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들목

그리고 최명희

최명희 씨를 생각함

최명희씨를 생각하면 작가의 어떤 근원적인 고독감 같은 것이 느껴진다. 1993년 여름이었을 것이다. 중국 연길 서시장을 구경하고 있다가 중국인 옷으로 변장하고 커다란 취재 노트를 든 최명희씨를 우연히 만났다.

「혼불」의 주인공의 행로를 따라 이제 막 거기까지 왔는데 며칠 후엔 심양으로 들어갈 것이라고 했다. 그리고 웃으면서 연길 사람들이 한국인이라고 너무 바가지를 씌우는 바람에 그런 옷을 입었노라고 했다. 그날 저녁 김학철 선생 댁엘 들르기로 되어 있어 같이 갔는데 깐깐한 선생께서 모르는 사람을 데려왔다고 어찌나 통박을 주던지 민망해한 적이 있다. 그 후 서울에서 한 번 더 만났다. 한길사가 있던 신사동 어느 카페였는데 고저회와 함께 셋이서 이슥토록 맥주를 마신 것 같다. 밤이 늦어 방향이 같은 그와 함께 택시를 탔을 때였다. 도곡동 아파트가 가까워지자 그가 갑자기 내 손을 잡고 울먹였다.’이형, 요즈음 내가 한 달에 얼마로 사는지 알아? 삼만 원이야, 삼만 원……

동생들이 도와주겠다고 하는데 모두 거절했어. 내가 얼마나 힘든지 알어?’ 고향 친구랍시고 겨우 내 손을 잡고 통곡하는 그를 달래느라 나는 그날 치른 학생들의 기말고사 시험지를 몽땅 잃어버렸다. 그리고 그날 밤 홀로 돌아오면서 생각했다.
그가 얼마나 하기 힘든 얘기를 내게 했는지를. 그러자 그만 내 가슴도 마구 미어지기 시작했다. 나는 속으로 가만히 생각했다. ‘혼불’은 말하자면 그 하기 힘든 얘기의 긴 부분일 것이라고.

시집 ‘은빛 호각’ (이시형/창비) 중에서

▣ 작가 최명희와 소설 <혼불>을 떠올린 아름다운 분들의 애틋한 글이에요.

(김두규) 생거부안(生居扶安)과 사거순창(死居淳昌)

작성자
최명희문학관
작성일
2022-06-11 11:26
조회
556
글쓴이: 김두규(우석대 교수·문화재청 문화재위원)

출처1: 전북도민일보 2022년 5월 19일 <[풍수로 보는 전북 부흥의 길] <19> 생거부안(生居扶安)과 사거순창(死居淳昌)

출처2: http://www.dom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1377614&sc_section_code=S1N12

“살아서는 부안이요[生居扶安], 죽어서는 순창[死居淳昌]”이라는 말이 있다. 부안은 풍부한 물산으로 살기가 좋고, 순창은 묘지 명당이 많다는 뜻이다. ‘사거순창’론에 전적으로 동의한다. 필자는 순창의 산하에서 풍수를 원초적 체험으로 배웠다. 어린 시절 부모님 사랑방은 ‘지관’들의 ‘여관’이었다.

원초적 체험 말고 두 소설을 통해 풍수를 배웠다. 하나는 금년 초 작고한 광주 민주화의 대부 송기숙 교수의 ‘자랏골의 비가’이다. 또 하나는 최명희 선생의 ‘혼불’이다. 소설 속에 풍수가 등장하는데, 그 내용이 개안(開眼)한 풍수사가 아니면 형상화할 수 없는 내용이었다. ‘혼불’을 통해 풍수의 ‘존재론’을 배웠다. 안타까운 인연이 맺어졌다. 1998년 소설가의 남동생 최대범 선생에게서 연락이 왔다. “누님(최명희)이 불치의 병으로 위독한데 전라북도에서 장지를 제공한다고 하니, 김 교수가 묏자리를 잡아주시면 고맙겠습니다.”

최명희 선생의 묏자리를 어디로 잡느냐? ‘혼불’의 문학적 무대가 된 남원 사매면이어야 할까? 아니면 최명희 선생이 태어나고 자란 전주여야 할까? 당시 남원시와 전주시가 서로 유치하려고 하였다. 필자 마음대로 정할 수 없었다. 최대범 선생더러 “누님 병상을 찾을 때 넌지시 여쭤보시라!”고 했다. 망설이던 최대범 선생은 병문안 자리에서 에둘러 물었다. “누님은 전주가 좋아, 남원이 좋아?” “당연, 전주이지!”

최명희 선생의 뜻에 따라 전주에 장지를 정했다. 전북대 북쪽 후문 연화마을에 작은 산이 있다. 그곳에 자리를 잡았다. 최명희 선생이 졸업한 전북대가 바로 앞에 있었고, 그 남쪽 한옥마을 부근에 생가가 있었기 때문이다. 또 묘역 근처에 덕진연못이 있는데 소설 ‘혼불’에 등장한다. 그렇게 해서 현재 최명희 선생의 묘지가 정해졌다. 최명희 선생의 묘지 하관 때 필자가 사회를 보았다. 하관식에는 장명수 우석대 총장, 김완주 시장 그리고 작가를 존경하는 많은 문인들이 참석하였다. ‘혼불’에 묘사된 풍수는 어떤 내용이었기에 필자가 그렇게 감동받았을까? 여러 장면이 등장한다. 그 가운데 백미는 다음 문장이다.

“경치고, 정신이고, 인생이고, 결혈의 묘처(妙處)는 오직 한 군데 아니면 많아야 두 군데에 불과할 것인즉, 이 자리를 소중하게 아끼고 잘 갊아서 제 생애를 다한 집을 세워야 하리라.”

그런데 무식한 촌민들이 결혈처(길지·吉地)를 몰라본다. “무지한 민촌 사람들이 적송이 어우러진 명당에다가 소들을 매어놓아 똥칠을 한다.” 작중 주인공 청암부인이 탄식하며 아들을 가르친다. “눈이 밝아야 세상이 바로 보이는데, 눈구녁 자리에 소똥을 범벅해 놓고 짐승이 짓이기게 해 놓은다면 그 인생이 걸어가는 앞길이 오죽할까?”(‘혼불’ 3권).

필자는 소설 속의 이야기로만 여겼다. 필자가 순창에 주소를 둔 것은 한때 길지가 많았기 때문이다. 우석대를 출퇴근하면서 보이는 순창의 길지마다 서려 있는 사연과 ‘터잡기 미학’을 읽어내는 것이 하루의 즐거움이었다. 신흥마을 앞의 ‘논두렁 명당’, 오동마을 앞의 ‘노서하전형(老鼠下田形)’, 석전마을의 ‘영구음수형(靈龜飮水形)’, 마흘 마을의 ‘말명당’ 등 숱한 이야깃거리를 순창이 가지고 있었다. ‘사거순창(死居淳昌)이란 말이 나온 이유이다. 모두 ‘미래문화유산’으로 충분하다. 이제는 하나둘 사라져 간다. 오동마을 앞 노서하전형 이야기이다. ‘늙은 쥐[老鼠]가 먹이를 찾아 밭으로 내려오는[下田] 모습과 같다’하여 생긴 명당이름이다. 들판에서 쥐가 노출되면 독수리 먹이가 될까 봐 주변에 소나무를 심어 쥐를 은폐케 하였다. 그런데 그곳에 대형 축사가 들어섰다. “눈구녁 자리에 소똥을 범벅해 놓았다.” 최명희 선생 ‘혼불’의 실제 상황이다. 무지하고 무식하다. 축사를 지은 자나, 허가를 내준 순창군청이나!

글 = 김두규 우석대 교수(문화재청 문화재위원)
전체 136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추천 조회
136
(남영희)'바른말 광'이 길어올린 영혼의 언어
최명희문학관 | 2023.03.17 | 추천 0 | 조회 337
최명희문학관 2023.03.17 0 337
135
(김두규)[풍수로 보는 전북 부흥의 길] <66> 전북의 풍수사(風水師)들 이야기(3)
최명희문학관 | 2023.03.02 | 추천 0 | 조회 404
최명희문학관 2023.03.02 0 404
134
(유화웅) 혼례식이 달라지고 있어요
최명희문학관 | 2023.02.25 | 추천 0 | 조회 322
최명희문학관 2023.02.25 0 322
133
(이길재)[이길재의 겨레말]나랑
최명희문학관 | 2023.02.09 | 추천 0 | 조회 365
최명희문학관 2023.02.09 0 365
132
(이길재)[이길재의 겨레말]가을
최명희문학관 | 2023.02.09 | 추천 0 | 조회 380
최명희문학관 2023.02.09 0 380
131
(이길재)[이길재의 겨레말]날궂이
최명희문학관 | 2023.02.09 | 추천 0 | 조회 365
최명희문학관 2023.02.09 0 365
130
(이길재)[고장말] 먹고 잪다
최명희문학관 | 2023.02.09 | 추천 0 | 조회 314
최명희문학관 2023.02.09 0 314
129
(이길재)[고장말] 나어 집!
최명희문학관 | 2023.02.09 | 추천 0 | 조회 357
최명희문학관 2023.02.09 0 357
128
(이길재)[고장말] 삘건색
최명희문학관 | 2023.02.09 | 추천 0 | 조회 320
최명희문학관 2023.02.09 0 320
127
(이길재)[고장말] 허망헙디다
최명희문학관 | 2023.02.09 | 추천 0 | 조회 357
최명희문학관 2023.02.09 0 357
메뉴
error: 콘텐츠가 보호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