으면서 연길 사람들이 한국인이라고 너무 바가지를 씌우는 바람에 그런 옷을 입었노라고 했다. 그날 저녁 김학철 선생 댁엘 들르기로 되어 있어 같이 갔는데 깐깐한 선생께서 모르는 사람을 데려왔다고 어찌나 통박을 주던지 민망해한 적이 있다. 그 후 서울에서 한 번 더 만났다. 한길사가 있던 신사동 어느 카페였는데 고저회와 함께 셋이서 이슥토록 맥주를 마신 것 같다. 밤이 늦어 방향이 같은 그와 함께 택시를 탔을 때였다. 도곡동 아파트가 가까워지자 그가 갑자기 내 손을 잡고 울먹였다.’이형, 요즈음 내가 한 달에 얼마로 사는지 알아? 삼만 원이야, 삼만 원……

동생들이 도와주겠다고 하는데 모두 거절했어. 내가 얼마나 힘든지 알어?’ 고향 친구랍시고 겨우 내 손을 잡고 통곡하는 그를 달래느라 나는 그날 치른 학생들의 기말고사 시험지를 몽땅 잃어버렸다. 그리고 그날 밤 홀로 돌아오면서 생각했다.
그가 얼마나 하기 힘든 얘기를 내게 했는지를. 그러자 그만 내 가슴도 마구 미어지기 시작했다. 나는 속으로 가만히 생각했다. ‘혼불’은 말하자면 그 하기 힘든 얘기의 긴 부분일 것이라고.

시집 ‘은빛 호각’ (이시형/창비) 중에서

▣ 작가 최명희와 소설 <혼불>을 떠올린 아름다운 분들의 애틋한 글이에요.

(김두규) 관광의 고장 전북만들기와 풍수

작성자
최명희문학관
작성일
2022-06-11 11:24
조회
513
글쓴이: 김두규(우석대 교수·문화재청 문화재위원)

출처1: 전북도민일보 2022년 5월 19일 <[풍수로 보는 전북 부흥의 길] <20> 관광의 고장 전북만들기와 풍수>

출처2: http://www.dom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1378561&sc_section_code=S1N12

필자는 강의실 수업보다 현장 답사를 중시한다. 코로나 19 이전에는 학생들에게 최소 2번 현장 교육을 했다. ‘가보지 않는 곳에 대해서는 말하지 말라!’는 풍수 격언이 있다. ‘백문이불여일견(百聞而不如一見)’, 즉 ‘백 번 듣는 것이 한 번 보는 것만 못하다’란 격언과 같은 뜻이다.

 현장 교육으로 가장 많이 활용하는 찾는 곳이 전주 오목대와 삼례 비비정이다. ‘오목대와 전주 풍수’는 다음으로 미루고, ‘삼례 비비정 풍수’를 소개한다. 단순히 옛이야기를 들려주려는 것이 아니다. 삼례 비비정을 알면 ‘전북의 인문학’을 새롭게 살려내고, 그를 바탕으로 전북의 문화관광 콘텐츠를 ‘복원’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일부 농촌 지자체들이 관광객유치를 명분으로 ‘하는 짓거리(!)’가 ‘구름(출렁)다리·케이블카·잔도·현수교 만드는 것’이다. 군민과 도민에게 그것이 무슨 혜택인가? 전국 어디나 똑같다. ‘짝퉁’이다. 그러한 ‘짝퉁’은 사람에게 감동을 주지 못한다. 살아있는 문화를 보여주지 못한다. “관광(觀光)의 본래 뜻은 “그 나라(지역)의 빛을 보는 것[관국지광·觀國之光]”을 말한다(김기현 전북대 명예교수). ‘주역’에 나오는 말이다. 여기서 “빛[光]”은 문화를 뜻한다. ‘구름(출렁)다리·케이블카·잔도·현수교’가 지자체의 문화가 아니다.

 1960년대 남산케이블카, 80년대 여의도 63빌딩, 2020년대 잠실 123층에 관광객이 몰려드는 것을 본뜬 유치한 짝퉁이다. 그러한 ‘하드웨어’는 더이상 통용되지 않는다. 그 땅의 ‘소프트웨어’를 발굴하고 창조하는 것이다. 굳이 창조까지 할 필요가 없다. 옛날 문인들이 그 땅을 읽고 남긴 글에서 새로운 ‘관광(문화)’을 발굴하면 된다.

 1926년 육당 최남선은 ‘심춘순례(尋春巡禮)’를 출간했다. 순례란 본디 종교상의 성지를 찾아다니며 참배하는 것을 말한다. 육당이 ‘성지’로 여긴 곳은 어디일까? 다름 아닌 우리 국토이다. 그는 말한다. “조선의 국토는 산하(山河) 그대로 조선의 역사며 철학이며 시며 정신입니다. 문자 아닌 채 가장 명료하고 정확하고 또 재미있는 기록입니다. 조선인 마음의 그림자와 생활의 자취는 고스란히 똑똑히 국토의 위에 박혀 있어 어떠한 풍우(風雨)라도 마멸시키지 못하는 것이 있음을 나는 믿습니다.”

 그보다 1년 전인 1925년 육당은 조선을 “순례”하기 위해 그 처음 방문지로 전북을 찾는다. 전북의 영광이다. ‘심춘순례’의 첫 장은 이리(익산)에서 경철(작은 기차)을 타고 전주로 가는 중간 지점인 삼례를 묘사함에서 시작한다. 삼례 묘사 부분은 1페이지에 지나지 않는다. ‘기름진 들판 호남이란 뽕잎이 남쪽 누에[일본]에게 갉아 먹히고 있는 망국의 설움과 비비정 언덕 호산서원 터를 언급한다. 필자는 ‘심춘순례’ 1페이지를 바탕으로 2시간 넘게 강의를 한다.

 전북이 배출한 최고의 소설가 최명희 선생의 ‘혼불’도 삼례를 묘사한다. 주인공 강모가 서울 가는 기차를 타고 가다가, 삼례 앞 흐르는 한내 백사장을 보면서 “비비낙안(飛飛落雁)의 문자향(文字香)”을 회상하는 대목이다. 2페이지 지나지 않는 서술이지만, 필자는 2시간 넘게 “한내 백사장의 비비낙안 문자향”을 강의한다.

 송기숙 선생의 장편 역사소설 ‘녹두장군’에 동학의 ’삼례집회‘(1892년)가 묘사된다. 왜 삼례이고, 이곳 비비정 언덕인가에 대해서 생전의 송기숙 선생께 들은 이야기를 곁들여 역시 2시간 넘게 강의한다.

 삼례 비비정 언덕에서 “조선의 역사며 철학이며 시며 정신”을 강의한다. 필자의 풍수강의는 대체로 이와 같은 것이다. 그 땅의 문화[光]를 읽어내게 하는 살아있는 관광이 필요하다. 전북 관광의 패러다임이 혁명적으로 바뀌어야 한다.

글 = 김두규 우석대 교수(문화재청 문화재위원)
전체 136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추천 조회
136
(남영희)'바른말 광'이 길어올린 영혼의 언어
최명희문학관 | 2023.03.17 | 추천 0 | 조회 350
최명희문학관 2023.03.17 0 350
135
(김두규)[풍수로 보는 전북 부흥의 길] <66> 전북의 풍수사(風水師)들 이야기(3)
최명희문학관 | 2023.03.02 | 추천 0 | 조회 424
최명희문학관 2023.03.02 0 424
134
(유화웅) 혼례식이 달라지고 있어요
최명희문학관 | 2023.02.25 | 추천 0 | 조회 335
최명희문학관 2023.02.25 0 335
133
(이길재)[이길재의 겨레말]나랑
최명희문학관 | 2023.02.09 | 추천 0 | 조회 375
최명희문학관 2023.02.09 0 375
132
(이길재)[이길재의 겨레말]가을
최명희문학관 | 2023.02.09 | 추천 0 | 조회 391
최명희문학관 2023.02.09 0 391
131
(이길재)[이길재의 겨레말]날궂이
최명희문학관 | 2023.02.09 | 추천 0 | 조회 380
최명희문학관 2023.02.09 0 380
130
(이길재)[고장말] 먹고 잪다
최명희문학관 | 2023.02.09 | 추천 0 | 조회 328
최명희문학관 2023.02.09 0 328
129
(이길재)[고장말] 나어 집!
최명희문학관 | 2023.02.09 | 추천 0 | 조회 367
최명희문학관 2023.02.09 0 367
128
(이길재)[고장말] 삘건색
최명희문학관 | 2023.02.09 | 추천 0 | 조회 332
최명희문학관 2023.02.09 0 332
127
(이길재)[고장말] 허망헙디다
최명희문학관 | 2023.02.09 | 추천 0 | 조회 371
최명희문학관 2023.02.09 0 371
메뉴
error: 콘텐츠가 보호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