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심을 지닌 땅

언론에 비친

[서울신문 20220207] <25> 전주 최명희문학관 "활활 타오르던 문장, 부채의 바람결 따라 네 마음에 가닿기를"

작성자
최명희문학관
작성일
2022-02-07 09:58
조회
9201


‘혼불’ 7년 2개월 월간지 최장 연재
총 10권 원고지 1만 2000장 분량
작가 “조상의 삶이 수놓여진 글”
생이 끝날 때까지 집필에만 몰두

어릴 때 지낸 전주에 문학관 건립
호남 노래·풍속 등 생생하게 풀어
힘든 서민의 생활 아름답게 표현
“글 속 문장은 고급 한국어의 백미”



전북 전주 한옥마을에 조성된 최명희 문학관 내 낮은 담장에 올려져 있는 ‘매화 핀 언덕이면 더욱 좋으리’라는 글귀가 인상적이다. 작가의 필생 역작 ‘혼불’의 6권에 등장하는 문구다. 최명희 문학관은 곳곳에 이처럼 소설 글귀 일부를 딴 패널들을 전시해 놓고 있다.
▲ 전북 전주 한옥마을에 조성된 최명희 문학관 내 낮은 담장에 올려져 있는 ‘매화 핀 언덕이면 더욱 좋으리’라는 글귀가 인상적이다. 작가의 필생 역작 ‘혼불’의 6권에 등장하는 문구다. 최명희 문학관은 곳곳에 이처럼 소설 글귀 일부를 딴 패널들을 전시해 놓고 있다.




“무겁게 감은 청암부인의 왼쪽 눈귀에 찐득한 눈물이 배어났다. 그것은 댓진 같은 진액이었다. 차마 흘러내리지도 못한 채 눈언저리에 엉기어 있기만 하는 그 눈물은, 무슨 응어리 같기도 하였다. 그날 밤, 인월댁은 종가의 지붕 위로 훌렁 떠오르는 푸른 불덩어리를 보았다. 안채 쪽에서 솟아오른 그 불덩어리는 보름달만큼 크고 투명하였다. 그러나 달보다 더 투명하고 시리어 섬뜩하도록 푸른빛이 가슴을 철렁하게 했다. 청암부인의 혼불이었다. 어두운 밤 우뚝한 용마루 근처에서 그 혼불은 잠시 멈칫하더니 이윽고 혀를 차듯 한 번 출렁하고는, 검푸른 대밭을 넘어 너훌너훌 들판 쪽으로 날아갔다.”

- 최명희 ‘혼불’



최명희 문학관 내부 전경. 최명희가 시련을 이겨 내는 힘으로 지칭한 ‘꽃심’이라는 단어로 꾸며진 전통 등이 눈에 띈다.
▲ 최명희 문학관 내부 전경. 최명희가 시련을 이겨 내는 힘으로 지칭한 ‘꽃심’이라는 단어로 꾸며진 전통 등이 눈에 띈다.




전주 한옥마을 안에 있는 최명희길을 걷다 중앙초등학교 옆의 작은 골목으로 빨려 들어가 홀리듯 앞으로 향하면 부채문화관이 나온다. 더 적확하게 표현하자면 ‘최명희 문학관’이 나타난다. 예스러운 기와집이야 한옥마을 전체가 다 그러하니 크게 특별한 것은 아니지만, 이상하게도 그 문 앞에서는 옷매무새를 단정하게 고치게 된다. 문학관의 대문은 언제나 열려 있는데 아마도 그 자리가 옆집에서 부쳐 온 부채의 바람이 드나드는 바람목이지 싶다.

바람을 따라 찾아온 누군가의 혼백 아니 도깨비불마저도 그냥 지나칠 수 없는 길목이어서인지 그곳은 늘 생과 사가 공존하고, 먼저 간 사람의 마음까지도 매만져 볼 수 있는 자리다. 부채의 바람결에 실려 있는 최명희의 문장들 덕분이다.

남원의 혼불 문학관이 아닌 전주 한옥마을의 최명희 문학관을 찾은 것은 바로 그 ‘바람’과 ‘푸른 불’ 때문이었다. 문학관이 표방한 ‘작가가 다시 살러 온 집’은 그리하여 누구라도 계속 머물 것만 같고, 떠났던 이가 돌아와 여장을 풀며 몸과 마음을 바람에 말리는 장소다. 인간이 듣지 못하는 신의 음성, 차마 못다 한 말들이 부채가 일으킨 공명을 타고 일어나는 시간이 되면 자연스레 눈 밝은 이들이 찾아드는 것이다.



1990년 12월 ‘혼불’ 1, 2부 전 4권이 한길사를 통해 출판됐을 당시 작가 모습.
▲ 1990년 12월 ‘혼불’ 1, 2부 전 4권이 한길사를 통해 출판됐을 당시 작가 모습.




‘혼불’이라는 말은 국어사전에 없다. 그러나 실제로 혼불을 봤다는 사람은 많다. 그것은 우리 몸 안에 있는 불덩어리로서 모양은 둥글고 크기는 종발만 한데, 빛살 없는 푸른색이며, 사람이 제 수명을 다하고 죽을 때, 미리 그 몸에서 빠져나간다고 한다. (중략) 이것이 미신이냐 실화냐 묻는 것은 아무런 의미가 없다. 어떤 사람의 몸에 혼불이 있으면 산 것이고, 없으면 죽은 것이다. 그러니까 ‘혼불’은 목숨의 불, 정신의 불, 삶의 불이라고 할 수 있겠다. 그것은 또 사람을 사람답게 하는 힘의 불이기도 하다. 즉, 혼불은 존재의 핵이 되는 불꽃인 것이다.

-최명희 ‘나는 왜 ‘혼불’을 쓰는가’

소설가 최명희는 1947년 전북 전주시 화원동에서 출생했다. 풍남초등학교와 전주사범병설중학교, 기전여자고등학교를 거쳐 전북대학교 국문과를 졸업했다. 1972년부터 1981년까지 전주 기전여고와 서울 보성여중, 보성여고에서 국어 교사로 재직했다. 1980년 중앙일보 신춘문예에 ‘쓰러지는 빛’이 당선돼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1981년 동아일보 창간 60주년 기념 장편소설 공모전에서 ‘혼불’ 제1부가 당선됐다. 교직을 그만두고 혼불 창작에만 매진하기 시작했다. 1988년부터 1995년까지 월간 신동아에 ‘혼불’ 제2부부터 5부까지 연재했다. 이는 국내 월간지 사상 최장기 연재(만 7년 2개월)다. 1990년에 혼불 제1부와 2부를 발간했으며 1996년에 혼불 제1부부터 5부까지 총 10권(한길사)을 발간했다. 이는 200자 원고지 1만 2000장 분량이다.



작가의 친필 사인이 담긴 ‘혼불’ 서명본.
▲ 작가의 친필 사인이 담긴 ‘혼불’ 서명본.




웬일인지 나는 원고를 쓸 때면, 손가락으로 바위를 뚫어 글씨를 새기는 것만 같은 생각이 든다. 그것은 얼마나 어리석고도 간절한 일이랴. 날렵한 끌이나 기능 좋은 쇠붙이를 가지지 못한 나는, 그저 온 마음을 사무치게 갈아서 손끝에 모으고, 생애를 기울여 한 마디, 한 마디 파나가는 것이다.

-‘혼불’ 작가 후기

최명희의 주요 작품으로는 ‘몌별’, ‘만종’, ‘정옥이’, ‘주소’와 마지막으로 ‘혼불’이 있다. 혼불은 10권으로 된 방대한 분량이지만 미완성된 작품이다. 지인들의 증언에 따르면 그는 죽기 직전까지 혼불의 제5부를 구상했다고 한다. 작가가 된 이후 생이 끝날 때까지 ‘혼불’을 구상하고 집필에 몰두했던 최명희는 1998년에 난소암의 발병으로 51세에 사망했다. ‘혼불’ 제5부 완간 4개월을 앞두고 암이 발병했지만 주변에 알리지 않았다고 한다. 오로지 집필에만 몰두하다 1996년 12월에 혼불의 마지막 부분을 썼다. 그가 죽었으니 제5부가 마지막일 뿐, 그가 살아 있었다면 혼불은 어쩌면 아직도 끝나지 않은 여정을 계속하고 있을지도 모른다.



탑처럼 쌓아 올린 ‘혼불’ 친필 원고 5000장. 5부까지 전 10권으로 발간된 ‘혼불’은 원고지 1만 2000장 분량에 달한다.
▲ 탑처럼 쌓아 올린 ‘혼불’ 친필 원고 5000장. 5부까지 전 10권으로 발간된 ‘혼불’은 원고지 1만 2000장 분량에 달한다.




책이 출간되자 일부에서는 ‘완간’이라고 표현했지만 작가는 “이 작품은 아직 완간이 아니다. 작품의 시대 배경은 해방 공간 이후 6.25, 4.19, 5.16 등 가까운 현대사까지 이어져 한국사의 격동기를 그리게 될 것”이라 말했다. 우리의 풍속을 잃지 않으면서도 격변하는 사회상과 민중의 삶을 잘 그려 냈다는 평에 대하여 작가는 생전에 어떻게 생각했을까.

“이 글은 제가 쓴 것이 아닌 것만 같습니다. 아득한 개국의 시원에 웅녀 할머니로부터 대대로 내려오던 이 땅의 조상들의 말 없는 한숨, 괴로움, 아픔, 그들이 나서 살고 보고 느낀 모든 것이 저절로 와서 한 자씩 수놓아져진 것 같은 느낌입니다. 이 소설은 이미 제 자신의 것이 아니었고, 그것은 거대한 강물로 저를 붙잡고 있어서 작중의 인물들이 토해 내는 많은 이야기를 주워 담는 것만이 제 역할이었어요.”(‘필’ 1997년 1월호)라고 소회를 밝혔다. 만 17년을 한 작품에 쏟는 열정, 그 때문에 그가 일찍 혼불이 돼 날아갔을까.

작가는 “아름다운 세상, 잘 살고 간다”는 말을 유언으로 남겼다고 한다. 장례는 전주시 사회장으로 5일 동안 치러졌다. 전주시청 앞에서 영결식이 열렸고, 고인의 생가와 모교인 기전여고를 거친 시가지 운구 행렬에 이어 전북대에서 노제를 지냈다. 그가 남긴 노트에는 앞으로 써야 할 글감이 130여개나 남아 있었다고 한다. 그는 저쪽에서도 끊임없이 쓰고 있을까.

‘혼불’을 일컬어 ‘한국 혼 일깨우는 이 땅 문학사의 영원한 기념비’라고들 한다. 소설 속에서 역사와 사람들의 삶을 잘 버무리며 생의 질곡과 역사의 너울을 한없이 순정하고도 곡진한 우리말로 잘 풀어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한국인의 생활사, 풍속사, 의례와 속신들을 유장하게 풀어낸 소설의 문장들은 ‘고급 한국어’의 백미라 일컬어진다.



최명희의 작품 세계를 조명한 각종 서적들.
▲ 최명희의 작품 세계를 조명한 각종 서적들.




또한 ‘혼불’은 호남지방의 관혼상제, 노래, 음식, 세시풍속 등을 생생하게 표현해 내서 ‘우리 풍속의 보고, 모국어의 보고’라는 평가를 받는다. 문학평론가 유종호는 “일제 식민지의 외래문화를 거부하는 토착적인 서민생활 풍속사를 정확하고 아름답게 형상화한 작품”이라고 했다. 여기서 주목할 것은 ‘아름답게’가 아닐까. 최명희는 그 유장하고 지리멸렬했던 한국사와 생활사 그리고 사람살이를 어떻게든 ‘아름답게’ 표현해 내려 평생을 바쳤던 작가다.

단재상과 세종문화상, 전북 예향대상과 여성동아대상, 호암상 예술 부문을 수상하였으며 2000년에는 육관 문화훈장을 수상했다. 1997년에 독자들이 ‘최명희와 혼불을 사랑하는 사람들’ 모임을 꾸린 것을 시작으로 2000년에는 혼불기념사업회가 발족됐고, 이듬해부터 혼불문학제가 개최됐다. ‘혼불’의 배경 지역인 남원시는 2004년 10월 사매면 서도리 노봉마을에 혼불 문학관을 개관했다. 전주시는 작가가 어린 시절을 보낸 완산구 풍남동에 최명희 문학관을 세웠다.

최명희 문학관은 2006년 4월에 전주한옥마을에 터를 잡았다. 작가 최명희의 녹록지 않았던 삶과 그 흔적을 고스란히 담고 있는 곳이다. 친필 원고와 지인들에게 보낸 편지와 엽서들, 생전 인터뷰와 문학 강연 모습을 담은 동영상과 여러 작품에서 추려 낸 글이 새겨진 각종 패널들이 전시돼 있다. 1층에는 전시관인 독락재가 있고 지하는 문학강연장 및 기획전시장인 비시동락지실로 꾸며졌다.

한옥마을의 최명희길이 끝나 가는 즈음에 생가터가 있다. 자신의 고향, 생가터에 관하여 최명희는 생전에 이런 말을 남겼다. “제가 태어난 곳은 전라북도 전주시 화원동이라고 하는 동네입니다. (중략) 전 이상하게 전라북도 전주시 화원동 몇 번지라고 했을 때, 그 어린 마음에도 ‘화원동’이라는 이름이 그렇게 제 맘에 좋아서, 굉장히, 제가 뭔지 아름다운 동네에 사는 것 같은 느낌이 들고, 그 ‘화원’이라고 하는 그 음률이, 그 음색이 주는 울림이 저로 하여금 굉장히, 제 마음에 화사한 꽃밭 하나를 지니고 사는 것 같은 그런 느낌을 주곤 했어요.”



소설가 이은선
▲ 소설가 이은선




마음에 꽃밭 하나, 활활 타오르는 문장의 불 하나를 지니고 살았던 사람. 그리하여 그 불꽃과 화원을 함께 하늘로 태워 보낸 사람. 우리 곁에는 언제나 ‘푸른 불꽃’으로 남은 사람의 마지막 거처, 최명희 문학관이다.

부채의 바람을 탄 문장들이 이끄는 자리로 오늘의 당신을 초대한다. 바람이 푸른 불꽃을 당신의 거처에까지 가져가 준다면, 그대여 그 뒤를 따라오시라.

/소설가 이은선
전체 5,386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추천 조회
5386
[전북도민일보 20231212]수필가 김순영을 기억한 후배 문인들의 ‘따뜻한 목소리’
최명희문학관 | 2023.12.12 | 추천 0 | 조회 308
최명희문학관 2023.12.12 0 308
5385
[전북일보 20231209][최명희문학관의 어린이손글씨마당] 86. 오늘은 엄마의 생일!
최명희문학관 | 2023.12.09 | 추천 0 | 조회 219
최명희문학관 2023.12.09 0 219
5384
[전북일보 20231208][최명희문학관의 어린이손글씨마당] 85. 책에게 쓰는 편지
최명희문학관 | 2023.12.09 | 추천 0 | 조회 234
최명희문학관 2023.12.09 0 234
5383
[전북도민일보 20231208]최명희문학관, 10일 ‘김순영·최명희 작가’ 작고문학인세미나
최명희문학관 | 2023.12.08 | 추천 0 | 조회 93
최명희문학관 2023.12.08 0 93
5382
[전북일보 20231208]최명희문학관, 10일 ‘김순영·최명희 작가’ 작고문학인세미나 연다
최명희문학관 | 2023.12.08 | 추천 0 | 조회 74
최명희문학관 2023.12.08 0 74
5381
[투데이안 20231206]혼불 기념사업회·최명희문학관, 작고 문학인 세미나 열어
최명희문학관 | 2023.12.06 | 추천 0 | 조회 74
최명희문학관 2023.12.06 0 74
5380
[전주매일신문 20231204]최명희문학관, 10일 ‘김순영·최명희 작가’ 작고문학인세미나
최명희문학관 | 2023.12.02 | 추천 0 | 조회 75
최명희문학관 2023.12.02 0 75
5379
[JB포스트 20231204]혼불기념사업회·최명희문학관, 10일 ‘김순영·최명희 작가’ 작고문학인세미나
최명희문학관 | 2023.12.02 | 추천 0 | 조회 84
최명희문학관 2023.12.02 0 84
5378
[전북일보 20231202][최명희문학관의 어린이손글씨마당] 84.내가 강아지가 되었어!
최명희문학관 | 2023.12.02 | 추천 0 | 조회 70
최명희문학관 2023.12.02 0 70
5377
[전북일보 20231201][최명희문학관의 어린이손글씨마당] 83.싸운 날
최명희문학관 | 2023.12.02 | 추천 0 | 조회 45
최명희문학관 2023.12.02 0 45
5376
[목포시민신문 20231123]목포해양대, 전주 한옥마을로 떠난 ‘가을 문학기행’
최명희문학관 | 2023.12.01 | 추천 0 | 조회 58
최명희문학관 2023.12.01 0 58
5375
[코리아쉬핑 20231121]목포해양大, 전주서 가을 문학기행 프로그램 실시
최명희문학관 | 2023.12.01 | 추천 0 | 조회 64
최명희문학관 2023.12.01 0 64
5374
[베리타스알파 20231121]목포해양대 '전주 한옥마을 가을 문학기행' 성료
최명희문학관 | 2023.12.01 | 추천 0 | 조회 64
최명희문학관 2023.12.01 0 64
5373
[아시아뉴스전북 20231115]2023 가람이병기청년시문학상·최명희청년문학상 시상
최명희문학관 | 2023.11.30 | 추천 0 | 조회 83
최명희문학관 2023.11.30 0 83
5372
[시사전북닷컴 20231115]2023 가람이병기청년시문학상·최명희청년문학상 시상
최명희문학관 | 2023.11.30 | 추천 0 | 조회 93
최명희문학관 2023.11.30 0 93
메뉴
error: 콘텐츠가 보호됩니다!!