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들목

그리고 최명희

최명희 씨를 생각함

최명희씨를 생각하면 작가의 어떤 근원적인 고독감 같은 것이 느껴진다. 1993년 여름이었을 것이다. 중국 연길 서시장을 구경하고 있다가 중국인 옷으로 변장하고 커다란 취재 노트를 든 최명희씨를 우연히 만났다.

「혼불」의 주인공의 행로를 따라 이제 막 거기까지 왔는데 며칠 후엔 심양으로 들어갈 것이라고 했다. 그리고 웃으면서 연길 사람들이 한국인이라고 너무 바가지를 씌우는 바람에 그런 옷을 입었노라고 했다. 그날 저녁 김학철 선생 댁엘 들르기로 되어 있어 같이 갔는데 깐깐한 선생께서 모르는 사람을 데려왔다고 어찌나 통박을 주던지 민망해한 적이 있다. 그 후 서울에서 한 번 더 만났다. 한길사가 있던 신사동 어느 카페였는데 고저회와 함께 셋이서 이슥토록 맥주를 마신 것 같다. 밤이 늦어 방향이 같은 그와 함께 택시를 탔을 때였다. 도곡동 아파트가 가까워지자 그가 갑자기 내 손을 잡고 울먹였다.’이형, 요즈음 내가 한 달에 얼마로 사는지 알아? 삼만 원이야, 삼만 원……

동생들이 도와주겠다고 하는데 모두 거절했어. 내가 얼마나 힘든지 알어?’ 고향 친구랍시고 겨우 내 손을 잡고 통곡하는 그를 달래느라 나는 그날 치른 학생들의 기말고사 시험지를 몽땅 잃어버렸다. 그리고 그날 밤 홀로 돌아오면서 생각했다.
그가 얼마나 하기 힘든 얘기를 내게 했는지를. 그러자 그만 내 가슴도 마구 미어지기 시작했다. 나는 속으로 가만히 생각했다. ‘혼불’은 말하자면 그 하기 힘든 얘기의 긴 부분일 것이라고.

시집 ‘은빛 호각’ (이시형/창비) 중에서

▣ 작가 최명희와 소설 <혼불>을 떠올린 아름다운 분들의 애틋한 글이에요.

(이길재)[이길재의 겨레말]날궂이

작성자
최명희문학관
작성일
2023-02-09 16:59
조회
381
○출처: 이데일리 2012-08-23 [이길재의 겨레말]날궂이

○글쓴이: 이길재/겨레말큰사전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1364486599630272&mediaCodeNo=257&OutLnkChk=Y

“척박한 대지, ‘날궂이 약속’ 고대해요”

“장마철 날궂이의 재미, 워터파크에서 만끽”

모 신문사들의 기사 제목이다. 이 기사 제목에 쓰인 ‘날궂이’는 국어사전에도 올라 있지 않은 말이다. 《우리말큰사전》(한글학회에서 발행한 국어사전)에 ‘날궂이’가 실려 있는데, 위에서 쓰인 ‘날궂이’와는 다른 뜻이다. 《우리말큰사전》에 ‘날궂이’는 ‘궂은 날, 집안에서 이야기를 하거나 먹을거리를 장만하여 시간을 보내는 일’의 충청 지역어, ‘개가 게우는 짓’의 경남 지역어로 올라 있다. 아무리 살펴보아도 기사 제목에 쓰인 ‘날궂이’와는 그 뜻이 같은 것으로 보이진 않는다.

허, 상희 아범이 {날궂이를} 하는 걸 보니 비가 한줄금 하겠는걸.《김하기: 노역장 이야기》

그 후 미륵례의 어머니가 간혹 {날궂이를} 하느라고, 마당가에 나와서 마을을 내려다보며 악을 써대는 것 외엔 별로 시끄러운 일이 더 이상 일어나지 않은 채 또 얼마 동안의 세월이 갔다.《한승원: 폐촌》

동네 챙피하게 무슨 {날궂이여}. 임자도 구만 입 덮어 뿐져.《오찬식: 창부타령》

김하기의 《노역장 이야기》에서처럼 ‘날궂이’를 하면 비가 오고, 한승원의 《폐촌》에서처럼 매칼없이(아무런 이유없이) ‘악을 써대는 것’은 ‘날궂이’의 한 행태이며, 오찬식의 《창부타령》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날궂이’는 ‘동네 챙피한’ 일이다. ‘날궂이’는 평상시와는 다르게 나타나는 이상한 행동이다. ‘머리에 꽃 꽂고 싸돌아 댕기고, 맥없이 히죽히죽 웃어대고, 길 가는 사람 붙들고 시비질하고, 매칼없는 하늘에 대고 욕지거리를 해대고, 고무신을 손에 들고 맨발로 걷고….’ 모두 비가 오기 전 날이 궂으려고 할 때 나타나는 전조들이다. 그것이 곧 ‘날궂이’이다. 물놀이장에서 노는 재미를 신문 기사에서 ‘장마철 날궂이 재미‘라고 표현한 것은 ’장마철에 물놀이를 하는 것‘이 정상적인 행동이라고 보기 어렵다는 우리의 인식 때문에 가능하다.

진씨의 {날궂이도} 은근히 기다려질 정도였다.《김하기: 노역장 이야기》

날이 몹시 가물면 은근히 ‘날궂이’가 기다려지기도 한다. ‘날궂이’는 원래 정신이 온전치 않은 사람들이 기압의 변화에 따라 나타나는 이상한 행동을 가리키는 말이었을 것이다. 그러나 현재는 꼭 그것뿐만 아니라 평상시와는 다른 이상한 행동을 두루두루 나타내는 말로 쓰인다.

비가 오려는 전조를 나타내는 행동은 ‘날궂이’만 있는 것은 아니다. 전북 지역에서 ‘아이들이 두 입술을 떨며 투루루 소리를 내는(투레질하다)’ 것을 ‘틀불다, 털불다’고 한다. 손자나 손녀가 투레질하면 할아버지, 할머니는 ‘쟈가 털부는 거이 오널 비 오겄구만’ 하며 웃는다. 전북 지역에서 ‘털부는’ 것을 보고 ‘날궂이한다’고 하지는 않는다.

‘날궂이’는 ‘하다’와 결합해 동사 ‘날궂이하다’로 쓰이기도 하며, ‘바람’과 결합해 ‘날궂이바람’과 같이 쓰이기도 하는데, ‘날궂이바람’은 ‘비바람’이다. ‘비바람’은 국어사전에 ‘비와 바람’ 또는 ‘비가 내리면서 부는 바람’의 뜻으로만 올라 있는데, 그것의 또 다른 의미는 ‘비가 오기 전에 부는 후텁지근한 바람’이다. 또한 충남 지역어에서는 ‘날이 궂은 날’을 가리켜 ‘날궂이씹’이라고 한다.

{날궂이하려고} 저런 것이 집안에까지 기어들어 오는가.《최명희: 혼불》

전라도 막막한 골 땅끝 어느 외딴 섬은//{날궂이바람} 불고 우우우 바다가 울면《윤금초: 개펄》

‘날궂이, 날궂이하다’는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잘 쓰는 말이지만, 아직은 국어사전에 오르지 않은 소중한 겨레말이다.
전체 136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추천 조회
136
(남영희)'바른말 광'이 길어올린 영혼의 언어
최명희문학관 | 2023.03.17 | 추천 0 | 조회 350
최명희문학관 2023.03.17 0 350
135
(김두규)[풍수로 보는 전북 부흥의 길] <66> 전북의 풍수사(風水師)들 이야기(3)
최명희문학관 | 2023.03.02 | 추천 0 | 조회 425
최명희문학관 2023.03.02 0 425
134
(유화웅) 혼례식이 달라지고 있어요
최명희문학관 | 2023.02.25 | 추천 0 | 조회 337
최명희문학관 2023.02.25 0 337
133
(이길재)[이길재의 겨레말]나랑
최명희문학관 | 2023.02.09 | 추천 0 | 조회 375
최명희문학관 2023.02.09 0 375
132
(이길재)[이길재의 겨레말]가을
최명희문학관 | 2023.02.09 | 추천 0 | 조회 392
최명희문학관 2023.02.09 0 392
131
(이길재)[이길재의 겨레말]날궂이
최명희문학관 | 2023.02.09 | 추천 0 | 조회 381
최명희문학관 2023.02.09 0 381
130
(이길재)[고장말] 먹고 잪다
최명희문학관 | 2023.02.09 | 추천 0 | 조회 328
최명희문학관 2023.02.09 0 328
129
(이길재)[고장말] 나어 집!
최명희문학관 | 2023.02.09 | 추천 0 | 조회 367
최명희문학관 2023.02.09 0 367
128
(이길재)[고장말] 삘건색
최명희문학관 | 2023.02.09 | 추천 0 | 조회 333
최명희문학관 2023.02.09 0 333
127
(이길재)[고장말] 허망헙디다
최명희문학관 | 2023.02.09 | 추천 0 | 조회 372
최명희문학관 2023.02.09 0 372
메뉴
error: 콘텐츠가 보호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