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들목

그리고 최명희

최명희 씨를 생각함

최명희씨를 생각하면 작가의 어떤 근원적인 고독감 같은 것이 느껴진다. 1993년 여름이었을 것이다. 중국 연길 서시장을 구경하고 있다가 중국인 옷으로 변장하고 커다란 취재 노트를 든 최명희씨를 우연히 만났다.

「혼불」의 주인공의 행로를 따라 이제 막 거기까지 왔는데 며칠 후엔 심양으로 들어갈 것이라고 했다. 그리고 웃으면서 연길 사람들이 한국인이라고 너무 바가지를 씌우는 바람에 그런 옷을 입었노라고 했다. 그날 저녁 김학철 선생 댁엘 들르기로 되어 있어 같이 갔는데 깐깐한 선생께서 모르는 사람을 데려왔다고 어찌나 통박을 주던지 민망해한 적이 있다. 그 후 서울에서 한 번 더 만났다. 한길사가 있던 신사동 어느 카페였는데 고저회와 함께 셋이서 이슥토록 맥주를 마신 것 같다. 밤이 늦어 방향이 같은 그와 함께 택시를 탔을 때였다. 도곡동 아파트가 가까워지자 그가 갑자기 내 손을 잡고 울먹였다.’이형, 요즈음 내가 한 달에 얼마로 사는지 알아? 삼만 원이야, 삼만 원……

동생들이 도와주겠다고 하는데 모두 거절했어. 내가 얼마나 힘든지 알어?’ 고향 친구랍시고 겨우 내 손을 잡고 통곡하는 그를 달래느라 나는 그날 치른 학생들의 기말고사 시험지를 몽땅 잃어버렸다. 그리고 그날 밤 홀로 돌아오면서 생각했다.
그가 얼마나 하기 힘든 얘기를 내게 했는지를. 그러자 그만 내 가슴도 마구 미어지기 시작했다. 나는 속으로 가만히 생각했다. ‘혼불’은 말하자면 그 하기 힘든 얘기의 긴 부분일 것이라고.

시집 ‘은빛 호각’ (이시형/창비) 중에서

▣ 작가 최명희와 소설 <혼불>을 떠올린 아름다운 분들의 애틋한 글이에요.

(김두규) ‘작은 서울[小京]’ 남원과 천추락(千秋樂)

작성자
최명희문학관
작성일
2022-06-11 11:23
조회
507
글쓴이: 김두규(우석대 교수·문화재청 문화재위원)

출처1: 전북도민일보 2022년 5월 19일 <[풍수로 보는 전북 부흥의 길] <25>‘작은 서울[小京]’ 남원과 천추락(千秋樂)>

출처2: http://www.dom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1382840&sc_section_code=S1N12

필자의 주소지 동계면은 행정구역상 순창이다. 그런데 어린 시절 집안의 큰일(생일·결혼·환갑 등)을 치를 때는 ‘순창장’(1·6일)으로 가지 않고 ‘남원장’(4·9일)이나 임실 ‘오수장’(5·0일)을 이용했다. 필자의 집에서 순창읍이 남원이나 오수보다 가깝다. 오수면은 1990년대까지만 해도 ‘오수면’이 아닌 ‘둔남면 오수리’였다. 어린 시절 이점이 궁금하기도 했다. 나중에 그 이유를 알았다. 남원과 오수는 ‘전라선’이라는 철도가 지나가고 그곳에 역이 있었기 때문이다.

반면 순창은 철도가 통과하지 않는다. 철도 통과 여부는 그 지역 발전과 문물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다. 서울과 전주의 신상품이 하행선 열차를 통해, 그리고 여수와 순천의 해산물이 상행선 열차를 통해 남원과 오수역에 내린다. 장이 클 수밖에 없다. 기차는 단순히 화물만을 실어 오가지 않는다. 더 큰 문물과 문화를 가져다준다. 세상에 빨리 눈을 뜨게 한다. 찻길·물길·산길·사람길은 지형지세에 따라 달라지며, 그로 인해 그곳 사람들의 빈부와 귀천에 영향을 끼침은 분명한 사실이다.

교통이 발달한 지금도 필자는 남원과 오수를 더 자주 활용한다(오수면은 임실군에 소속이나 과거 남원에 속했다). 왜 자주 가는 것일까? 어린 시절의 원초적 추억 탓일까? 우연히 ‘신증동국여지승람’ 남원도호부 편을 보고서 그 답을 찾았다. 책은 “신라 신문왕은 ‘작은 서울[小京]’을 두었으며, 100리 기름진 들판이라 천연자원이 풍부한 땅[沃野百里, 天府之地]”이라고 소개한다. 땅덩이가 좁은 조선 땅에서 ‘옥야천리(沃野千里: 기름진 땅 천리)’면 도읍이 들어선다. ‘옥야백리’면 ‘작은 서울’이 들어선다.

풍수 공부 때문에 자주 찾는다. 특히 사매면 서도리 ‘혼불문학관’은 풍수와 관계가 깊은 곳이다. ‘코로나 19’ 이전에는 학생들 답사지도 현장으로 한 번에 수십 명씩 인솔했다. 최명희 대하소설 ‘혼불’의 문학적 배경이자 고향이 이곳이다. 주차장에서 이어지는 돌계단을 통해 ‘혼불문학관’에 이르면 가장 먼저 눈에 띄는 것이 큰바위에 새겨진 문장이다. ‘혼불’의 한 대목이다.

“서북으로 비껴 기맥이 흐를 염려가 놓였으니, 마을 서북쪽으로 흘러내리는 노적봉과 벼슬봉의 산자락 기운을 느긋하게 잡아 묶어서, 큰 못을 파고, 그 기맥을 가두어 찰랑찰랑 넘치게 방비책만 잘 간구한다면 가히 백대 천손의 천추락만세향(千秋樂萬歲享)을 누릴 만한 곳이다 하고 이르셨다.”

“천추락만세향(千秋樂萬歲享)!” ‘천년의 가을을 즐기고, 만년의 세월을 누린다!’는 뜻이다. 영원히 복 받을 길지이다. 작가가 생전에 수도 없이 찾아왔던 곳이다(작가의 동생 최대범 선생 증언). 많은 관광객이 ‘혼불문학관’을 찾지만, 정작 안내표지판이 있는 “종택”은 잘 찾지 않는다.

‘매안 이씨’ 종부 3대의 이야기가 펼쳐지는 작품의 중심 무대이다. 지금도 종택 솟을대문이 작품 묘사처럼 우뚝 솟아 있다. 작가는 자신의 종택(삭녕최씨)을 “매안이씨” 종택으로 바꾸어 이야기를 펼쳤다.

종택 풍수의 특이점이다. 조선조 풍수와는 전혀 다른 공간배치로 전국에서 드문 일이다. 조선의 전통 풍수는 안채의 중심축을 뒷산[主山]에 맞춘다[背山]. 그런데 이곳 종택 뒷산에 등을 대지 않는다. 또 종택은 마을 한가운데 있기 마련인데 종택은 마을 맨 뒤에 있다. 종택 정문에서 앞을 바라보면---한번이 아닌 여러 번--- 언뜻 그 답을 찾을 수 있다. 절묘한 풍수 터잡기와 공간배치이다. “천추락만세향(千秋樂萬歲享)!”을 염두에 원대한 포부가 담겨 있다. 독자들께서 직접 “종택” 현장에서 그 답을 찾기를 권해 드린다.

글 = 김두규 우석대 교수(문화재청 문화재위원)
전체 136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추천 조회
136
(남영희)'바른말 광'이 길어올린 영혼의 언어
최명희문학관 | 2023.03.17 | 추천 0 | 조회 337
최명희문학관 2023.03.17 0 337
135
(김두규)[풍수로 보는 전북 부흥의 길] <66> 전북의 풍수사(風水師)들 이야기(3)
최명희문학관 | 2023.03.02 | 추천 0 | 조회 405
최명희문학관 2023.03.02 0 405
134
(유화웅) 혼례식이 달라지고 있어요
최명희문학관 | 2023.02.25 | 추천 0 | 조회 322
최명희문학관 2023.02.25 0 322
133
(이길재)[이길재의 겨레말]나랑
최명희문학관 | 2023.02.09 | 추천 0 | 조회 365
최명희문학관 2023.02.09 0 365
132
(이길재)[이길재의 겨레말]가을
최명희문학관 | 2023.02.09 | 추천 0 | 조회 380
최명희문학관 2023.02.09 0 380
131
(이길재)[이길재의 겨레말]날궂이
최명희문학관 | 2023.02.09 | 추천 0 | 조회 365
최명희문학관 2023.02.09 0 365
130
(이길재)[고장말] 먹고 잪다
최명희문학관 | 2023.02.09 | 추천 0 | 조회 314
최명희문학관 2023.02.09 0 314
129
(이길재)[고장말] 나어 집!
최명희문학관 | 2023.02.09 | 추천 0 | 조회 357
최명희문학관 2023.02.09 0 357
128
(이길재)[고장말] 삘건색
최명희문학관 | 2023.02.09 | 추천 0 | 조회 320
최명희문학관 2023.02.09 0 320
127
(이길재)[고장말] 허망헙디다
최명희문학관 | 2023.02.09 | 추천 0 | 조회 357
최명희문학관 2023.02.09 0 357
메뉴
error: 콘텐츠가 보호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