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들목

그리고 최명희

최명희 씨를 생각함

최명희씨를 생각하면 작가의 어떤 근원적인 고독감 같은 것이 느껴진다. 1993년 여름이었을 것이다. 중국 연길 서시장을 구경하고 있다가 중국인 옷으로 변장하고 커다란 취재 노트를 든 최명희씨를 우연히 만났다.

「혼불」의 주인공의 행로를 따라 이제 막 거기까지 왔는데 며칠 후엔 심양으로 들어갈 것이라고 했다. 그리고 웃으면서 연길 사람들이 한국인이라고 너무 바가지를 씌우는 바람에 그런 옷을 입었노라고 했다. 그날 저녁 김학철 선생 댁엘 들르기로 되어 있어 같이 갔는데 깐깐한 선생께서 모르는 사람을 데려왔다고 어찌나 통박을 주던지 민망해한 적이 있다. 그 후 서울에서 한 번 더 만났다. 한길사가 있던 신사동 어느 카페였는데 고저회와 함께 셋이서 이슥토록 맥주를 마신 것 같다. 밤이 늦어 방향이 같은 그와 함께 택시를 탔을 때였다. 도곡동 아파트가 가까워지자 그가 갑자기 내 손을 잡고 울먹였다.’이형, 요즈음 내가 한 달에 얼마로 사는지 알아? 삼만 원이야, 삼만 원……

동생들이 도와주겠다고 하는데 모두 거절했어. 내가 얼마나 힘든지 알어?’ 고향 친구랍시고 겨우 내 손을 잡고 통곡하는 그를 달래느라 나는 그날 치른 학생들의 기말고사 시험지를 몽땅 잃어버렸다. 그리고 그날 밤 홀로 돌아오면서 생각했다.
그가 얼마나 하기 힘든 얘기를 내게 했는지를. 그러자 그만 내 가슴도 마구 미어지기 시작했다. 나는 속으로 가만히 생각했다. ‘혼불’은 말하자면 그 하기 힘든 얘기의 긴 부분일 것이라고.

시집 ‘은빛 호각’ (이시형/창비) 중에서

▣ 작가 최명희와 소설 <혼불>을 떠올린 아름다운 분들의 애틋한 글이에요.

(이길재)[이길재의 겨레말]나랑

작성자
최명희문학관
작성일
2023-02-09 17:00
조회
377
○출처: 이데일리 2012-11-01 [이길재의 겨레말]나랑

○글쓴이: 이길재/겨레말큰사전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1528486599721456&mediaCodeNo=257&OutLnkChk=Y

웨 그러구새구 {나랑} 먹슴둥? 《겨레말큰사전 조사 자료》

‘나랑 먹슴둥’은 ‘나랑 먹자’, ‘나랑 놀자’의 ‘나랑’이 아니다. ‘웨 그러구새구 나랑 먹슴둥’을 표준어로 바꾸어 보면 ‘왜 그렇게 천천히 먹습니까?’이다. ‘나랑’은 ‘놀명, 남남’과 더불어 표준어 ‘천천히’와 대응하는 함경도 방언이다. 표준어 ‘천천히’의 의미를 갖는 말은 지역에 따라 아주 다양하게 나타난다.

기왕지사 우리덜 가슴에 못이 백혔으니 분풀이는 앞으로 살어감시로(살아가면서) {서나서나} 허세나.《문순태: 타오르는 강》

{싸목싸목} 묵으란께 왜 그렇게 싸게싸게(빨리빨리) 묵어 부냐? 《송기숙: 녹두장군》

‘서나서나’, ‘싸목싸목’ 또한 ‘나랑’과 마찬가지로 ‘천천히’를 뜻을 갖는 전라도 방언이다. 특히 ‘싸목싸목’은 원래 천천히 걷는 모양을 나타내는 흉내말이었으나, 점차 다른 행위로까지 그 의미의 폭을 넓혀 간 것으로 보인다. 이는 ‘싸목싸목’이 ‘가다’나 ‘오다’, ‘걷다’ 같은 동사와 가장 잘 어울리는 것을 보면 쉽게 알 수 있다.

자, {싸목싸목} 가봅시다. 《문순태: 타오르는 강》

날도 풀리고 희은이도 컸으니께 {싸목싸목} 돌아댕겨 봐야지. 《한창훈: 목련꽃 그늘 아래서》

‘싸목싸목’과 마찬가지로 걷는 모양을 나타내는 흉내말에서 유래하여 ‘천천히’의 의미를 갖는 전라도 방언으로 ‘싸박싸박’과 ‘장감장감’을 들 수 있다. ‘싸박싸박’은 눈 쌓인 길을 사박사박 걷는 모양을, 장감장감은 비 내리는 길을 까치발을 디디며 징검징검 걷는 모양을 본뜬 말이다. 이뿐만 아니라 ‘깐닥깐닥, 사심사심, 신지모르게, 싸득싸득, 싸브락싸브락, 쏠레쏠레, 야몽야몽’ 등은 그 말맛은 조금씩 다르지만 모두 ‘천천히’의 뜻을 갖는 말이다.

안 엉칠라면 {싸목싸목} 씹어서 묵어사(먹어야) 쓴다. 《송기숙: 녹두장군》

밤질이 어둥께 {깐닥깐닥} 조심헤서 가씨요. 《전남방언사전》

두지에 {사심사심} 묵은(먹은) 쌀이 그새 다 골아(줄어) 부렀다. 《전남방언사전》

방바닥에 물이 {신지모르게} 배 들어왔다. 《전남방언사전》

부처님이 그 떡을 참말로 {야몽야몽} 잡숫겄어? 《최명희: 혼불》

츤츤히 {장감장감} 걸어라 잉. 《박범신: 불의 나라》

‘장강장감, 야몽야몽’ 등이 ‘천천히’와 같은 뜻을 갖는 전라도 방언이라면, ‘시남없이, 시남이, 자낙자낙, 쥐나이, 짠치’ 등은 경상도 방언이다. ‘시남없이, 시남이’의 어원을 ‘시나브로’와 마찬가지로 ‘절에 시주하는 일’을 나타내는 말 ‘시납’에서 찾기도 한다. 다시 말해서 개개인이 절에 시주하는 양은 얼마 되지 않지만 모이다 보면 많은 양이 되는 것처럼, ‘시남이(<시납이)’는 어떤 일이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조금씩 이루어지다는 뜻을 나타내게 되었다고 보는 것이다. ‘시남이’와 ‘시나브로’만 놓고 보자면 그럴 듯한 이야기이다. 그러나 ‘시남이’의 같은 뜻을 갖는 ‘시남없이’는 ‘시남’이 없는 것이 되기 때문에 오히려 그 반대의 뜻을 지닐 수 도 있다. 따라서 ‘시남이’와 ‘시남없이’의 ‘시남’이 ‘시납’에서 왔다고 보기 어렵다.

숫체녀 입어다가 쌀떠물을 시남 {시남이} 떠옇는 기라. 《한국구비문학대계(경남편)》

지냑은(저녁은) 내거 할테이니, 아문 걱정 마:고 {시남이} 댕게 오그라. 《겨레말큰사전 조사 자료》

{자낙자낙} 하는 기 일이 영글지(야무지지). 《한국구비문학대계(경남편)》

그꼬 급히 안 해도 된다. {쥐나이} 해라. 《겨레말큰사전 조사 자료》

{쥐나이} 오소마.

이밖에도 ‘천천히’를 뜻하는 방언으로 강원도의 ‘노량, 시누매’, 제주도의 ‘아중아중, 으스으슬’ 등을 들 수 있다. 제주도 방언의 ‘으슬으슬’은 ‘용기없이 천천히 걷는 모양’을 나타내는 말이다. 그 말맛은 조금씩 다르지만 ‘천천히’라는 표현이 지역에 따라 얼마나 다양하게 나타나는지 놀라운 일이다.

오늘 마큰 모 하문 내래 하지. 머르 그래 급하게 그래나. {시누매}, {시누매} 하그라.(오늘 모두 못하면 내일 하지. 뭘 그래 급하게 그러나. 천천히, 천천히 하거라) 《겨레말큰사전 조사 자료》

{아중아중} 늬 집의 오건 늬 가속만 네기도 말라.(아장아장 네 집에 오거든 네 가속만큼 여기도 말라.) 《제주어사전》
전체 136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추천 조회
136
(남영희)'바른말 광'이 길어올린 영혼의 언어
최명희문학관 | 2023.03.17 | 추천 0 | 조회 357
최명희문학관 2023.03.17 0 357
135
(김두규)[풍수로 보는 전북 부흥의 길] <66> 전북의 풍수사(風水師)들 이야기(3)
최명희문학관 | 2023.03.02 | 추천 0 | 조회 426
최명희문학관 2023.03.02 0 426
134
(유화웅) 혼례식이 달라지고 있어요
최명희문학관 | 2023.02.25 | 추천 0 | 조회 338
최명희문학관 2023.02.25 0 338
133
(이길재)[이길재의 겨레말]나랑
최명희문학관 | 2023.02.09 | 추천 0 | 조회 377
최명희문학관 2023.02.09 0 377
132
(이길재)[이길재의 겨레말]가을
최명희문학관 | 2023.02.09 | 추천 0 | 조회 394
최명희문학관 2023.02.09 0 394
131
(이길재)[이길재의 겨레말]날궂이
최명희문학관 | 2023.02.09 | 추천 0 | 조회 385
최명희문학관 2023.02.09 0 385
130
(이길재)[고장말] 먹고 잪다
최명희문학관 | 2023.02.09 | 추천 0 | 조회 329
최명희문학관 2023.02.09 0 329
129
(이길재)[고장말] 나어 집!
최명희문학관 | 2023.02.09 | 추천 0 | 조회 370
최명희문학관 2023.02.09 0 370
128
(이길재)[고장말] 삘건색
최명희문학관 | 2023.02.09 | 추천 0 | 조회 334
최명희문학관 2023.02.09 0 334
127
(이길재)[고장말] 허망헙디다
최명희문학관 | 2023.02.09 | 추천 0 | 조회 372
최명희문학관 2023.02.09 0 372
메뉴
error: 콘텐츠가 보호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