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심을 지닌 땅

언론에 비친

[전북포스트 20220703]최명희문학관, 초등학생도 알면 좋을 「혼불」 속 우리말(20/20)_ 함초롬하다

작성자
최명희문학관
작성일
2022-07-04 10:18
조회
486
‘함초롬하다’는 젖거나 서려 있는 모습이 가지런하고 차분하다는 뜻이다. 컴퓨터 ‘한글’ 글자체에 ‘함초롬돋움’과 ‘함초롬바탕’이 깔리면서 더 친근한 단어가 되고 있다.

소설 「혼불」에서 ‘함초롬하다’는 세 번 나온다. 첫 번째는 오류골댁은 강실이를 앞세우고 사립문을 나서면서다.

유성 하나가 긴 꼬리를 그으며 오류골댁 초가지붕 귀퉁이로 진다.

①별이 스러져 숨은 자리에 박꽃이 하얗게 피어나 있어 소담하게 보인다. 그 함초롬한 모양이 어쩌면 청승스럽기조차 하다. (「혼불」)

흰 박꽃 때문에 그런지 살구나무 둥치와 무너질 듯한 잎사귀의 무성함이 더욱 검은 것 같다. 가뭄이라 제대로 물도 못 먹었을 나무가 그래도 뿌리 덕으로 저렇게 우거진 것이 신통하였다.

두 번째는 이헌의가 병풍과 족자에 대해서도 말한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의 말을 인용하면서다. 다산은 “반드시 품격 있는 서화의 가품(佳品)으로 꾸미는 것이 옳은즉, 진채(眞彩)는 담채(淡彩)만 같지 못하고, 담채는 또 단묵(單墨)만 같지 못하니, 마땅히 상격(上格)의 것으로 항상 머리맡에 풀냄새 그윽한 병풍과 족자를 갖추어 두면, 능히 안목을 기른다.”라고 하였다.

②과연 알록달록 빛깔이 짙은 진채화나 청록산수 물감을 입힌 그림보다는 붓 한 자루에 검은 먹의 짙고 옅음만으로, 허리가 휘어지게 부는 바람에도 굴하지 않고 정연하게 꿋꿋한 풍죽의 기세와, 비를 맞아 아래로 촉촉히 처진 우죽(雨竹), 맑은 날 볕발에 명랑하고 깨끗한 청죽(晴竹), 함초롬히 이슬을 머금어 젖은 만추의 노죽(露竹), 오래 눈이 쌓여 가지가 눌린 비백(飛白)의 설죽(雪竹), 그리고 달빛 아래 전아한 봉죽(鳳竹)이며, 연기에 잠긴 대, 구름에 쌓인 대, 빙설의 한고(寒苦)에 초연한 기개를 떨치는 노죽(老竹)과, 용손(龍孫)이라 하는 죽순에서 이제 막 껍질을 벗고 혀를 내미는 유죽(幼竹)이 뻗치고, 뒤집어지고, 나지막이 처지거나 높이 솟아 소슬한 자태와 기분과 빛깔을 절묘하고 역력하게 그리어, 그 마디와 가지와 모든 잎을 다 살아나게 하는 묵죽(墨竹)이야말로 선비의 방에 맞다 할 것이었다. (「혼불」)

이징의는, 서화를 배우러 오는 사람들에게 “나는 궁거(窮居)한 벽학(僻學)이라.” 이렇게 이르곤 하였다.

그저 파적(跛寂)으로 대나 한 폭 치고, 배운 글을 잊어 버리지 않기 위해서 글씨를 쓰는 것이지, 아는 것도 없고 깨친 바도 없는데 남을 가르칠 수 없다는 사양에도 불구하고 기어이 밀고 들어와 화선지를 펼치는 사람이 생기고, 그가 선서자(善書者, 글씨를 아주 잘 쓰는 사람)라는 소문이 인근에 널리 퍼지면서 문중에서뿐만 아니라 누구라도 그의 서화 한 점 얻기를 원하게 되었지만, 막상 그 자신은 족자 하나 반듯하게 걸어 놓을 자리도 없을 만큼 살림이 곤궁하였다.

세 번째는 장독대에 선 강실이가 효원과 율촌댁, 그리고 어머니 오류골댁을 먼 세상의 그림자처럼 바라보며 독백처럼 뱉는 말에 있다.

③여자로 태어나서 한 남자를 지아비로 맞이하여, 밥을 짓고 장을 담그는 여인들. 이른 새벽, 아직 날이 채 밝지 않은 미명에 푸르스름한 공기의 결을 걷으며 돋아나는, 서리 같은 이슬이 함초롬히 맺힌 장독들의 정결함. 그리고 그 뚜껑 위에 바치는 정화수 한 그릇. (「혼불」)

그런 새벽을 나는 누리는 일 없으리라. 저와 같이 장중 우람하면서 아기자기한 장독들의 세월과 무리를 나는 거둘 일 없으리라.

강실이는 가슴 밑바닥이 허전하고 서늘하게 빠지는 것을 느꼈다.

앙가슴에서 등판까지 맞바로 꿰뚫어 대못을 친다 해도 다섯 치가 채 못될 가슴이 과연 얼마나 깊은 것이기에, 이토록 무섭고 까마득한 허방을 품고 있단 말인가. 아아. “강실아.”

○ 20명의 시인·작가가 예문으로 소개하는 「혼불」 속 우리말 20개

④봄비 내리는 오후 경기전 돌담길을 걷는다. 담뿍 젖은 꽃잎 붉은 얼굴이 나를 노려본다. 발을 멈춘다. 그 가지런하고 고운 함초롬한 매화의 얼굴에 나는 입술을 묻는다. (글: 진창윤·시인)

*진창윤_ 2017년 문화일보 신춘문예 시 부문에 당선되어 작품활동을 시작했다. 시집 『달 칼라 현상소』를 냈다.
전체 5,386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추천 조회
5386
[전북도민일보 20231212]수필가 김순영을 기억한 후배 문인들의 ‘따뜻한 목소리’
최명희문학관 | 2023.12.12 | 추천 0 | 조회 398
최명희문학관 2023.12.12 0 398
5385
[전북일보 20231209][최명희문학관의 어린이손글씨마당] 86. 오늘은 엄마의 생일!
최명희문학관 | 2023.12.09 | 추천 0 | 조회 303
최명희문학관 2023.12.09 0 303
5384
[전북일보 20231208][최명희문학관의 어린이손글씨마당] 85. 책에게 쓰는 편지
최명희문학관 | 2023.12.09 | 추천 0 | 조회 302
최명희문학관 2023.12.09 0 302
5383
[전북도민일보 20231208]최명희문학관, 10일 ‘김순영·최명희 작가’ 작고문학인세미나
최명희문학관 | 2023.12.08 | 추천 0 | 조회 126
최명희문학관 2023.12.08 0 126
5382
[전북일보 20231208]최명희문학관, 10일 ‘김순영·최명희 작가’ 작고문학인세미나 연다
최명희문학관 | 2023.12.08 | 추천 0 | 조회 92
최명희문학관 2023.12.08 0 92
5381
[투데이안 20231206]혼불 기념사업회·최명희문학관, 작고 문학인 세미나 열어
최명희문학관 | 2023.12.06 | 추천 0 | 조회 96
최명희문학관 2023.12.06 0 96
5380
[전주매일신문 20231204]최명희문학관, 10일 ‘김순영·최명희 작가’ 작고문학인세미나
최명희문학관 | 2023.12.02 | 추천 0 | 조회 101
최명희문학관 2023.12.02 0 101
5379
[JB포스트 20231204]혼불기념사업회·최명희문학관, 10일 ‘김순영·최명희 작가’ 작고문학인세미나
최명희문학관 | 2023.12.02 | 추천 0 | 조회 99
최명희문학관 2023.12.02 0 99
5378
[전북일보 20231202][최명희문학관의 어린이손글씨마당] 84.내가 강아지가 되었어!
최명희문학관 | 2023.12.02 | 추천 0 | 조회 89
최명희문학관 2023.12.02 0 89
5377
[전북일보 20231201][최명희문학관의 어린이손글씨마당] 83.싸운 날
최명희문학관 | 2023.12.02 | 추천 0 | 조회 63
최명희문학관 2023.12.02 0 63
5376
[목포시민신문 20231123]목포해양대, 전주 한옥마을로 떠난 ‘가을 문학기행’
최명희문학관 | 2023.12.01 | 추천 0 | 조회 78
최명희문학관 2023.12.01 0 78
5375
[코리아쉬핑 20231121]목포해양大, 전주서 가을 문학기행 프로그램 실시
최명희문학관 | 2023.12.01 | 추천 0 | 조회 83
최명희문학관 2023.12.01 0 83
5374
[베리타스알파 20231121]목포해양대 '전주 한옥마을 가을 문학기행' 성료
최명희문학관 | 2023.12.01 | 추천 0 | 조회 80
최명희문학관 2023.12.01 0 80
5373
[아시아뉴스전북 20231115]2023 가람이병기청년시문학상·최명희청년문학상 시상
최명희문학관 | 2023.11.30 | 추천 0 | 조회 101
최명희문학관 2023.11.30 0 101
5372
[시사전북닷컴 20231115]2023 가람이병기청년시문학상·최명희청년문학상 시상
최명희문학관 | 2023.11.30 | 추천 0 | 조회 115
최명희문학관 2023.11.30 0 115
메뉴
error: 콘텐츠가 보호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