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소, 님하

문학관의 선물(글과 영상)

[글]「혼불」로 읽는 명절, 설과 정월대보름

작성자
최명희문학관
작성일
2021-02-23 16:59
조회
3693
설의 윷놀이, 정월대보름 달집놀이와 큰줄다리기, 삼월 삼짇날의 화전놀이, 단오날 씨름, 유월 유두(流頭)놀이, 칠월 백중(百中)의 술멕이굿, 한가위의 보름달놀이, 구월 중양절의 단풍놀이, 동짓날의 팥죽 나누어 먹기….

명절은 절로 흥이 나는 날이다. 명절증후군에 시달리는 종갓집 맏며느리나 상여금 삭감에 주머니가 가벼운 가장들도 설이나 한가위가 다가오면 명절 기분에 술렁거린다. 이번 대목에 한 밑천 뽑겠다고 단단히 벼르는 상인들과 색동옷에 마냥 흥겨운 아이들, 정자나무 밑에서 벌어지는 온갖 밤놀이…. 모처럼 가까운 친인척들과 둘러앉은 것만으로도 새 기운이 채워진다.
명절, 그것은 어미의 품이었다. 이렇게 세상살이가 고되고 서러워 온몸이 다 떨어진 남루가 될수록 어디에서도 위로받지 못하는 육신을 끌고 와 울음으로 부려 버리고 싶은 것이 바로 명절이었다. 그 울음은 정중 엄숙한 차례나 세배로 나타나기도 하고, 얼음같이 차고 푸른 하늘에 높이 띄워 올리는 연이나, 마당 가운데 가마니를 베개처럼 괴고 뛰는 널, 혹은 방안에 둘러앉아 도·개·걸·윷·모, 소리치며 노는 윷놀이로 나타나기도 하였다.(5권 126쪽)

소설가 최명희(1947-1998)는 글을 쓰기 위해 무수히 많은 문헌과 현장과 전문가와 어르신들을 찾아다녔다. 손때 묻은 자료들은 세월의 혼을 간직한 채 아름다운 모국어로 생생하게 복원됐고, 살아 있는 존재로 자신을 드러냈다. 전주와 남원을 배경으로 한 소설 「혼불」이 한국인의 생활사와 풍속사, 의례와 속신의 백과사전으로 불리는 것은 이 때문이다. 작가의 기억에 담긴 명절과 작품 속 풍경으로 이 땅의 설과 정월대보름을 읽는다.

◦ 설, 오직 맑은 청수(淸水) 한 대접 올리고

신원(新元)·원일(元日)이라 불리는 정월 초하루는 일 년이 시작되는 새해의 첫날이니, 명절 중의 명절이다.
“제물(祭物)을 넉넉하고 풍부하게 갖추어 성대히 차리는 것만이 성효가 아니니, 오직 변함없는 마음으로 성의와 공경을 다하여 제사를 받들어야 한다. 없으면 없는 대로, 자기 처지대로, 메 한 그릇과 갱 한 그릇이라도 온 정성을 다 바쳐서 정결하게 올리면 신명이 기꺼이 흠향하실 것이다.”(4권 266쪽)

‘하루에도 몇 번씩이나 달력을 들여다보며 날짜를 짚어보고, 다시 손가락을 꼬부려 꼽아보면서, 몇 밤을 자고나도 또 몇 밤이 그대로 남아 있어 애가 타던’ 설. 식구들의 설빔을 짓는 어머니의 턱 밑에는 작년보다 한 뼘은 더 자란 어린 자식들이 바짝 머리를 들이밀고 앉아 인두판 위에 놓인 꽃분홍과 연노랑 옷감에 흘려, 바느질하는 어머니의 손길을 또랑또랑 바라본다. 달빛이 이슬에 씻긴 듯 차고 맑게 넘치면서 점점 둥글어지면 마음은 더욱 설렌다.

‘지나치게 어려워 몇 마디 말씀조차 제대로 나누지 못했다’던 작가의 아버지도, 이날만은 어린 딸의 손을 잡고 고향 남원으로 가는 기차를 탔다. 돌아가신 할머니와 할아버지의 성품이며, 선대 어른들이 남긴 말씀과 행적에 대한 이야기를 마치 지금 큰집에 가면 만나 볼 수 있기라도 한 것처럼 들려주었다. 최명희가 소설 속 청암부인의 입을 빌어 ‘그저 오직 맑은 청수(淸水) 한 대접 올리고 돌아앉아 우는 한이 있어도, 정월 초하룻날 원단(元旦)에는 나름대로 차례를 모셔야한다’(5권 120쪽)라고 쓴 것도 다 그 ‘말씀’에서 시작됐다.

◦ 둥그렇게 차 오른, 정월대보름

당산제와 샘굿, 지신밟기. 정초에는 마을의 안녕과 농사의 풍년을 기원하는 풍물소리가 마을마다 울려 퍼진다. 꽹그랑 꽹 꽹 꽤 꽹 꽹 꽹. 두두 디다 두두 디웅. 저 아래 어디선가는 꽹매기 소구치는 소리도 아슴히 들리고, 그에 섞여 간간이 사람들이 터뜨리는 웃음소리도 함께 묻어온다.
새해를 시작하는 정월 초하루 설날이야 더 말할 것도 없는 명절이지만, 새 달이 신령스럽게 둥두렷이 뜨는 보름달도 그 못지않게 흥겹고 즐거운 날이라, 사람들은 며칠 전부터 징과 꽹과리를 꺼내 놓기도 하고, 북이며 장구, 소구에 앉은 먼지를 털어 내기도 하면서, 한쪽에서는 흰 고깔을 접기도 하고, 또 다른 쪽에서는 그 고깔에 달 종이꽃을 함박꽃같이 부얼부얼 노랑·진홍·남색으로 만들기도 하였다. 대보름날 저녁에는 그야말로 한 판 걸게 풍물을 쳐야하기 때문이다. 정월 초하루부터 시작된 명절의 흥겨움은, 집집마다 풍물을 돌며 안택굿·조왕굿을 하는 것으로 이어지다가 보름날에 이르러 절정을 이루는 것이다.(5권 47쪽-49쪽)

일 년 중 가장 크고 밝은 달을 볼 수 있는 정월대보름. 세시풍속의 절반 이상이 몰려 있는 이 날, 사람들은 부럼을 깨고 더위도 판다. 보름달이 떠오르면 달집을 태우면서 소원을 빈다.

“마앙우울(望月)이야아. 망울이야아아. 액운(厄運)은 다 살라버리고 행운만 불같이 일어나게 해주소서."
먼 논배미에서 아이들이 쥐불을 놓으며 소리 높이 지르는 함성은 달에 울려 긴 여운으로 낭랑하게 들려온다.
사람들은 아직 해가 뜨기 전에 보리·조·콩에 기장을 섞어 찹쌀로 지은 오곡밥을, 고사리·도라지·호박오가리 같은 담백한 나물 반찬에 먹고는, 귀밝이술 이명주(耳明酒)를 마시는데, “이 술을 한 잔 마시면, 일 년 내내 소식을 빨리 듣고, 귀가 환히 밝아져서 남이 하는 말을 잘 듣고 잘 판단할 수 있다.”고 하였다. 아침상을 물리고 나면 온 가족이 한자리에 둘러앉아 “부름 깨물자.”하고는, 콩이나 밤, 호두를 이빨로 깍, 소리가 나게 깨물었다.(5권 50쪽)

휘영청 둥근 달. 옛적엔 달맞이가 친숙한 풍경이었지만, 지금은 달빛을 쏘이기는커녕 달 한 번 제대로 바라보기도 힘들다. 우중충한 날씨나 텁텁한 공해를 탓하기보다 하늘 한 번 바라볼 여유를 갖기 쉽지 않기 때문이다. 일 년 중 가장 크고 또렷한데다 복까지 많다는 보름달이 뜨는 정월대보름. 이 날 하루쯤 복잡한 일은 잊어도 좋으리.
대보름날 밤이면, 집집마다 멀리 날리어, 앞으로 다가올 액을 미리 막으려는 액막이연을 띄우는 것이었다. 마치 소복을 한 듯 아무 색도 입히거나 칠하지 않은 백지의 바탕이 소슬한 흰 연에다, 섬뜩하리만큼 짙고 검은 먹빛으로
厄(액).
送厄(송액).
送厄迎福(송액영복).
을 써서, 갓 떠오르는 새 달의 복판으로 날려보내는 이 액막이연은, 얼음같이 푸르게 비추는 정월의 달빛 속에 요요한 소지(燒紙)처럼 하얗게 아득히 올라갔다.
얼레에 감긴 실은 하나도 남기지 않고 있는 대로 모두 풀어 그 연을 허공에 놓아주었다.
멀리, 저 멀리, 더 먼 곳으로 날아가라고.(5권 230쪽)

∥글: 최기우 (극작가, 최명희문학관 관장)

전체 115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추천 조회
공지사항
(영상] 2023년 영상으로 만나는 최명희문학관 (1월~9월)
최명희문학관 | 2023.02.02 | 추천 0 | 조회 797
최명희문학관 2023.02.02 0 797
89
(영상) 2022년 11·12월 영상으로 만나는 최명희문학관
최명희문학관 | 2023.01.05 | 추천 0 | 조회 317
최명희문학관 2023.01.05 0 317
88
(영상) 2022년 9·10월 영상으로 만나는 최명희문학관
최명희문학관 | 2022.12.02 | 추천 0 | 조회 314
최명희문학관 2022.12.02 0 314
87
[글]최명희 소설가의 단편소설 「쓰러지는 빛」 전문
최명희문학관 | 2022.11.18 | 추천 0 | 조회 946
최명희문학관 2022.11.18 0 946
86
(영상) 2022 한옥마을 문화시설 특화축제! 그 현장 속으로
최명희문학관 | 2022.11.09 | 추천 0 | 조회 328
최명희문학관 2022.11.09 0 328
85
(영상) 2022년 7·8월 영상으로 만나는 최명희문학관
최명희문학관 | 2022.09.27 | 추천 0 | 조회 486
최명희문학관 2022.09.27 0 486
84
[영상]창작동화 <백제인 마루>
최명희문학관 | 2022.08.11 | 추천 0 | 조회 472
최명희문학관 2022.08.11 0 472
83
[영상]소설낭독 <「혼불」 속 견훤대왕 이야기>
최명희문학관 | 2022.08.11 | 추천 0 | 조회 478
최명희문학관 2022.08.11 0 478
82
[영상]2022년 6월 영상으로 보는 최명희문학관
최명희문학관 | 2022.07.12 | 추천 0 | 조회 464
최명희문학관 2022.07.12 0 464
81
[글]초등학생도 알면 좋을 「혼불」 속 우리말(20/20)_ 함초롬하다
최명희문학관 | 2022.06.17 | 추천 0 | 조회 697
최명희문학관 2022.06.17 0 697
80
[글]초등학생도 알면 좋을 「혼불」 속 우리말(19/20)_ 포르릉
최명희문학관 | 2022.06.17 | 추천 0 | 조회 562
최명희문학관 2022.06.17 0 562
79
[글]초등학생도 알면 좋을 「혼불」 속 우리말(18/20)_ 찰찰히
최명희문학관 | 2022.06.17 | 추천 0 | 조회 535
최명희문학관 2022.06.17 0 535
78
[글]초등학생도 알면 좋을 「혼불」 속 우리말(17/20)_ 조롬조롬
최명희문학관 | 2022.06.17 | 추천 0 | 조회 557
최명희문학관 2022.06.17 0 557
77
[글]초등학생도 알면 좋을 「혼불」 속 우리말(16/20)_ 이무럽다
최명희문학관 | 2022.06.17 | 추천 0 | 조회 498
최명희문학관 2022.06.17 0 498
76
[글]초등학생도 알면 좋을 「혼불」 속 우리말(15/20)_ 욜랑욜랑
최명희문학관 | 2022.06.17 | 추천 0 | 조회 511
최명희문학관 2022.06.17 0 511
75
[글]초등학생도 알면 좋을 「혼불」 속 우리말(14/20)_ 옴시레기
최명희문학관 | 2022.06.17 | 추천 0 | 조회 545
최명희문학관 2022.06.17 0 545
74
[글]초등학생도 알면 좋을 「혼불」 속 우리말(13/20)_ 온달
최명희문학관 | 2022.06.17 | 추천 0 | 조회 532
최명희문학관 2022.06.17 0 532
73
[글]초등학생도 알면 좋을 「혼불」 속 우리말(12/20)_ 오모가리
최명희문학관 | 2022.06.17 | 추천 0 | 조회 573
최명희문학관 2022.06.17 0 573
72
[글]초등학생도 알면 좋을 「혼불」 속 우리말(11/20)_ 애오라지
최명희문학관 | 2022.06.17 | 추천 0 | 조회 505
최명희문학관 2022.06.17 0 505
71
[글]초등학생도 알면 좋을 「혼불」 속 우리말(10/20)_ 아리잠직
최명희문학관 | 2022.06.17 | 추천 0 | 조회 671
최명희문학관 2022.06.17 0 671
70
[글]초등학생도 알면 좋을 「혼불」 속 우리말(9/20)_ 소담하다
최명희문학관 | 2022.06.17 | 추천 0 | 조회 626
최명희문학관 2022.06.17 0 626
69
[글]초등학생도 알면 좋을 「혼불」 속 우리말(8/20)_ 사운거리다
최명희문학관 | 2022.06.15 | 추천 0 | 조회 691
최명희문학관 2022.06.15 0 691
68
[글]]초등학생도 알면 좋을 「혼불」 속 우리말(7/20)_ 발싸심
최명희문학관 | 2022.06.15 | 추천 0 | 조회 586
최명희문학관 2022.06.15 0 586
67
[글]초등학생도 알면 좋을 「혼불」 속 우리말(6/20)_ 몽글다
최명희문학관 | 2022.06.14 | 추천 0 | 조회 597
최명희문학관 2022.06.14 0 597
66
[글]초등학생도 알면 좋을 「혼불」 속 우리말(5/20)_ 다보록하다
최명희문학관 | 2022.06.14 | 추천 0 | 조회 490
최명희문학관 2022.06.14 0 490
65
[글]초등학생도 알면 좋을 「혼불」 속 우리말(4/20)_ 나훌나훌
최명희문학관 | 2022.06.11 | 추천 0 | 조회 507
최명희문학관 2022.06.11 0 507
메뉴
error: 콘텐츠가 보호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